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ding modulus of ruptur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가압.가열처리한 자작나무 적층재의 물성과 생활용품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for Living Products and Properties of Betula platyphylla Laminated Wood Manufactured by Pressing and Heating)

  • 신랑호;권진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6-103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bility of domestic thinning and small diameter wood as applying in pattern design which can be used in interior decoration, wood craft and wood furniture, and in developing the designs of furniture and household items.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tula platyphylla Wood by pressurization and heat treatment. Color change is clear, and the wood density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ssing rate. The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rupture and modulus of elasticity in bending strength are decreased as heating time is increased after pressing. However, shrinkage is improved after pressing and heating.

  • PDF

소경재를 이용한 통직집성재의 휨강도 특성 (Bending Strength Properties of glulam made from small diameter logs.)

  • 박준철;홍순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8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ength and technical feasibility of glulam from small diameter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mall diameter logs are currently not used in structural laminated beam construction, but it is suggested that its properties may be feasible for this purpose. The glulam combinations were designed with high grade laminae located at outer laminations (face) and low grade laminae located at center laminations. Important problems of finger jointed glulam as a structural beam are the small modulus of rupture (MOR). One solution for this problem Mi to use veneer and solid wood as the face laminae. The MOE values were predicted for each beam from laminae. The results showed that actual beam MOE values exceeded slightly the predicted values. Based on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Pinus and Larix glulam, the maximum load of Larix kaempferi glulam indicated large values. The bending properties of A and E types glulam were superior to others. It is suggested that this small diameter log can be a candidate for structural glulam construction, providing the proper combinations of face laminae.

  • PDF

목재섬유, 톱밥 및 녹차 이종복합보드의 정적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 및 톱밥 배합비율의 영향 (Effect of Green Tea and Saw Dust Contents on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Wood Fiber, Saw Dust and Green Tea)

  • 박한민;이수경;석지훈;최남경;권창배;허황선;김종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41-4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부가하여, 목제품 생산 후 발생하는 부산물인 편백 톱밥의 효율적인 이용과 건축내장재로의 응용을 목표로 목재섬유와 편백톱밥 및 녹차분말을 혼합한 복합보드를 제조하여 정적 휨강도성능에 영향하는 톱밥 및 녹차의 배합비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재섬유-톱밥-녹차 복합보드의 휨 탄성계수는 0.956~1.18 GPa의 범위에 있었고, 목재섬유 : 톱밥 : 녹차의 배합비율 50 : 40 : 10에서 가장 높은 값을, 50 : 30 : 20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선행연구의 녹차-목재 섬유 복합보드보다 2.0~3.1배 낮은 값을 나타냈다. 목재섬유-톱밥-녹차 복합보드의 휨 강도는 8.99~11.5 MPa의 범위에 있었고, 구성요소의 배합비율에 따른 휨 강도의 변화는 휨 탄성계수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보다 1.9~3.5배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KS에 규정된 파티클보드 및 중밀도섬유판의 강도치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 복합보드를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복합보드 구성요소의 배합비율의 조정, 이종재료와의 복합화 및 접착제의 전환 등으로 강도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재(木材)파아티클과 철선복합(鐵線複合)보오드의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 휨강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oard Composed of Wood Particle and Steel Wire - Focusing on Bending Strength -)

  • 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9-17
    • /
    • 1990
  • When manufacturing beam by laminating particleboard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articleboad-laminated beam would be also improved if the properties, especially mechanical properties of particleboad be reinforced. In this study, steel wires were used to reinforce particleboar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oard composed of wood particle and steel wires, focusing on bending strength which is the important factors in laminated beam and it was tri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particleboard-laminated beam. and the proportion of steel wires to wood particles in particleboards. The result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re steel wires used in boards, the higher value of modulus of rupture in bending was obtained, For example. the density 5 board composed of 14 numbers of steel wires showing 55% improved value than control board. 2. The board with lower density was also made better in higher value of elasticity, the density 0.5 board with 14 numbers of steel wires improved by 170%, the density 0.6 board by 86%, the 0.7 board by 37% and the 0.8 board by 26%. 3. The work to maximum load was improved with more steel wires. for example, the density 0.8 board with 14 numbers of steel wires improved by 31%.

