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ign

검색결과 3,182건 처리시간 0.033초

족부의 종양 (Tumors of the Foot)

  • 신덕섭;박성혁;안종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03
  • 목적: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 및 분포 등을 조사하여, 족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종양 환자 141명의 142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된 환자들이었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영상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종양의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과 수술의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양이 발생 위치는 Kirby 등이 제안한 구역(zone)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여자는 75명이었고 남자는 66명으로 여자가 조금 많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3.2세였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68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이 57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2예, 악성 골종양이 5예의 순이었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는 결절종이 36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 중에서는 조갑하 외골종이 18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7예, 악성 골종양으로는 폐암의 전이 병소가 2예였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으로 통증은 악성 골종양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증상 발현 기간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가장 길었고, 신경학적 증상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만 3예가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악성 골종양이 가장 크고, 양성 골종양이 가장 작았다. 구역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5 구역에 59예로 가장 많았고, 4 구역에 10예로 가장 적었으며, 양성 골종양에서는 5 구역,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1 구역, 악성 골종양에서는 1, 2 구역,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5 구역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 방법으로 병소내 혹은 변연부 절제술,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 수술, 족지 절단수술, 슬관절 하 절단술과 사지구제술 등이 있었다. 결론: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드물고 종류가 다양하면서 대부분(88%) 양성 종양이었으나,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 통증 유무,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크기 및 발생 구역 등을 고려하여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18 FDG PET/CT에서 양성과 악성 근골격 종양의 감별진단 - 수신자 판단특성곡선을 이용한 maxSUV의 절단값 결정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and Benign Musculoskeletal Tumors by F-18 FDG PET/CT Studies - Determination of maxSUV by Analysis of ROC Curve)

  • 공은정;조인호;천경아;원규장;이형우;최준혁;신덕섭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6호
    • /
    • pp.553-560
    • /
    • 2007
  • 목적: F-18 FDG PET은 근골격계 종양에서 양성과 악성병변을 감별하는 유용성에 대하여 다양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F-18 FDG를 이용한 PET/CT로 근골격계 종양의 maxSUV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치료 전 46개 병소(연부 조직 종양 양성/악성 : 11/12, 골종양 양성/악성 9/14)에 대하여 F-18 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로 확진하였다. 악성과 양성을 구분하는 maxSUV 절단값은 연부 조직 종양에서는 4.1, 골종양에서는 3.05로 하였다. 결과: 연부 조직 종양에서 양성(R=11; maxSUV $3.4{\pm}3.2$)과 악성(n=12; maxSUV $14.8{\pm}12.2$) 간에 maxSUV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01) 차이가 있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3%, 91%였다. 그러나 골종양에서는 양성 종양(n=9; maxSUV $5.4{\pm}4.0$)과 악성 골종양(n=14; maxSUV $7.3{\pm}3.2$)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부 조직 종양에서는 결절성 근막염이 위양성으로 나타났고(maxSUV=12.4) 골종양에서는 섬유성 골이형성증과 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2예 및 골모세포종이 있었다. 결론: 연부 조직 종양에서 maxSUV는 양성과 악성을 감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그러나 골종양의 경우에는 maxSUV가 낮은 경우에는 악성을 배제할 수 있었으나, maxSUV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학적으로 조직구나 섬유모세포 등이 포함된 종양의 감별진단을 고려하여야한다.

폐 평활근종 치험 1례 (Pulmonary Leiomyoma; A Case Report)

  • 홍기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9호
    • /
    • pp.735-737
    • /
    • 1993
  •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leiomyoma in the right upper lobe of the lung in a 56 year old female. Preoperative studies revealed the tumor nature as benign, and we chose right upper lobectomywith video-assisted thoracoscope rather than with the usual posterolateral thoracotomy. Postoperativehistological diagnosis was pulmonary leiomyoma which is a rare type of benign lung tumor.

  • PDF

종격동에서 원발한 폐내 양성기형종 -1례 보고- (Benign Intrapulmonary Teratoma Originating from Mediastinum -A Case rRport-)

  • 최진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644-648
    • /
    • 1995
  • Intrapulmonary teratoma is rare : only 30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world literature. We had experienced a case of benign intrapulmonary teratoma originated from anterior mediastinum associated with broncho-tumorous fistula, which was treated with En bloc removal of tumor and right middle lobectomy. Post-operative course was not eventful.

