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azon 6-hydroxylas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3초

Bentazon 분해효소(分解酵素) 활성(活性)이 옥수수 품종간(品種間) Bentazon 내성(耐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entazon 6-hydroxylase Activity on Tolerance of Corn Cultivars to Bentazon)

  • 윤민수;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4-223
    • /
    • 1995
  • 본 실험은 경엽처리 제초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entazon에 의한 옥수수의 생장저해량을 측정하여 옥수수 품종간의 내성 차이를 구명하고, 선발된 내성 및 감수성 옥수수 품종을 공시하여 효소활성 유기화합물 1,8-naphthalic anhydride, Ethanol, Phenobarbital로 처리한 후 Microsome을 얻은 다음, $^{14}C$-bentazon을 공시하여 TLC(Chloroform : Methanol : Amonium hydroxide = 13 : 7 : 1)와 LSC를 이용하여 Bentazon 불활성 분해효소 Bentazon 6-hydroxylase(B6H)를 측정하여 옥수수 품종간 내성기작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1. 생장반응에 의한 품종간 Bentazon의 내성정도는 GA 209, IK 2, DB 544, 수원 19호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KSS 3, KSS 4, KS 5, 만옥 2호에서는 감수성을 나타냈는데, 특히 3엽보다 4엽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2. 내성 품종인 수원 19호와 GA 209는 Bentazon 6-hydroxylase 활성이 감수성 품종인 단옥 2호와 KS 5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내성 품종인 수원 19호와 GA 209 에서는 1,8-NA 0.5% 이상, Ethanol 2.5% 이상에서 B6H 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인 반면, 감수성 품종인 단옥 2호와 KS 5에서는 1,8-NA 0.25% 이상, Ethanol 1.0, 2.5% 이상에서 B6H 활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Phenobarbital은 2mM 에서 B6H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내성 품종은 전반적으로 감수성 품종보다 약 2배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4. 내성 품종인 수원 19호와 GA 209에서는 1,8-NA, Ethanol, Phenobarbital 처리에서 모두 B6H효소 활성이 감수성 품종인 단옥 2호와 KS 5보다 높은 경향이므로 B6H효소에 의한 Bentazon의 히드록시 반응 불활성 대사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Bentazon에 내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벼에서 Bentazon 히드록시화반응에 관련된 Cytochrome P-450 활성(活性) 증진(增進)에 관한 연구(硏究) (The Enhancement of Cytochrome P-450 Mediated Aryl Hydroxylation of Bentazon in Rice Microsomes)

  • 변종영;넬슬 발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9-65
    • /
    • 1997
  • Bentazon이 첫 분해대사물질인 6-hydroxy bentazon으로 변화하는데 관련하는 cytochrome P-450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벼 microsome에서 hydroxylase 효소 유기물질을 처리하여 bentazon 6-hydroxylase(B6H)와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cinnamic acid 4-hydroxylase(CA4H) 효소를 대조하여 효소활성을 검정하였다. 1,8-naphthalic anhydride 0.5-2% 농도를 벼 종자에 분의처리하거나 fenclorim 5, 10${\mu}M$을 벼종자에 침지처리함에 따라 B6H와 CA4H 효소 활성이 증대되었다. Ethanol 2.5%를 벼 유묘에 처리함으로써 B6H와 CA4H 활성이 증대되었으며, phenobarbital 12mM 처리에서 B6H 활성이 증대되었고 phenobarbital 2mM 처리에서는 CA4H 활성이 증대되었다. B6H 효소활성은 ethanol 2.5, 5%와 phenobarbital 8, 12mM 혼합 처리 또는 1,8-naphthalic anhydride 0.5, 1%와 phenobarbital 8, 12mM 혼합처리에서 상승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4H 효소는 혼합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벼 5 일묘에서는 B6H와 CA4H 활성 이 가장 높았으며 묘령이 진전될수록 효소활성은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