  • PDF

낙엽송 소경각재의 휨 파괴계수 예측 (Prediction of The MOR of Larch Lumber)

  • 이인환;조수민;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93-99
    • /
    • 2018
  • 국내산 낙엽송 소경각재의 휨 강도 성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비파괴적인 지표의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엽송 소경각재(단면 $89{\times}120mm$)를 초음파법, 종진동법, 소하중법의 비파괴 방법으로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실측 탄성계수와 유의성이 높은 비파괴 측정 방법을 결정 후 휨 파괴계수 예측 지표로 적용하였다. 종진동법으로 측정된 탄성계수가 실측 탄성계수와 가장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휨 파괴계수와 실측 탄성계수의 유의성도 매우 밀접하게 측정되었으므로 종진동법에 의한 비파괴 탄성계수로 소경각재의 휨 파괴계수를 예측하였다.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정적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배합비율의 영향 (Effect of Green Tea Content on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and Wood Fibers)

  • 박한민;강동현;임나래;이수경;정강원;김종철;조경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1-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녹차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보드를 건축내장재로의 활용을 위하여, 녹차의 다양한 기능성과 목재섬유의 우수한 강도특성을 살려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의 정적 휨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와 목재섬유 배합비율 및 접착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휨 강도성능은 녹차의 배합에 따라 대조보드 (control 보드) 보드의 그것보다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비율은 전반적으로 녹차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보드제조에 사용된 수지의 종류에 따라 강도성능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이 많은 $E_1$급 요소수지가 $E_0$급 요소수지보다 휨 탄성계수에서는 1.08~1.53배 그리고 휨 강도는 1.19~1.82배의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녹차의 배합비율이 커질수록 양자의 차이는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휨 강도는 $E_1$급 요소수지의 경우, 시판용 중밀도섬유판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의 0.94~1.03배의 값을 나타내어 시판용 중밀도섬유판과 거의 차이가 없었고, 녹차와 목재섬유를 복합한 우수한 친환경 기능성복합보드제조가 가능한 것이 밝혀졌다.

한지슬러지-목재섬유 복합보드의 제조연구 II. 한지슬러지-목재섬유 복합보드의 기계적 성질 (Study on Manufacture of Korean Paper(Hanji) Sludge-Wood Fiber Composite Boards II.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Paper(Hanji) Sludge-Wood Fiber Composite Boards)

  • 이필우;이학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31-37
    • /
    • 1999
  • 한지제지 공정 중에서 발생하는 백색슬러지와 흑색슬러지를 각각 일정비율(10:90, 20:80, 30:70, 40:60)로 목재 섬유와 혼합하고 PMDI, 요소 및 폐놀수지를 이용하여 목표비중 0.60, 0.75, 0.90 별로 복합보드를 제조한 결과 전반적으로 볼 때 PMDI수지를 적용한 백색슬러지-목재섬유 복합보드나 요소수지를 적용한 흑색슬러지-목재섬유 복합보드의 경우 20% 정도까지의 슬러지 첨가는 거의 통상적인 보드에 대용하는 기계적 성질을 지닌다고 믿어진다.

  • PDF

목재(木材)파이티클과 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 망(網)의 결체(結締) 보오드의 물리(物理) 및 기술적(機械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ombining Wood Particles and Plastic(Polypropylene) Screen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oard)

