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y painting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17세기(世紀) 네덜란드 회화(繪畵)에 나타난 시민복식(市民服飾)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ivil Costumes Appeared on Dutch Paintings in the 17th Century)

  • 유주리;조오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2호
    • /
    • pp.37-47
    • /
    • 1999
  • In the 17th century, Europe had changed from medieval feudalistic ages into an absolute monarchy taking Catholicism and absolute monarchism together. On the other hand, Holland achieved prosperity in economy, culture, and arts through gradual enlightment of the people by winning independence from Spain, and religious reformation. The culture dress and its ornaments at the time was led by the governing class such as royal families and its aristocracy in Europe, while Holland, united republic country at the time, brought civil costume nationwide wholly by civil class and its effect to other neighboring countries in Europe. In addition, the origin of modern dress and its ornaments dates back to that time. Moreover, civil-looking dutch paintings found its sources in routine daily life and became realistic. With this respect, in this research, we put our purpose of the research in making a better and mor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costume and its ornaments and exploring the spirit of human beings by analyzing dutch civil costumes shown in these artistic work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is research is rather renovational comparing with prior ones focused on those of ruling class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distinguished parts of the civil costumes appeares as following beauties. First, functional beauty was respected such as natural waist line, peplum, gather of the skirt and sleeve, apron, head towel were some of the examples to those in their costumes and its ornaments. Second, with respect to humanity under rough natural surroundings and long struggle with outside tribes, humanity of costume was brought by optimistic and even free mind to them. The three quater sleeve showed wrist and deep-cut decollete in their dress and ornaments. Third, with respect to simplicity, religious effect on the leading civil class demanding self-abstinence, frugality, and thrift in their way of life resulted in black-tone simple costumes with white collar in their costumes and its ornaments.

  • PDF

전통회화의 재해석을 통한 3차원 몽유도원도 제작 (Production of 3D Mongyudowondo wit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 김종찬;김종일;김응곤;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234-1240
    • /
    • 2009
  • 문화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주는 요인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으로 삶의 차이를 보여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더욱이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가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부가가치의 원천이다. 21세기에는 예술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하여 문화콘텐츠라는 단어를 파생하게 되었다. 문화콘텐츠 복원의 한 방안으로 유물, 도자기, 회화 등의 문화재들을 재해석이라는 관점을 통하여 현시대가 지니는 의미와 기술로 재구성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회화의 특징인 시 서 화 3절의 근간을 이룬 조선 회화의 재해석을 통하여, 기존 회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작품들에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석하여 3차원 오브젝트 형태로 제작했다. 그리고 최근 부각되는 문화콘텐츠 복원의 한 방안으로 평면적인 감상에서 벗어나 상호작용성이 있는 작품으로 거듭 나게 제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통회화를 사용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킨 3D 몽유도원도틀 통하여 우리 문화를 알리는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8세기(世紀) 조선시대(朝鮮時代) 회갑연(回甲宴)과 회혼예(回婚禮) 회화(繪畵)에 나타난 식생활(食生活) 문화(文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the Festival for Elderly Person's $60^{th}$ Birthday (Hoegap) and Marriage Anniversary (Hoehon) Appearing in the 18th Century Painting of the Chosun Period)

  • 고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36-543
    • /
    • 2003
  • The Chosu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of revival for science, art, and culture, bringing about Silhak(practical science), a new trend in the history of Chosun thoughts. In the history of fine arts, realistic landscape paintings and genre paintings were popular as realism became prevalent. From the aspect of food culture, in particular, the luxurious and elegant Korean-styled food culture was completed during this period. Iwanwasuseoksihoedo was painted by Jeong Hwang (1735-1800) in 1789, depicting a banquet on an elder's $60^{th}$ birthday. It is classified as a genre painting in the late Chosun Period but it contains things that comes into our heart, which are white porcelain with blue celadon pictures, white porcelain bowls, busy atmosphere of a banqueting house where food is being carried in a hurry and elders' serene appearance. All these things show the abundance of life, the room and comfort of old ages, and the beauty and relish of life in the well-arranged living ground. Hoehonyedo was painted on an elder's $60^{th}$ marriage anniversary by an unknown artist presumably in the $18^{th}$ century is a painting as realistic as a documentary photograph. The work gives viewers pleasure and comfort because it describes not a mighty clan but the superb later years of an official who had lived right and upright life. In the aspect of food culture, it displays the food culture of the splendid sixtieth marriage anniversary of a Korean official through noble etiquette among family members, seat planning, unique table culture and high quality tableware including white porcelain with celadon pictures and pure white porcelain.

