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t armyworm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초

Molecular Cloning of Cytochrome P450 Family Gene Fragment from Midgut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Moon, Jae-Yu;Lee, Pyeongjae;Cho, Il-Je;Kim, Iksoo;Lee, Heui-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2호
    • /
    • pp.155-162
    • /
    • 2002
  • Cytochrome P45O (CYP) gene has been known to play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in metabolizing the exogenous materials. In insect, CYP is particularly known to detoxify toxic materials by adding oxygen molecule to the hydrophobic region of the materials. Thus, CYP-dependent metabolism is associated with the adaptation of insect to host plant chemicals. This in turn is known to be one of the driving forces for CYP diversific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cloned seven gene fragments of CYP 4 (CYP4) family from the midgut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through RT.PCT, Sequence analysis of the product showed the gene fragment to contain an open reading frame of ~150 amino acids, consisted of ~450 bp. The cloned gene fragments contained typical, conserved regions found in CYP4 family. Pairwise comparison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among seven clones ranged in divergence from 0% to 52.86% and resulted in five distinct clones. The other two clones were identical or differ by one amino acid respectively to the corresponding clone, although each differed by ten nucleotides.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GenBank-registered, full length CYP4 and the cloned fragments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r^{2}$ = 0.96085; p < 0.001), suggesting utility of the partial sequences as such full-length sequences.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clones with GenBank-registered insect and mammal CYP4 family sequences by parsimony and several distance methods subdivided the clones into two groups: tones belonging to CYP4S and the others to CYP4M families.

유기농자재와 Bacillus thuringiensis의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의 방제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and Bacillus thuringiensis on Spodoptera exigua)

  • 한지희;윤지혜;손수진;김정준;이상엽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1-417
    • /
    • 2015
  • 본 연구는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을 방제하기 위하여 살충효과가 잘 알려진 유기농자재 5종(님, 고삼, 제충국제, 데리스, 담배잎 추출물)과 이 식물추출물 +Bacillus thuringiensis 혼합 처리에 의한 살충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0.025% Matrine 또는 0.016% Matrine + BT ($5{\times}10^4$, $10^5cfu$) 혼합처리구의 살충율은 98.7, 93.3, 97.3%로 방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처리농도인 0.01% Matrine + BT ($5{\times}10^4cfu$) 혼합처리에서도 69.3%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또한 0.1% Neem + BT ($5{\times}10^6cfu$)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 유충의 살충율은 50.0%이었으며 혼합처리에 의한 유충의 체중감소 효과도 우수하였다. 따라서 파밤나방의 밀도를 줄여주며 BT와 유기농자재에 대한 저항성 발달의 가능성을 낮추어 지속적인 방제를 위해 0.016% Matrine + BT ($5{\times}10^4cfu$) 로 혼합처리 할 경우 파밤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pyrethroids약제에 대한 감수성 및 전기적 신경 반응 비교 (Toxi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ctivities of Pyrethroids between Larvae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함선희;안희근;양정오;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2
    • /
    • 2009
  • 본 실험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에 처리방법에 따른 살충 효과를 토대로 신경계를 작용점으로 하는 pyrethroid계 약제를 이용하여 신경반응을 비교해 보았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모두 충체분무처리시 세 약제에서 50%이하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엽면침지시 배추좀나방은 50ppm에서 deltamethrin은 100%, fenvalerate는 80%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permethrin은 63.3%로 나타났다. 하지만 파밤나방은 모든 농도에서 control과 비슷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세 약제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신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기생리반응을 통해 신경감수성을 살펴본 결과, 배추좀나방은 deltamethrin은 $10^{-7}M$, fenvalerate는 $10^{-5}M$, permethrin은 $10^{-3}M$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파밤나방은 이 세 약제에서 모두 둔감한 반응결과를 얻었다.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환경친화적 방제를 위한 작물보호제의 선발 (Selection of Crop Protectant for Friendly Environmental Control of Spodopf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 김대용;조민수;최수연;백승경;김진수;윤영남;황인천;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5-50
    • /
    • 2008
  • 생리, 생태적 특성 때문에 난방제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 파밤나방에 대한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판매 중인 화학농약과 생물농약에 대해 생물검정을 실시했다. 국내 파밤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총 58개 약제 중에서 선발된 25종의 살충제에 대하여 약효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중 신경독(Neurotoxin)작용으로 해충을 치사시키는 살충제(12종)와 해충의 성장을 저해하는 생장조절제(IGR) 및 혼합제(10종) 그리고 생물농약 B떼(3종)로 구분하여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신경독작용을 하는 12종의 약제 중 가장 속효성이며 살충성이 좋은 것은 Avermectin계인 Emamectin benzoate (EC)가 처리 3일 후에 100%의 효과를 나타냈었고, 다음으로 Oxadiazine계인 Indoxacarb (WP)가 처리 5일 후에 100%의 사망율을, Indokacarb (WG), Indokacarb (SC), Indoxacarb + Etofenprox (WP), Pyridalyl (EW)등 4종 약제가 91%이상의 약효를 나타내었다. 한편, 처리된 10종의 곤충생장조절제 중 Diacylhydrazine계인 Methoxyfenozide + spinosad (SC) 혼합제는 처리 3일 후에 100%의 빠른 살충률을 보였고, Methoxyfenozide (WP), Tebufenozide (WP), Methoxyfenozide (SC) 등 3종 약제는 처리 5일 후에 92%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냈다. 생물농약인 3종류의 Bacillus thuringiensis 제는 모두 파밤나방에 35%이하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감자 품종별 해충 발생 양상 (Occurrence Pattern of Insect Pests on Several Varieties of Potato)

