• Title/Summary/Keyword: benthic animal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Four Unrecorded Species of Tubificid Oligochaetes (Annelida: Clitellata) in Korea

  • Lee, Jeounghee;Jung, Jongw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4호
    • /
    • pp.240-247
    • /
    • 2014
  • Tubificid oligochaetes are common and frequently dominant in freshwater benthic habitats. They are so tolerant to water pollution that they are often used as biological indicators. Faunistic studies of Korean freshwater oligochaet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The most well studied oligochaete family in Korea is the tubificids following the naidids. Nine species of tubificids have been reported so far. Nevertheless, many species of tubificids still remain to be discovered in Korea. In this study, we added four species of tubificid oligochaetes to the Korean fauna, including Linmodrilus profundicola (Verrill, 1871), Potamothrix heuscheri (Bretscher, 1900), Tubifex blanchardi $Vejdovsk\acute{y}$, 1891, and Ilyodrilus templetoni (Southern, 1909)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three locations in Korea: Cheonan-si, Geoje-si, and Seocheon-gun. In particular, P. heuscheri was first reported in Asia.

한국연안에서의 해양생물 생태 조사방법 표준화 (Suggest on Standardization of Ecological Survey Methods in the Korean Watershed)

  • 이재학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4
  • Ecological methods were reviewed through report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damage effect of fishery in the Korean watershed. Survey items in marine ecological field were included: phytoplankton, zooplankton, benthic animal, algae, adult fish, egg and juvenile of fish. A standardization of survey method in the field of community ecology was suggested to consider the convenience, Sequency in Use of device, accuracy of data collected from that. It is necessary that spatial data should be sufficiently acquired toy statistical analysis of biodiversity and spatial comparison. Quantitative sampling method must be inevitably adopted based nature of biota and geographical type of the survey area. The same sampling method can make the data compared spatially but can't be applicable in all area. Standardizing survey method should be by no means under certain restriction of study and would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survey environments. The first thing is minutely understanding about ecological character of biota inhabiting in certain area, and then determining survey method.

한국산 군부류(연체동물 문, 다판 강)의 분류학적 연구 I. 아기군부 및 연두군무 아목 (The Chiton Fauna (Mollusca: Polyplacophora) of Korea, Part I: Suborder Lepidopleurina and Ischnochitonina)

  • ;홍재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29-56
    • /
    • 1990
  • 1980년에서 1983년까지 4년간 한국연안의 93개 지점으로 부터 채집된 한국산 군부류중 아기군부 아목(Suborder Lepidopleurina)과 연두군부 아목(Suborder Ischnochitonicna)의 분류학적 연구 결과, 4과 8속 13종이 동정되었으며 이를 재기재하였다. 그 중 다음의 2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된다 : Leptochiton (Leptochiton) rugatus, Mopalia schrencki.

  • PDF

황해와 광양만에서 채집된 홈꽃갯지렁이 속 Euchone (Polychaeta, Sabellidae)의 두 미기록종 (Two species of Euchone (Polychaeta, Sabellidae) from the Yellow Sea and Kwang-yang Bay, Korea)

  • 정래홍;홍재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05-312
    • /
    • 1996
  • 본 연구는 한.중 황해 국제 공동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1992년 9월 17일부터 10월 2일 사이에 황해의 49개 정점에서 채집된 저서다모류와 남해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채집된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꽃갯지렁이 과(Sabellidae)에 속하는 홈꽃갯지렁이 속(Euchone)의 두 종, 핸콕홈꽃갯지렁이(Euchone hancocki Banse, 1970)와 무색홈꽃갯지렁이(Euchone incolor Hartman, 1965)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 PDF

東海産 Artotrogidae科의 橈脚類 (copepoda of Artotrogidae (Siphonostonatoida) from the Sea of Japan)

  • 김일회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97-466
    • /
    • 1996
  • 동해안에서 잡힌 Artotrogidae과의 요각류 17종을 기록하였다. 이들은 Artotrogus 속의 4신종, Bradypontius속의 3신종, Cryptopontius속의 4신종, Myzopontius 속의 1신종 1미기록종, Pteropontius속의 1신종 1미기록종, 1신속에 속하는 2신종이다. 두 미기록종은 Myzopontius pungens Giesbrecht와 Pteropontius decorus Ho이다. 이들 17종은 태형동물 2종, 멍게 1종, 해초, 그리고 항구에 가라낮아 있던 폐그물로부터 채집된 것들이다. Artotrogus속의 분류에 대해서도 재검토하였다.