  • 이필우;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21-44
    • /
    • 1988
  • 팔만칩 및 톱밥을 보오드에 활용(活用)하기 위한 방안(方案)의 하나로, 이들의 취약한 처리(物理) 및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개선(改善)시키기 위하여 비목질재료(非木質材料)인 폴리프로필렌망(網)을 결체(結締)하여 보오드를 제조(製造)하였다. 보오드의 제조조건(製造條件)은 비중(比重)을 0.40, 0.55, 0.70 및 0.85의 4수준으로 하고 수지첨가율(樹脂添加率)을 8%, 10%, 12% 및 14%의 4수준으로 하였으며, 망수(網數)는 1장에서 4장으로 하여 보오드를 각각 제조(製造)하였다. 이들 보오드의 물리(物理) 및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은 두께팽창율(膨脹率), 휨파괴계수(破壞係數), 휨탄성계수(彈性係數), 인장강도(引張强度), 박리저항(剝離抵抗) 및 나사못보지력(保持力) 등을 측정조사(測定調査)하고 고찰(考察)하였는데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은 중요한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지수첨가율(指數添加率)이 증가함에 따라 두께팽창율(膨脹率)은 감소(減少)하였고, press-lam 보오드는 일반성형(一般成形)보오드 보다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2) 보오드의 휨파괴계수(破壞係數) 및 탄성계수(彈性系數)는 비중(比重)이 증가하였으며 press-lam 보오 드는 일반적형(一般的形)보오드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망수(網數)가 증가함에 따라 휨파괴계수(破壞係數)는 증가하였고, 수지첨가율(樹脂添加率)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같은 양상이 나타났으나 휨탄성계수(彈性係數)의 경우 망수(網數)에 따른 효과(效果)는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3) 비중(比重)이 증가함에 따라 보오드의 인장강도(引張强度)는 증가하였으며, 망구성(網構成)보오드는 대조보오드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 망수(網數)가 증가함에 따라서도 인장강도(引張强度)는 증가하였으며, press-lam 보오드는 일반적형(一般的形)보오드보다 높은 인장강도치(引張强度値)를 보여 주었다. 4) 보오드의 박리저항(剝離抵抗)은 비중(比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망(網)을 결체(結締)한 보오드는 대조보오드 보다 모두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기수매구성(奇數枚構成)보오드는 우수매구성(偶數枚構成)보오드보다 낮은 박리저항치(剝離抵抗値)를 보였다. 5) 수지첨가율(樹脂添加率) 및 비중(比重)이 증가함에 따라 나사못 보지력(保持力)은 증가하였으나, 망구성(網構成)보오드와 대조보오드사이에서의 차이는 크지 아니하였다. presslam 보오드에서 팔만칩보오드의 경우 고비중(高比重)보오드가, 톱밥보오드의 경우 저비중(低比重)보오드가 각각 대조보오드보다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 PDF

Densification Behavior of Mechanically Alloyed NiAl Powder Compact during Spark-plasma Sintering and its Mechanical Property

  • Kim, Ji-Soon;Jung, Soon-Ho;Jang, Young-Il;Kwon, Young-Soon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2-175
    • /
    • 2003
  • Mechanically-alloyed NiAl powder was sintered by Spark-Plasma Sintering (SPS) process. Densification and behavior mechanical property were determin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nalysis ,such as changes in linear shrinkage, shrinkage rate, microstructure, and phase during sintering process, Victors hardness, and transver.ie-rupture-strength (TRS). Above 97% relative density was obtained after sintering at 115$0^{\circ}C$ for 5 min. Crystallite size determined by the Scherrer method was approximately 50 nm. From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ntered bodies were composed mainly of NiAl phase together with Ni$_3$Al phase. Measured Vickers hardness and TRS value were 555$\pm$10 $H_v$ and 1393$\pm$75 MPa , respectively.

목재와 목질보드 복합적층재의 휨강도성능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s of Hybrid Laminated Woods Composed of Wood-Wood Based Boards)

  • 박한민;문성재;최윤은;박정환;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546-555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목재의 효율적인 이용의 일환으로 스프루스 직교형적층재의 중층을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PB) 및 배향성스트랜드보드(oriented strand board, OSB)의 3종류의 시판용 목질보드를 복합적층한 3층 목질계 복합적층재(패널)를 제작하여, 중층목질재료라미나의 구성엘리멘트가 복합적층재(패널)의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질계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는 중층에 배향성스트랜드보드(OSB)를 배열한 복합적층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중밀도섬유판(MDF)을 중층에 배열한 복합적층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중층에 섬유직각방향라미나를 배열한 다양한 종류의 직교형적층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층이 스프루스 섬유직각방향으로 된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 예측치는 실측치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표층이 스프루스 섬유방향으로 된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 예측치는 실측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적층재의 휨 강도는 배향성스트랜드보드(OSB)를 중층에 배열한 타입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파티클보드(PB)를 중층에 배열한 타입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휨 탄성계수와 약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복합적층에 의해, 복합적층재의 휨강도 성능의 이방성은 스프루스소재의 그것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보드상호간의 강도성능의 차이도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