『관폭도(觀爆圖)』를 통해 본 경관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Cognition through Paintings of Viewing Falls)

  • 이원호;안혜인;김재웅;김동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5-75
    • /
    • 2015
  • 관폭도를 대상으로 폭포에 대한 인식적 측면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폭포의 비율에 따라 물이 가져다주는 미감의 차이가 있는데 화면에 폭포가 20%이상 차지하는 관폭도는 폭포를 한층 더 집중시킴으로써 자연과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경관의 인식을 가져다준다. 둘째, 화면에 나타나는 폭포의 대각구도는 폭포와 폭포를 관조하는 인물이 대칭되어서 표현되어지며, 그 영향으로 조망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조선후기는 진경산수화의 영향으로 화면의 여백이 점점 없어지며 화면을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전면구도가 성행하게 되는데, 이는 안정감 있는 구도로 편파구도와 중립구도로 배치함으로써 균형감과 폭포가 갖는 의미를 고조시킨다. 셋째, 조선시대 관폭도에는 원경에서 폭포를 관조하는 형태가 다수 나타났는데, 조선 후기로 갈수록 폭포와 그림 속 인물은 가까워지면서 폭포는 더 이상 관념속의 이상향이 아닌 실재하는 자연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미감과 미적관조를 표현하게 되었다. 넷째, 조선시대 관폭도에는 폭포를 바라보는 인물의 표현한 그림이 다수 나타났으며, 수평경, 앙감경, 부감경, 그리고 언뜻 보는 조망행동이 나타났다. 다섯째, 관폭도에 나타난 산수요소 중 바위는 폭포에 생동감을 부여해주고, 음(陰), 양(陽)으로 표현되어 폭포와 암벽의 대비로 폭포가 쏟아지는 절경을 극대화시킨다. 여섯째, 관폭도에 표현 된 식생 중 소나무가 표현된 그림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소나무는 당대 사대부들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화하는 것으로 폭포의 상징성과 부합되어 자연을 초탈한 굳은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초현실주의 Art Make-up에 관한 연구 -Body Painting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t Make-Up Based on Surrealism -Focus on the creation of body painting works-)

  • 김순구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7-56
    • /
    • 2002
  •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적 사조가 현대조형예술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초현실주의의 입장에서 표현한 아트메이크업을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초현실주의적 아트메이크업을 표현함으로써 메이크없 또한 예술의 사조와 흐름을 함께하는 예술적 존재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자 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론고찰에서 얻은 결과를 작품을 통해 이론과 실제를 연결시켰다. 기존의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모티브를 착안한 작품과 본 연구자가 초현실적 표현을 시도해 본 작품으로 제목은 다음과 같다. <작품1-DALI's expression>, <작품2-MAGRITTE's expression>, <작품3-ERNST's expression>, <작품4-첼로>, <작품5-ZIPPER>, <작품6-A DROP OF WATER>로 총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많이 보여지는 소재와 이미지를 응용하여 인체에 구성한 결과 현대적 조형감각과 선 감각이 표출되었다. 둘째, 색이나 표현, 주제, 기법, 재료 등에 구속받지 않고 예술적 이미지를 위한 아트 메이크업의 특성이 표출되었다. 셋째, 극히 주관적인 초현실주의 회화와 이념을 여러 각도로 응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메이크업과 흥미로운 표현방법으로 인한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을 부여하였다.

