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al area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6초

입지 유형에 따른 중부지방 소나무의 수분생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Relation Parameters for Pinus densiflora at Different Aspects in Central South Korea)

  • 신만용;정동준;신창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23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소나무 천연 임분을 대상으로 입지환경별 생장 및 수분생리 특성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경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의 소나무림은 평균 206.5㎥/ha을 나타냈으며, 각 방위별로 본수, 단면적, 재적 등의 임분 통계량을 보면 북사면에서 남사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연년생장량과 10년 간의 정기평균 생장량은 반대로 남사면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오후 12∼14시 사이에 측정된 최대 수분포텐셜(Ψ$_{w}$)을 각 방위 및 고도별로 구분하며 분석한 결과 소나무는 북사면에서 남사면으로 가면서 수분포텐셜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도별 수분포텐셜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증가하였다. 각 방위별 토양 수분함량은 북사면에서 남사면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토양 수분함량에 따른 소나무의 수분포텐셜은 고도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연구 대상지의 소나무는 남사면과 능선에서 수분 요구도가 높은데, 이는 이곳에서의 많은 증발량에 따른 수분 결핍에 의한 종내 수분 경쟁의 결과로 판단된다..

랫드의 간발암화과정에서 분리한 간세포의 ploidy 분포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loidy distributions of the hepatocytes isolated in hepatocarcinogensis of rats)

  • 최경철;이영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49-661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DNA content by flow cytometer (FCM)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 positive foci for searching objective and accurated properties of tumor. Sprague-Dawley rats aged six week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group 1 and 2 of rats were given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iethylnitrosamine at 200mg/kg body weight and group 3 of rats were given saline. Three weeks after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ll groups were performed partial hepatectomy. Group 1 of rats were begun to feed on diets containing 0.02% 2-acetylaminofluorene as a promoter for six weeks, group 2 and 3 of rats were begun to feed on basal diets. At 4, 6, and 8 weeks after initiation, all groups of rats were killed, livers were extracted for H & E stain, immunohistochemical stain, and DNA ploidy analysis. In quantitative analysis for GST-P positive lesion number and area by using Image Analyzer, group 1 and 2 re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group 3. In ploidy distribution, diploid cells of group 1 and 2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group 3 at 4, 6, and 8 weeks after initiation, respectively tetraploid cells were reduced. But S-phase cell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It is concluded that ploidy change by FCM is useful as objective data for early detection in hepatocarcinogenesis. Therefore, methodology and study of DNA content are carried out for more objective and accurate ploidy analysis in liver tumor.

  • PDF

한국산 겨우살이의 생장과 조직해부학적 특성 (Plant Growth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el(Viscum album var. coloratum(kom.)Ohwi))

  • 박충헌;박춘근;방경환;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6
    • /
    • 2003
  • 겨우살이 기생위치는 숙주목(상수리나무 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대부분 지면에서 5-10m높이의 일사량이 많은 상단부에 기생하였다. 줄기의 분화는 주경에서 2개씩 연속분지를 형성하였고, 잎은 정단줄기의 상단부에 2매씩 대생하였으며, 종실은 연황색의 7-8mm 크기의 장과였다. 겨우살이 화아분화는 초기 둥근 돔형의 화아정단이 형성되고 엽원기가 1, 2매 차례로 분화한 다음 심장형으로 발달하며 악편이 발생하였는데, 중앙부에서 먼저 진행되었고 이어 양측 면에 2개를 형성하였다. 잎은 이면의 표피 2-3층 아래에 기공과 공변세포가 관찰되었고, 겨우살이는 기주목의 흡착부에서 기주조직의 코르크층을 통과하여 목질부에 뿌리를 내리고 여러 갈래로 분지하여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맥의 주요생태 및 수량구성형질 연구 I. 파종기 이동에 따른 대맥주요품종의 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의 변이 (Effect of Major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Barley I. Variations of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n Different Seeding Dates)