  • PDF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Chaetonema longicorpus sp. nov. (Enoplida: Anoplostomatidae) from a Subtidal Zone of the East Sea, Korea

  • Lee, Hyo Jin;Lee, Heegab;Rho, Hyun S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8권4호
    • /
    • pp.205-213
    • /
    • 2022
  •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Chaetonema longicorpus sp. nov., was discovered in a subtidal benthic habitat around the Uljin nuclear power plant in the East Sea. Chaetonema longicorpus sp. nov. differs from other Chaetonema species in its very long body length, relatively long cephalic setae, long and narrow buccal cavity, bottle-shaped amphideal fovea, short spicules, only one pre-cloacal seta instead of a pre-cloacal supplement, and conspicuous ventral swelling at the middle of the tail. Herein, we provide a taxonomic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this new species using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y. Furthermore, an illustrated pictorial key to all valid species, including the new species and comparative tables on the biogeograph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Chaetonema, are provided.

시화호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관하여 (Studies on Community of Meiobenthos in the Sediments of the Lake Shiwha)

  • 김동성;이재학
    • 환경생물
    • /
    • 제19권2호
    • /
    • pp.159-171
    • /
    • 2001
  • 시화호 내해의 저서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구조, 수평분포, 서식 밀도, 선충류/저서성 요각류비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9년 5월과 2000년 5월에 총 19개의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형저서동물은 1999년 총 11개의 분류군, 2000년 8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여, 다른 연안 해역에 비하여 아주 낮은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두 시기 모두 출현 분류군 중 선충류(nemato-des)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중요한 출현분류군은 유공충류(sarcomastigophorans), 갑각류의 유생(nauplius), 저서성 요각류 (benthic harpacticoids), 갯지렁이류(polychaetes)로 이들 5개의 분류군이 전체 중형동물 출현 개체수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2000년에는 이들 분류군 이외에 갯지렁이의 유생 (poly-chaetes larvae)이 아주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개체수 크기는 체 크기 0.063mm에 들어가는 크기의 생물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서식 밀도는 시화호 안쪽의 상부 정점들에서 각 시기 모두 아주 낮게 나타났고, 시화호 배수 갑문 근처인 하부 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간 해역에서는 서식밀도 역시 중간 값을 보였다. 환경 오염 지수의 하나인 선충류/저서성요각류 비(N/C ratio)역시 시화호 배수 갑문 근처의 정점들에서는 낮게 나타나고, 안쪽의 상부 정점들에서는 아주 높게 나타나, 시화호 저서 퇴적물의 환경은 시화호 하부인 수문이 위치한 해역에서 상부로 갈수록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상부 해역은 아주 극심한 오염된 환경을 나타냈다.

  • PDF

민통선이북지역(DMZ) 서부평야 일대의 수생태계 생물다양성 및 군집 특성 (Biodiversity and Characteristic Communities Structure of Freshwater Ecosystems in the Western Area of DMZ, Korea)