  • PDF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기계미학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 of the Machine Aesthetics in the Fashion Design(I))

  • 이효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109-12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chine aesthetics in the fashion design. First, this study was started from analyzing mechanical beauty represented on the early 20th century art style. Machine aesthetics has influenced on the art and fashion design from modern to now. Futurism was grounded in the complete renewal of human sensibility brought about by the great discoveries of science. Especially, Russia avant-garde was inspired by the Futurism, that is Rayonism, Constructivism, Suprematism. Kasimir Malevich moved on immediately to purely abstract paintings of which the first was a black square on a white canvas. He had begun the art he called 'Suprematism'. Malevich's geometry was funded on the straight line, the supremely elemental form which symbolized man's ascendancy over the chaos of nature. The square was the basic suprematist element and was a repudiation of the world of appearances, and of past art. He repudiated any marriage of convenience between the artist and the engineer. Vladimir Tatlin made some of the most revolutionary works of modern art, these were the first works to be called 'construction'. Constructivists believed that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machine and the consciousness of man inevitably create an aesthetic which would reflect their time. They eulogized simple shapes. That believed that buildings and objects should be freed from the ornamental excrescences and the accumulated barnacles of past art. Consequently, un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al formativeness of machine aesthetics was expressed as a geometrical silhouette, construction line, non-ornamental construction, simple color in the 20th century design. Second, The mechanical formativeness of machine aesthetics was expressed as a construction of new material-iron, aluminium, plastic, glass-, geometrical form of material in he 20th century design. That is, machine beauty has more concerned with the expressional ideology of the art style and the formativeness of fashion design by silhouette, construction line, material, form.

  • PDF

현대의상에 표현된 OP ART의 조형성 (The Modeling Nature of Op ART Expressed in Contempotary Dresses)

  • 임영자;이현숙
    • 복식
    • /
    • 제24권
    • /
    • pp.143-155
    • /
    • 1995
  • Unlike pure art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dressmaking , a field of special plastic art, is characterized by its physical and functional nature. Having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form, it is a field of art expressiion the human innersense of beauty in correlation with other various fields of art. In this respect, I think it should be necessary for us to study the forms of art from the past in order to study the forms of art from the past in order to study the correlations and mutual influencies between forms of pure art and dressmaking and to understand modern dressmaking from the standpoint of art.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ze how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OP ART , which represents the trends of the 1960's is embodied in modern dres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st , the expression of OP ART in dresses have visual effects harmonizing with bodily movements and , also, expanded the range and dynamics of expression which resulted from the introduction of visual phenomena in a fresh new sense by not limiting itself to the suggestion of patterns of OP ART. Second, OP ART paintings expressed the mobility and rhythimicity of a body in a limited space in a two-dimensional plane way of expression . When a dress is worn, however, it expands such mobility and rhythmicity in a cubic , three-dimensional way, maximizing the effects of , and boldly expression, OP ART, it can also create a new silhuette and ability of formation by seeking an open expression of OP ART rather than an expression of OP ART it self , due to the infinite possibility and unpredictability by the dynamics of movements and the elements principle of designs. Third , by applying the patterns of OP ART to dresses, we can obtain special visual effects of design, cover up the body's weak points, and create a desired three -dimensional sense by highlighting the beauty of the body's curved lines. Although modern dresses and OP ART are different genres of art, both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ir pusuits. Since there is a infinite possibility in OP ART, there should be continuous attempts to combine dresses and art satisfying the sense of the times, which will lead dressmaking to a higher-dimensional dressmaking plastic art.

  • PDF

동강(東江) 조수호(趙守鎬) 문인화(文人畵)의 진정(眞情) (The true state of literiti paintings for Donggang suho Jo)

  • 권윤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35-240
    • /
    • 2022
  • 동강 조수호(1924~2016, 이하 '동강')는 최근세에 활동하였던 서예가이면서 문인화가였다. 그는 생존시 세계서단의 일대(一代) 종사(宗師)라고 칭하여진 인물이다. 그가 가지는 미(美)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본능에 의하여 체화된 예술관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그는 서화를 접(接)의 예술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접의 의미를 '사귀다', '교제하다'와 같은 남녀의 키스, 운우(雲雨)의 정(情)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그의 문인화는 예술에 대한 폭넓은 고민과 탐구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미(美)에 대하여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관점에서 예술창조의 원리를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예술정신과 예술철학의 의의를 정립하였다. 묵죽과 묵난으로 동강의 문인화의 단면을 살펴보면 그의 묵죽은 무윤(無潤)과 고삽(苦澁)의 심미성이 있다. 또한 묵난은 아(雅)와 운(韻)이 속(俗)에 거(居)하는 것으로 심미된다. 이같이 그의 인품과 학문은 그의 문인화가 되었다.