  • 류용환;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4-92
    • /
    • 1985
  • 보리품종 강보리, 올보리 및 수원 18호를 공시하여 파종기를 달리하였을때의 생육시기별 주요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의 변이에 관한 일련의 시험을 수행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연차 및 파종기에 따라 7 $\pm$ 1 ~ 22 $\pm$ 7 일의 변이를 보였으며, 일평균 지중5cm의 온도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유수는 파종기에 관계없이 영화분화후기(X기)를 기점으로 급신장하여 출수기를 전후하여 완료하였는데 신장정도는 연차나 품종간 차이보다는 파종기의 조만이 더 크게 영향하였다. 3. 절간은 소수분화후기~영화분화전기에 걸쳐 신장을 개시하여 기부절간에서 상부절간에 이르는 단계적인 신장양상을 보였고 상부절간일수록 신장량도 많았다. 4. 초장의 중장에 따른 유수 및 절간의 신장경과는 초장이 20cm전후에서 유수장은 0.69~0.74mm이고 하부의 제4,5절간이 신장을 시작하였으며, 40cm에서 유수장은 10.2~18.6mm였으며 이때 전체절간의 신장양상을 보였다. 5. 수량구성요소인 수수는 파종기, 품종 및 연차의 순으로 영향하는 정도가 큰데 비하여 일수입수와 천립중은 연차, 품종 및 파종기의 순으로 이들 요소의 제한요인이 상이하였다. 6. 수량은 연차나 품종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종기차이에서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호밀생육과 토양에 미치는 궤도형 분뇨살포기의 영향 (The Influence of Combine Crawler Attaching Slurry Spreader on Soil and Growth of Rye)

  • 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7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 crawler attaching slurry spreader on soil and growth of rye. The performance test at actual field was conducted to test for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Field test of the slurry spreader was operated in upland and paddy field.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oil damage and crop productivity incorporating Pig slurry by two different types of slurry spreader. In this experiment a slurry spreader using crawler of combine have been designed and developed to enhance the operation in small field and reduce e damage of soil structure. but it was not suitable for transference in long distance. Conventional tractor mounted vacuum is not suitable for $71.6\%$ water condition in the small areas of paddy land. But the slurry spreader using crawler could be controlled the working point and moving by crawler in paddy land of small area. The wheels depths of soil in the supplementary application in the rye field was 4.9 m in tractor mounted spreader. but the wheels depth of crawler attaching spreader was 1.6cm. The dry matter yield of rye was reduced by $12\%$ in supplementary application of slurry due to mechanical damage from passage of the tires. This is particularly noticeable at high soil moisture condition in paddy l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slurry spreader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successfully used for basal and supplementary application of slurry in rye paddy field.

부평은광상(富平銀鑛床)의 광체배태장소(鑛體胚胎場所) (Loci of Orebodies, the Bupyeong Silver Deposits)

  • 서규식;박희인
    • 자원환경지질
    • /
    • 제20권2호
    • /
    • pp.97-106
    • /
    • 1987
  • The geology of the Bupyeong mine area is consisted of Precambrian Gyeonggi gneiss complex and Mesozoic igneous rocks; i.e., pyroclastic rocks, intrusive breccia, granite and felsic porphyries which were formed during a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resurgent caldera evolution. Granites are not observed on the surface and in the underground of the mine. Bupyeong silver deposits occur as stockworks of base metal sulfides- minor silver minerals-quartz - carbonate veinlets, hosted by pyroclastic rocks and intrusive breccia at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caldera. Silver occurs mainly as native silver, and other silver minerals, minor in quantity, are argentite, tetrahedrite-freibergite, pyrargyrite, polybasite, canfieldite and dyscrasite. The average grade of silver ore is about 180g/t Ag. Discrimination of silver ore from the country rocks depends largely on the chemical analyses of rock samples taken every two meters from tunnels, diamond-drilling cores and mining stopes, because silver minerals are hardly observed in the ore by crude eye, and silver orebodies do not properly coincide with the concentrated zone of base metal sulfides which were precipitated at the earlier stage than the stage of precipitation of native silv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oci of the silver orebodies are as follows; (1) The host rocks of orebodies are pyroclastic rocks and intrusive breccia. (2) Many of the orebodies are distributed around Gyeonggi gneiss complex. Especially where the paleotopography of gneiss complex shows a gradual slope, the basal stratigraphic horizon of the pyroclastic rocks unconformably overlying the gneiss complex offered a favorable loci of high grade ore. (3) $N5^{\circ}W$ to $N15^{\circ}$ E-striking faul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ocalization of the orebodies. (4) Conduits of intrusive breccia within the gneiss complex, through which the intrusive breccia intruded into the upper pyroclastic rocks, exist beneath most of the main orebodies. This suggests that the conduits of intrusive breccia served as channelways for the migration of ore fluids.

