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t armyworm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1초

합성 성훼로몬에 의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방제 I. 외대파에서의 대량유살에 의한 방제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Lepidoptera : Noctuidae), using Synthetic Sex Pheromone I. Control by Mass Trapping in Allium fistulosum Field)

  • 박종대;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5-49
    • /
    • 1992
  • 파밤나방은 기존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남 진도의 파 집단 재배단지에서 합성 성훼로몬을 이용한 방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파를 가해하는 해충중 우점종은 파밤나방과 파굴파리였으며, 두 종은 포장에 따라 경합을 이루어 우점종이 달랐다. 성훼로몬 트랩에 의한 방제효과는 초기에 피해가 많았던 포장은 처리 4주후에 피해엽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중간 정도의 포장은 2주후에는 약간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지만 4주후에는 같은 경향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초기피해가 낮은 포장은 계속 낮은 피해가 유지되었으며, 8주후에는 파 60주당 피해엽수가 무처리 포장에서 평균 33.2개의 반면 처리포장에서는 0.2~3개로 조절되었다. 또한 pheromone trap에 의한 웅성충의 유인량도 설치 초기에는 1.8~5.0마리로 적었으나, 2주후부터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8주후에는 77.4마리로 초기에 비해 유인량이 28배 가량 많아졌다. 성훼로몬 트랩 유인량과 피해엽수와는 부의 상관관계(r={TEX}$-0.9572^{*}${/TEX})가 인정되었다. 또한 색광별 light trap의 유인량은 30일 동안 적색에 6마리, 백색에 11마리, 청색에는 전혀 유인되지 않은 반면 pheromone trap에는 1,041마리가 유인되었다.

  • PDF

PCR-RFLP를 이용한 파방나방 (Spodoptera exigua(H bner)) 미토콘트리아 DNA의 유전변이 연구 (Study on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Mitochondrial DNA i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 bner), Using PCR-RFLP)

  • 김용균;이명렬;정충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3-30
    • /
    • 1998
  • DNA의 제한요소단편 다형현상(RFLP)이 유전변이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RFLP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게놈 크기 측정 및 PCR primer들을 선발하였다. 파밤나방의 mtDNA 전체크기는 약 16kb였다. 대부분 곤충 mtDNA에 적합하게 구성된 (Simon et al., 1994)29개 promer들중 21개가 파밤나방의 mtDNA증폭에 적합했다. 이들 primer들을 이용하여 여러 유전자 영역(CO-I, CO-II, Cyt-B, ND-1, 12S rRNA, 16S rRNA 및 일부 tRNA)의 일분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유전자 절편을 증폭시켰다. 일반적으로 다형을 보이는 primer조합을 중심으로 4염기 제한부위를 인식하는 8종의 제한 효소를 통해 분석된 PCR-RFLP는 서로 다은 지역(안동, 경산, 순천) 집단들간에 제한부위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영역에서는 길이 차이를 보여 유용한 유전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 PDF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의 내한성유기 관련인자 분석 (Physiological factors affecting rapid cold hardening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 송원례;김용균;조점래;김홍선;이정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9-255
    • /
    • 1997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은 아치사온도($5^{\circ}C$, 2시간)에 노출된 뒤에는 빙점이하의 저온에서 내한성이 증가하였으며 내한성 및 내한성유기는 집단별로 차이가 났다. 파밤나방의 내한성에 관한 생리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내한성이 다른 집단들의 내한성유기, 체내글리세롤 함량, 혈림프의 몰 삼투압 농도, 체내빙결점, 저온유기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처리된 5령충은 혈림프의 삼트압 및 체내글리세롤 함량의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이들 상승효과는 서로 다른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아치사온도에서 유기되는 저온유기단백질은 10~20 kD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었으며 체내빙결점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한 국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Populations in Korea Using Polymorphic Allozymes)

  • 강성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5-243
    • /
    • 2001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의 유전변이가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집단들은 다른 기주, 지리적 위치, 그리고 시기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평균 이형접합자빈도($0.443\pm$0.013)는 파밤나방 전체 집단의 높은 유전변이를 나타냈다. 각 소집단들은 모두 Hardy-Weomberg 균형에서 벗어난 뚜렷한 동계교배 양식을 보였다. 이러한 높은 동계교배 효과는 지역고립에 의한 집단간 분화보다는 대부분 소집단 내 표본 추출 효과에 기인된 비임의교배에 의해 야기되었다. Wright($F_{ST}$ ) 와 Nei의 유전거리(D)는 소집단들간 유전적 분화가 낮음을 나타내지만, 일부 남쪽지역의 소집단들(해남과 사천)은 상대적으로 북쪽의 소집단들(안동과 군위)과 차이를 보였다. 유전적 거리를 기초하여 추정된 세대당 이주 개체수는 서로 다른 기주 집단간 5.9마리, 지역 집단간 10.6마리, 시기 집단간 31.8마리였다. 이러한 유전분석 결과들을 보아 국내 파밤나방은 이들의 탁월한 집단간 이주 능력 때문에 집단간 유전분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냈다.