  • 정상우;김윤호;김현맥;김수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03-617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민통선이북지역 서부평야 일대에서 수생태계의 주요 분류군인 저서무척추동물과 담수어류의 다양성 및 군집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저서무척추동물은 총 4문 19목 66과 108속 125종이 확인되었다. 저서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출현종수는 딱정벌레목이 27종(21.60%)으로 가장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고, 잠자리목 26종(20.80%), 비곤충류가 22종(17.60%), 노린재목 11종(8.80%)이 채집되어 정수성 저서무척추동물의 분류군들이 우점하였다. 섭식기능군은 잡아먹는 무리(51종, 56.67%)가 높게 나타나 습지성 형태의 무리들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식기능군은 기어오르는 무리(33종, 24.44%)가 높게 나타났으며, 단순한 하상에서 나타나는 굴파는 무리(17종, 12.59%)도 다소 높게 출현하였다. 이는 유속이 느린 서식처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분류군간에 동종포식을 유발하여 생태계의 교란이 심각해 질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환경평가의 ESB 값은 S13지점에서 82점으로 최우선보호수역으로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지역에서 수질 III등급의 ${\alpha}$-중부수성으로 오염이 심각한 환경상태로 나타났다. 군집안정성분석결과 회복력과 저항력이 높은 I특성군과 교란에 민감한 III특성군으로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하고 불안한 군집을 형성하였다. 어류는 잉어과에서 30종(65.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계류에 서식하는 참갈겨니가 728개체(21.4%)로 우점 하였다. 어류 조사결과 총 18목 39과 46종(3,405개체)이 출현하였으며,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가 낮고(0.39) 다양도지수가 높은(2.29) 안정된 지점(S7, S13)과 반대성향의 불안정한 지점(S2-3, S8, S10)이 복합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법정보호종은 한반도고유종 5종, 국외반출승인종 17종,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물장군과 물방개 2종이 출현하였다. 그 외 희귀종인 배물방개붙이의 서식처가 확인되었으며, 생물 위해외래종인 왕우렁이가 전지역에 분포하여 민통선이북 서부평야지대의 생태계 교란이 끊임없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어류에서는 천연기념물 1종(어름치)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3종(묵납자루, 꾸구리, 돌상어)의 서식처가 확인되어 보호 및 보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독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 (Marine Meiobenthic Faunal Communities of the Sediments near Dokdo in the East Sen, Korea)

  • 김동성;민원기;김웅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19-427
    • /
    • 2002
  • Meiobenthic community structure near Dokdo was investigated during two survey periods of June, 1999 and October 2000. Meiobenthos were separated from the sediment core samples collected from eight stations. A total of 19 meiobenthic animal groups were identified from those core samples. The most abundant meiobenthic animals belonged to Phylum Nematoda in both seasons and all stations. Sarcomastigophorans, nauplius of crustaceans, and benthic harpactiocoids were the next abundant meiobenthos. Vertical distribution of meiobenthic animals showed the highest individual numbers in the surface sediment layers of 0-1cm depth with a steep decreasing trend with depth for the three sampling stations (A0, A9', A19) located in the continental slope. Horizontal distribution of meiobenthic animals for the study area near Dokdo showed lower density at the sampling stations near Dokdo and the lowest density of meiobenthos in A19 (depth-2261 m). For size distribution, analysis showed that animals which fit onto the mesh size of 0.125mm were abundan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tinental shelf near Dokdo have a more unstable environment fo meiobenthos than the continental slope.

북동 태평양 C-C 해역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Meiobenthic Communities in the Deep-sea Sediment of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in the Northeast Pacific)

  • 김동성;민원기;이경용;김기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265-27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eiobenthos in the deep-sea bottom of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of northeastern Pacific during July 2001. Examination of sediment samples collected on the eight survey station showed that there were 10 different types of meiobenthos. The most abundant meiobenthic animals were nematodes in all stations. Sarcomastigophorans, benthic harpacticoids were next abundant meiobenthos. Vertical distribution of meiobenthic animals showed the highest individual numbers in the surface sediment layers of 0-1 cm depth and showed more steep decreasing trend as sediment gets deeper on the stations of high latitude located in $16-17^{\circ}N$. Horizontal distribution of meiobenthic animal in the study area within CCFZ showed high densities of meiobenthos at the stations had few manganese nodules on their sediment surface in the site of low latitude. For size distribution analyses showed that animals which fit into the sieve mesh size of 0.063 mm were abund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