  • 권민;박천수;함영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49
    • /
    • 1997
  • 우리나라에서 감자의 장려품종으로 지정된 7개 품종(남작, 수미, 대지, 세풍, 조풍, 남서, 대서)에 대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강릉과 대관령 포장에서 살충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기간동안 해충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흡즙성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과 감자수염진딧물(Marcrosiphum euphorbiae Thomas)이,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유충이, 땅속으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땅속에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각각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품종별 진딧물 밀도는 대지, 남작, 세풍 품종에서 50엽당 평균 22.7, 30. 7, 32.3 마리로 낮은 반면, 수미와 남서 품종은 46.3와 42.3마리로 높았다.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엽은 세풍과 조풍 품종이 시험구당 평균 11.0과 14.3엽으로 적었고, 대지와 남서 품종이 153.3과 134.7엽으로 많았다. 정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괴경피해율은 남작, 수미, 대지, 조풍 품종이 8.1, 10.3, 13.9, 14.0%로 낮았으나, 남서와 세풍 품정은 50.5%, 46.8%로 매우 높았다.

  • PDF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의 살충제 감수성 변이-에스테라제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 (Variation in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Esteras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 김용균;이준익;강성영;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2-178
    • /
    • 1997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은 야외집단과 실내집단들간에 살충제 감수성에서 큰 변이를 보였다. 조사된 모든 약제에서 야외집단은 비선발 실내집단보다 높은 약제 저항능력을 보였다. 약제 선발된 실내집단은 선발 약제에 대해 저항능력을 높게 발현시켰다. 이러한 약제 저항능력의 변이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에스테라제 활력 변이와 비교 분석되었다. 약제 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이 낮아지고 에스테라제활력은 높아졌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Km(Michaelis-Menten constant)값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 내에서 발육단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2, 3, 4령충보다는 5령충에서 특히 Km값이 증가하였다. 파밤나방의 에스테라제는 6.5% 비변성조건의 겔에서 21개 밴드를 보였다. 이중 E2, E7, E8, E11, E16, E7 밴드들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발현 빈도수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파밤나방의 살충제 감수성변이에 해독효소활력증가와 작용점변환이 포함됨을 나타낸다.

  • PDF

선발 내건제 Keltrol-F를 이용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에 대한 엽면살포 방제 효과 (Leaf Spray Control Efficacy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Supplemented with the Selected Antidesiccant, Keltrol-F, o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 이성섭;김용균;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9-205
    • /
    • 2000
  •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지상부 해충에 대한 야외 방제 효과검증을 위해 화학 방제가 곤란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을 대상으로 엽면 살포시 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상부 살포시 건조에 따른 선충의 생존력 감소를 막기 위해 바람직한 내건제들이(Alkyl glucoside, CMC, glycerol, Keltrol-F, Kunipia-G 및 Laponite LXG) 우선 비교 분석되었다. 이들 내건제 가운데 Keltrol-F(0.1%)가 선발되었다. 이 농도의 내건제가 포함된 선충을 밀도별로 파밤나방이 서식하는 포크에 엽면 살포 처리하여 1 ml당 5,000마리의 감염태 선충의 유효 방제 밀도를 결정하였다. 이 선충 밀도로 포장에 적용하였을 때 87.8%dml 파밤나방 방제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