  • PDF

폐 과오종: 2례 보고 (Intr apulmonary Hamartoma - 2 Case Report -)

  • 김형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6호
    • /
    • pp.577-580
    • /
    • 1992
  • We experienced two cases of pulmonary hamartoma, which i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of lung. But the hamartoma is rare disease, because the most neoplasm of the is malignant. The importence of pulmonary hamartoma is the necessity of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lung cancer and benign tumor of the lung. Recently, the development of FNAB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shows accurate diagnostic results.

  • PDF

식도게실을 동반한 기관지-식도루;수술치험 1례 (Bronchoesophageal Fistula Associated with Esophageal Diverticulum; A Case Report)

  • 최대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7호
    • /
    • pp.579-582
    • /
    • 1993
  • We experienced a case of acquired benign bronchoesophageal fistula associated esophageal diverticulum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by division of ~stulous tract and esophageal diverticulectomy.Benign bronchoesophageal fistulas associated with esophageal diverticulum are very rare. This presentation is characterized by paroxysmal cough especially after drinking liquids and is easily diagnosed by esophagogram. We report a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연조직고형종양의 악성과 양성 감별: 임상과 자기공명영상 복합소견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from Benign Soft-Tissue Solid Tumors: Clinical and MR Finding Complex)

  • 문태용;김정일;신수미;추혜정;최현욱;김수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9-87
    • /
    • 2004
  • 목적: 최근 자기공명영상의 개발로 다양한 연조직종양의 영상의학적 진단이 가능해 졌다. 그러나 연조직종양의 다양한 조직구성이나 시간에 따라 구성분의 변화는 자기공명영상 만으로 악성과 양성 종양조차 감별을 어렵게 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임상과 자기공명영상의 복합적인 소견으로 악성과 양성 연조직종양을 감별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82례(중간성종양을 악성종양으로 포함하여 37례와 염증성 종괴를 양성종양으로 포함하여 45례)를 후향적으로, 임상적 소견으로 연령, 크기, 위치, 그리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으로 종양경계, T2신호강도양상, 조영제T1신호강도양상, 그리고 조영증강 범위를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으로 진단이 어렵지 않는 많은 전형적인 지방종과 결절종 그리고 농양같은 낭종은 양성종양 분류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악성연조직종양은 양성에 비하여 연령으로 21~40세와 61~80세, 크기로 3.0 cm 이상, 발생위치로 몸체-골반-하지, 그리고 자기공명영상에서 불규칙한 경계, 50%이상의 조영증강범위 소견들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발생위치로 몸체-골반-하지 와 상지-어깨-척추 로 나눈 임상소견이 악성과 양성 연조직종양을 감별하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다른 소견들은 특이적이지는 않았지만 부가적으로 악성과 양성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견이었다.

  • PDF

사지 및 체간에 발생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의 발생 분포 (Distribution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Occurred in Extremities and Trunk)