조선말기 백선도(百扇圖)의 새로운 제작경향 - 독일 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 초본(草本)>을 중심으로 - (New Trends in the Production of One Hundred Fans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One Hundred Fans Painting in the Museum am Rothenbaum Kulturen und Künste der Welt in Germany and Its Original Drawing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권혜은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239-260
    • /
    • 2019
  • 본 논고는 19세기 이후 형성된 서화(書畫)의 유통과 확산의 양상을 당시 활발히 제작된 장식병풍 중 하나인 <백선도(百扇圖)>의 예를 통해 살펴본 글이다. 백선도는 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부채를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선면(扇面) 안에 여러 종류의 화제(畫題)를 그린 것을 말한다. 부채와 선면화(扇面畫)라는 소재는 이전부터 존재하였지만 장식용 회화의 소재로 등장한 것은 19세기 이후로, 호사취미 경향을 반영하여 주로 병풍(屛風)으로 활발히 제작되었다. 지난 2016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에서 독일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가 새로이 소개된 바 있다. 6폭으로 구성된 이 병풍에는 한 폭 당 5개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부채들이 등장하고 각 부채 면에는 단순히 채색한 것 뿐 아니라 다양한 화목(畫目)의 그림들이 남아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을 주목해야 하는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동일한 초본(草本)이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이전의 왕실이나 사대부들이 사적인 공간에서 향유하였던 서화(書畫)는 민간으로 확산되었고 시장을 통한 유통의 단계로 넓어졌다. 집안을 꾸미고 장식하는 풍조에 따라 화려한 장식그림들이 선호되었고, 한 폭에 다양한 형태의 화면과 다채로운 畫目(화목)의 그림을 그려 완성하는 백납도병풍 제작이 성행하였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한국 컬렉션의 상당수는 독일 주재 조선국 총영사이자 독일의 사업가였던 하인리히 콘스탄틴 에두아르 마이어(Heinrich Constantin Eduard Meyer, 1841~1926)의 수집품이다. 그는 1890년대 후반부터 1905년까지 조선과 독일을 오가며 다양한 유물들을 수집하여 독일에 돌아가 1909년까지 순차적으로 수집품을 로텐바움박물관에 전달하였으며, <백선도>도 그 중 하나이다. 새롭고 장식미가 돋보이는 <백선도>는 조선에 들어와 있던 외국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납도>는 제2폭의 뒷면에 "동현(銅峴)"이라는 지명이 적힌 종이조각이 거꾸로 붙어있어 흥미를 끈다. 동현은 지금의 서울 을지로 1가와 을지로2가 사이에 위치했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도화서(圖畫署)를 비롯한 혜민서(惠民署)·장악원(掌樂院) 등의 관청과 시전(市廛)이 있어 가내수공업이 성하던 지역이었다. 실제로 1900년대 초 이곳에는 서화를 유통하는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마이어가 수집했던 서화들의 구입처가 동현에 위치했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하겠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는 총 6폭의 병풍으로, 1980년대에 한국 서화 소장품들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 초본>은 1945년부터 1950년 사이 국립민족박물관에 입수된 작품이다. <백선도 초본>은 총 7점으로, 7점 중 6면 화면의 여백에 화면의 순서까지 정해져 있어 본래 총 8폭 병풍용 초본임을 알 수 있다. 한 화면에는 5개 이상의 다양한 접선(摺扇)과 단선(團扇)들이 배열해있는데, 작은 장식에서부터 부챗살의 문양까지 초본부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석간주(石間朱)', '홍(紅)', '묵(墨)', '청(靑)' 등과 같이 부채에 들어갈 색 대부분을 지정하고, 빈 부채에는 '유(油)'라고 적거나 비워두었으며 이 중 10개의 부채에는 화훼초충도(花卉草蟲圖)나 고사인물도의 밑그림이 남아있다. 이를 실제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와 비교하면 화면의 크기와 비례까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어, 초본의 매뉴얼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의 펼쳐진 부채 면에는 산수, 고사인물, 화조, 영모, 초충, 어해 등 다양한 장르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화접도(花蝶圖)나 어해도(魚蟹圖) 등은 19세기 유행하였던 소재로 당시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김홍도(金弘道)의 전형적인 화풍을 연상시키는 장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선도나 백납도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다.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작은 화면에 그려야 하는 백납도나 백선도의 특성상 잘 다루지 않는 소재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서원아집도>병풍과 화면의 구성이나 화풍 모두 매우 흡사하다. 더구나 <백선도>병풍의 몇몇 장면은 김홍도의 작품 중에서도 1796년작 《병진년화첩(丙辰年畫帖)》과 유사한 화면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어 흥미롭다. <사인암(舍人巖)>과 흡사한 산수도(山水圖)를 비롯하여 <서원아집도>, <쌍치도(雙雉圖)> 등에서 김홍도 화풍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부채 속 그림을 그린 인물은 김홍도 화풍의 영향을 받은 직업화가일 것으로 보이며, 작가는 《병진년화첩》을 직접 감상한 적이 있거나, 서화시장에 《병진년화첩》을 베껴 그린 부본(副本)이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까지 알려진 병풍으로 된 백선도는 10점 내외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 작품들을 비교해보면 화면의 구성이 부채 1개 정도 차이가 있거나 비례와 좌우가 바뀌었을 뿐 화면구성이 매우 유사함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일정한 패턴의 화면구성은 같은 시기 민간에서 성행한 책가도(冊架圖)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으로, 19세기 서화의 수요층이 넓어짐에 따라 세밀한 표현과 화려한 장식성이 요구되는 회화들의 대량 제작을 위한 초본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도안이 복잡하여 범본이 필요한 곽분양행락도나 요지연도, 백동자도, 해학반도도 등의 규모가 큰 장식병풍에서 적극 활용되었으며, 실제 남아있는 작품에서 몇 가지의 도상들이 반복하여 등장하고 있어 초본을 참고했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대량 제작할 수 있는 초본 활용이 성행했던 당시의 경향은 화면을 다채로운 부채들로 채우고 그 부채 면에 각기 다른 그림을 그려야하는 백선도 제작에 있어서도, 초본을 요긴하게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더구나 테두리를 그은 후 다양한 화목의 그림을 담는 백납도에 비해 백선도는 다양한 형태의 부채들을 먼저 그려야하는 공정을 거쳐야 했기 때문에, 대량 제작이 어렵고 그만큼 남아있는 작품이 상대적으로 적은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 병풍과 국립중앙박물관 <백선도 초본>은 새로운 화풍이 수용되어 시도되었던 조선 말기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다수의 백선도들이 박기준의 작품과 유사한 화풍과 화면 구성 보이는 것에 비해, 김홍도의 영향이 분명히 드러나는 매우 이례적인 예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는 작품이다.