  • PDF

에어로졸 공정에 의한 Multiwall carbon nanotube/Graphene 복합체 제조 및 슈퍼커패시터 특성평가 (Synthesis of Multiwall Carbon Nanotube/Graphene Composite by Aerosol Process and Its Characterization for Supercapacitors)

  • 조은희;김선경;장한권;이총민;박수련;최지혁;장희동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27-134
    • /
    • 2016
  • A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graphene (GR) composite was synthesized for an enhanced supercapacitor. Aerosol spray pyrolysis (ASP) was employed to synthesize the MWCNT/GR composites using a colloidal mixture of MWCNT and graphene oxide (GO). The effect of the weight ratio of the MWCNT/GO on the particle properties including the morphology and layered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he morphology of MWCNT/GR composites was generally the shape of a crumpled paper ball, and the average composite size was about $5{\mu}m$. MWCNT were uniformly dispersed in GR sheets and the MWCNT not only increase the basal spacing but also bridge the defects for electron transfer between GR sheets. Thus, it was increasing electrolyte/electrode contact area and facilitating transportation of electrolyte ion and electron in the electrode. Electrochemical data demonstrate that the MWCNT/GR (weight ratio=0.1) composite possesses a specific capacitance of 192 F/g at 0.1 A/g and good rate capability (88% capacity retention at 4 A/g) using two-electrode testing system.

소라, Batillus cornutus 아가미의 미세구조 (Gill Ultrastructure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Gastropoda: Turbinidae))

  • 정귀권;박정준;주선미;전미애;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9-76
    • /
    • 2011
  •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소라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기재하였다. 소라의 아가미는 bipectinate형이다. 새엽 상피층은 단층으로 상피세포, 섬모세포, mitochondria-rich cell 그리고 분비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피세포들은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들이 발달되어 있었고 인접한 세포들과는 상부측면에 세포연접들로 연결되어 있었다. 섬모세포들은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들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무리지어 존재하고 섬모의 기저 뿌리 끝이 연결되어 있었다. Mitochondria-rich cell은 기저부에 원형의 핵을 가지며, 세포질의 대부분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AB-PAS와 AF-AB 반응 결과, 분비 세포들은 주로 산성점액을 함유하고 있었다. 분비세포는 단세포선으로 세포의 형태와 분비과립의 미세구조적 특징에 따라 4 종류 (A, B, C, D)로 구분할 수 있었다.

눈측백의 군집구조와 분포특성 (The Character of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for Thuja koraiensis Nakai, South Korea)

  • 변준기;천광일;이동혁;허태임;이준우;김지동;박병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3-105
    • /
    • 2020
  • 본 연구는 눈측백 자생지의 식생과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눈측백은 해발고도 1,000~1,588 m에 자생하고 있으며, 경사는 10~30°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6개 지역 내 22개 방형구에서 150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 눈측백자생지의 흉고단면적은 가리왕산지역이 49.98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악산지역이 3.46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에 의해 2개의 군집(분비나무-주목군집, 사스래나무-눈측백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RPP 검정 결과 군집은 유의성 있게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종 분석은 분비나무-주목군집에서만 나타났으며, 유의한 종으로는 분비나무, 주목, 귀룽나무, 좀나도히초미, 만년석송, 애기괭이밥 등 총 8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전호아재비(산형과)와 봄나도냉이(십자화과)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South Korea,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Umbelliferae) and Barbarea verna (Mill.) Asch. (Cruciferae))

  • 홍정기;박수현;이유미;오승환;정수영;이봉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1-177
    • /
    • 2012
  •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산형과)와 Barbarea verna (Mill.) Asch. (십자화과) 2종을 서울과 부산에서 각각 발견하였다. 전호아재비로 이름붙인 C. tainturieri는 서울 상암동의 월드컵공원에서 확인되었다. Chaerophyllum속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미기록속이다. 형태적 유사종인 무산상자속(Sphallerocarpus Besser ex DC.) 식물과 비교하여 열매가 통모양이고, 분과의 갈라지는 틈에 1개의 유관이 있다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봄나도냉이로 이름붙인 Barbarea verna는 부산 금사동의 수영강 둔치에서 확인되었으며, 동속 식물인 나도냉이(B. orthoceras)와는 근생엽의 길이가 4-8 cm이고, 근생엽이 4-11쌍으로 갈라지며, 종자의 길이는 1-2 mm라는 특징으로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