  • 김태승;서경원;김태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3
    • /
    • 1999
  • 1984년 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에서 경험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총 230례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결절종(26.5%)이 가장 많았고, 혈관종(19.6%), 지방종(17.0%), 슬와낭종(13.0%), 신경초종(7.0%)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그리고, 임파관종(3.9%), 섬유종증(3.0%), 사구종(3.0%), 신경 섬유종(2.2%), 평활근종(0.9%),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0.9%), 점액종(0.9%), 외상성 신경종(0.9%), 황색종(0.4%), 활액막성 연골종증(0.4%), 골화성 근염(0.4%)이 발생하였다. 2. 종양의 분포 연령은 비교적 전 연령층에 걸쳐 고르게 발생하였다. 이 중 혈관종과 임파관종은 20세 이전에 호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성별 분포는 남자 98례, 여자 132례로 여자에게 약 1.3배 많았으나, 슬와낭종과 신경초종은 남자에게 호발하였다. 4. 15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혈관종, 결절종, 임파관종, 지방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6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결절종, 지방종, 슬와낭종, 혈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 발생 부위는 하지(60.0%)에 호발하였고, 상지(35.2%), 체간(4.8%)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6. 크기가 1cm 미만인 종양은 결절종, 사구종, 혈관종, 임파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5cm인 종양은 결절종, 혈관종, 슬와낭종, 지방종, 신경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cm 이상인 종양은 지방종, 혈관종, 임파관종, 결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7. 모든 환자는 절제술로 치료받았고, 국소 재발은 22례(9.6%)에서 나타났으며 혈관종이 12례로 가장 많았다. 재발율은 외상성 신경종,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 신경 섬유종, 섬유종증, 혈관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Diffusion Weighted Imaging Can Distinguish Benign from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Comparison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Usuda, Katsuo;Maeda, Sumiko;Motono, Nozomu;Ueno, Masakatsu;Tanaka, Makoto;Machida, Yuichiro;Matoba, Munetaka;Watanabe, Naoto;Tonami, Hisao;Ueda, Yoshimichi;Sagawa, Motoyas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469-6475
    • /
    • 2015
  • Background: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 makes it possible to detect malignant tumors based on the diffusion of water molecules. It is uncertain whether DWI is more useful tha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or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thymomas 7, thymic cancers 3, malignant lymphomas 3, malignant germ cell tumors 2, and thymic carcinoid 1) and 12 benign mediastinal tumors or mass lesions were assessed in this study. DWI and PET-CT were performed before biopsy or surgery. Results: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value ($1.51{\pm}0.46{\times}10^{-3}mm^2/sec$) of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2.96{\pm}0.86{\times}10^{-3}mm^2/sec$) of benign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P<0.0001).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11.30{\pm}11.22$) of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2.53{\pm}3.92$) of benign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P=0.0159). Using the optimal cutoff value (OCV) $2.21{\times}10^{-3}mm^2/sec$ for ADC and 2.93 for SUVmax, the sensitivity (100%) by DWI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93.8%) by PET-CT for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The specificity (83.3%) by DWI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66.7%) for benign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The accuracy (92.9%) by DWI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82.1%) by PET-CT for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agnostic capability of DWI and that of PET-CT for distinguishing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DWI is useful in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Diagnostic Performance of Diffusion - Weighted Imaging for Multiple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with FDG Accumulation

  • Usuda, Katsuo;Maeda, Sumiko;Motono, Nozomu;Ueno, Masakatsu;Tanaka, Makoto;Machida, Yuichiro;Matoba, Munetaka;Watanabe, Naoto;Tonami, Hisao;Ueda, Yoshimichi;Sagawa, Motoyas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401-6406
    • /
    • 2015
  • Background: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assess patients who have multiple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MHMLN) with FDG accumulation in PET-CT. Since it is uncertain whether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 is useful in the assessment of such patients, its diagnostic performance was assesse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ho had three or more stations of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with SUVmax of 3 or more in PET-C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For diagnosis of disease, there were 20 malignancies (lung cancers 17, malignant lymphomas 2 and metastatic lung tumor 1), and 3 benign cases (sarcoidosis 2 and benign disease 1). For diagnosis of lymph nodes, there were 7 malignancies (metastasis of lung cancer 7 and malignant lymphoma 1) and 16 benign lymphadenopathies (pneumoconiosis/silicosis 7, sarcoidosis 4, benign disease 4, and atypical lymphocyte infiltration 1). The ADC value ($1.57{\pm}0.29{\times}10^{-3}mm^2/sec$) of malignant MHML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1.99{\pm}0.24{\times}10^{-3}mm^2/sec$) of benign MHMLN (P=0.0437). However, the SUVmax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10.0{\pm}7.34$ as compared to $6.38{\pm}4.31$) (P=0.15). The sensitivity (86%) by PET-C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71%) by DWI for malignant MHMLN (P=1.0). The specificity (100%) by DW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31%) for benign MHMLN (P=0.0098). Furthermore, the accuracy (91%) with DW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48%) with PET-CT for MHMLN (P=0.0129). Conclusions: Evaluation by DWI for patients with MHMLN with FDG accumulation is useful for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