  • PDF

파밤나방 유충의 발율 및 성충의 수명과 산란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Some Temperatures on Larval Development, Adult Longevity and Ovipositio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 최주수;박영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00
  • Larval development, adult longevity and ovipositio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 bner was studied at 16, 20, 25 and 3$0^{\circ}C$ with a 16L: 8D photoperiod. Egg hatchability of S. exigua was the highest at 3$0^{\circ}C$ and reduc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Egg period was the shortest at 3$0^{\circ}C$ and prolong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Percent pupation was became higher at higher temperature form 23.2% to 94.0%. Developmental period of larva was the shortest at 3$0^{\circ}C$, but extend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dult emergence ratio was the highest at 3$0^{\circ}C$ and reduc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The mean pupal period was 35.2, 14.4, 7.8 and 5.0 days at 16, 20, 25 and 3$0^{\circ}C$, respectively. Relationships between constant temperature and the developmental velocity of egg, larva and pupa were linea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seems to be 13.3 8$^{\circ}C$ for egg, 14.02$^{\circ}C$ for larva, 14.09$^{\circ}C$ for pupa, and 13.84$^{\circ}C$ for egg the adult. Estimated value of the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completing each stage was 36.89 day-degree for egg, 155.72 day-degree for larva, 79.20 day-degree for pupa, and 273.41 day-degree for egg to adult. Female longevity varied to temperature from 11.4 days at 16$^{\circ}C$ to 5.8 days at 3$0^{\circ}C$, and male longevity was longer than that of female. Preoviposition period was the shortest at 3$0^{\circ}C$, but prolong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It was about 2.7 times longer at 16$^{\circ}C$ than that at 3$0^{\circ}C$. Number of eggs per female was the highest at $25^{\circ}C$, followed by 20, 30 and 16$^{\circ}C$.

  • PDF

검역해충실험동에서 파밤나방의 온도별 생활사 및 2종 살충제에 대한 유충 감수성 조사 (Analysis of Life Cycle on Spodoptera exigua by Various Temperatures and Larval Susceptibility against Two Pesticides in Quarantine Pest Research Facility)

  • 이지은;박영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85-191
    • /
    • 2021
  • 농림축산검역본부는 해외해충 연구를 위해 밀폐능력을 갖춘 검역해충실험동을 구축하였다. 연구실험실로써 검역해충실험동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파밤나방을 이용하여 해충사육, 연구, 밀폐기능을 검증하였다. 해충사육 기능검증에서 한 세대의 파밤나방 완성에 필요한 온도별 생활사는 25℃에서 32.2일이 소요되었으며, 알 부화율은 80%, 유충 용화율은 86.6%, 번데기 우화율은 90%로 조사되었다. 연구기능 검증에서 살포법과 침지법을 이용하여 2종의 살충제(풀룩사메타마이드와 히드라메칠론)에 대한 고도의 유충 감수성을 확인하였다. 밀폐기능 검증에서는 겨울 동안 수행된 검역해충실험동의 유출시험에서 외부에 설치된 성페로몬 트랩에 파밤나방 수컷성충이 포획되지 않아 성충 유출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외해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검역해충실험동에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루꼴라(로케트) 포장에서 해충 발생양상과 파밤나방 방제용 약제 선발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Selection of Insecticides o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n Rucola (Eruca sativa Mill.) Fields)

  • 이영수;김소희;최종윤;이현주;이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299-305
    • /
    • 2022
  • 최근 새로운 엽채류로 관심받고 있는 루꼴라의 주요 해충에 대한 발생과 피해정보는 물론 주요 해충인 파밤나방을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살충제를 선발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경기도 화성과 고양의 루꼴라 포장에서 발생한 해충은 모두 4목 7과 9종이었다. 이중 피해가 높았던 파밤나방에 대해 시판 살충제의 방제 효과를 포장에서 검정한 결과, Spinetoram SC, fluxametamide EC, chlorantraniliprole WG, cyantraniliprole DC, emamectin benzoate EC는 루꼴라 재배 포장 2개소에서 95% 이상의 높은 살충효과를 보였고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루꼴라 재배지에서 파밤나방 방제 전용 살충제로 등록되어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작물 해충 및 진균류 방제를 위한 방선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for the Control of Agricultual Pests and Fungal Pathogene)

  • 이은정;강경돈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3-69
    • /
    • 1998
  • Twenty seven out of ca. 5,000 actinomycete strains, which were isolated from soil col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showed antibicrobial effects against fungai, Rhizopus stronifer (ATCC 6227a), Rhizoctonia solani (KCCM 11271) and yeast, Candida albicans (ATCC 10231). From these antifungal microorganisms, we further selected seven strains which seemed to produce insecticidal substances with in vivo test, using silkworm, Bombyx mori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experiments revealed that three strains out of seven were Streptomyces.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se antifungal and insecticidal substances are now in progress.

  • PDF

인공사료에 의한 파밤나방의 대량사육법 (Simple Mass-Rearing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Lepidoptera : Noctuidae) on an Artificial Diet)

  • 고현관;이상규;이비파;최현문;김상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0-183
    • /
    • 1990
  • 인공사료에 의한 실내사육에서 부활율은 97.9%, 3령까지의 생존율은 83.3%였다. 3령유충에서의 용활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82.5%, 개체사육에서 48.5%, 집단사육에서 37.5%로서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가장 높았다. 유화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90.9%, 개체사육에서 85.2%, 집단사육에서 86.7%로 거의 비슷하였다. 톱밥을 이용한 집단 사육법은 개체사육법에 비하여 사육방법이 용이하고 인공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