성리학(性理學)과 산수화(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 장완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09-336
    • /
    • 2011
  • 본 연구는 성리학과 문화예술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며, 특히 송대에 흥성한 산수화의 발전에 이론적 근거가 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성리학은 고대 동양사회의 정치, 경제, 사상, 문화 예술 심지어 생활에 전반에 걸쳐 근간을 이루어 왔던 유학의 새로운 경향이다. 성리학은 중국의 북송(北宋)대 다섯 학자인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가 그 기틀을 새우고 남송(南宋)의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이다. 중국의 원(元)나라를 통해 고려후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조선의 건국의 기틀이 되었고, 퇴계 이황, 율곡 이이를 거쳐 '문화 전반'에 미치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리학과 예술론과 관계하여 격물치지, '리', 우주의식, '생의', '기상', '예'와 '도'의 관계 등이 산수화와 산수화론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산수화나 화조화에서도 신유학에서 말하는 천지의 '생의'의 미와 '어진 사람은 만물과 더불어 하나'라는 사상을 화폭에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시와 회화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동양에서는 송대 이전부터도 시와 회화의 관계를 중시했지만, 송에 이르러 시와 회화의 통일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명나라 때 조성된 졸정원(拙政園)과 같은 강남 정원 문화는 송대 산수화로부터 기인했다. 산수에서 등장하는 산속의 작은 정자나 가옥들이 정원에 옮겨진 것이다. 이는 곽희가 "임천고치"에서 말한 "가볼 수 있고,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닐 수 있고, 살 수 있는 곳"을 화폭 속에 그려야 한다는 것이 명 청대에 이르러서는 현실로 옮겨진 것이다. 또한 현대에 있어서는 환경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는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디자인 발전 연구, 더 나아가 문화산업의 기초자료로서 복합학문, 학제간 교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