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al N fertilize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9초

열대지역(熱帶地域)에 있어서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시용시기(施用時期)와 시비위치(施肥位置)가 비료효율(肥料效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 원리(原理)와 실제(實際) (Effect of Timing and Placement of N Fertilizer Application for Increased Use Efficiency - Principle and Practice)

  • 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5-299
    • /
    • 1987
  • 질소비료(窒素肥料)의 효율(效率)을 높임에 있어서 시용시기(施用時期)와 시비위치(施肥位置)는 두가지 중요(重要)한 기술적(技術的) 수단이다. 이 두 수단들 가운데 어떤 것이 더 중요(重要)하냐 하는 것은 시비량(施肥量)에 따라 다르다. 즉 시비량(施肥量)이 적을 때에는 분시회수(分施回數)를 늘림보다는 기비(基肥)를 어떤 위치(位置)에 시용(施用)하느냐가 중요(重要)하고, 시비량(施肥量)이 많을 때에는 시비위치(施肥位置) 못지않게 어떻게 분시(分施)하느냐도 중요(重要)하다. 대체(大體)로, 아직 열대지역(熱帶地域)의 농가(農家)에서는 시비량(施肥量)이 낮은 편이므로, 분시회수(分施回數)보다는 시비위치(施肥位置)를 적절하게 하는 것이 중요(重要)하다. 이제까지 얻어진 연구결과(硏究結果)들을 검토해 보면,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시비위치(施肥位置)에 있어서, 수도작(水稻作)에서는 심층시비(深層施肥)가 유효(有效)하고, 밭농사에 있어서는 토층중(土層中) 측조시비(側條施肥)가 유효(有效)하다는 결론(結論)을 도출(導出)할 수 있다. 그러나 수도작(水稻作)에 있어서의 심층시비(深層施肥)는 적절(適切)한 시비기(施肥機)가 사용(使用)되지 않는 한(限), 농가(農家)에서의 실천(實踐)이 특(特)히 어렵다. 밭농사의 경우 토층중(土層中) 측조시비(側條施肥)는 수도작(水稻作)에서의 심층시비(深層施肥)에 비(比)해 실천(實踐)하기가 비교적(比較的) 용이(容易)하다. 수도작(水稻作)에서 완전(完全)한 심층시비(深層施肥)가 곤란(困難)한 조건(條件)에서는 차선책(次善策)으로 전층시비(全層施肥)를 권장해 봄직하다. 금후(今後)의 연구방향(硏究方向)으로, 수도용(水稻用) 간이(簡易) 심층시비기(深層施肥機)의 개발(開發)과, 농민이 쓰기에 편(便)하고 효율(效率)이 높은, 그러면서도 생산(生産)이 까다롭지 않은 신질소비료(新窒素肥料)의 개발(開發)을 들수 있을 것이다.

  • PDF

종이멀칭 이앙재배에서 잡초발생과 벼의 생육 및 수량 (Weed Occurrence and Yield of Rice in Transplanting Rice Culture with Paper Mulching)

  • 이변우;최일선;이학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8-374
    • /
    • 1997
  • 국내에서 개발된 멀칭지에 의한 벼 멀칭이앙재배시 멀칭의 분해, 잡초 발생, 벼의 생육 및 수량을 1996년과 1997년 2년에 걸쳐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멀칭 후 15일에 질소 사용량의 25%을 분얼비로 시용한 1996년 실험의 경우 멀칭지가 50% 분해되는데 멀칭지의 종류 및 시비량에 다라 28-50일이 소요되었는데, 습윤지력 증강제를 처리한 멀칭지가 처리하지 않은 멀칭지에 비하여 분해가 늦었으며 또한 질소 18kg/10a시용구 보다 12kg/10a시용구에서 분해가 늦었다. 그러나 기비중점 시비를 하도 분얼비를 생략한 1997년 실험의 경우 50% 분해에 42일 이상 소요되었다. 2. 1996년 실험의 경우 벼 생육 초기에는 종이 멀칭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잡초가 방제되었으나 후기에는 여뀌바늘 등이 발생하여 잡초 방제효율이 떨어졌다. 1997년 실험의 경우 무멀칭 잡초 방제구를 포함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잡초발생이 미미하여 멀칭지의 잡초 발생 억제 효과를 판단할 수 없었으나 멀칭지의 분해 정도로 판단해 볼 때 잡초방제 효과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3. 1996년 실험의 경우 무멀칭 잡초 무방제구의 수량은 약 185kg/10a인데 비하여 습윤지력 증강제를 처리한 멀칭지 멀칭구의 경우 질소18kg/10a였다. 1997년 실험의 경우 무멀칭 제초제 처리구와 종이 멀칭구 간의 수량 차이는 없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종이 멀칭 재배는 멀칭 후에 분얼비를 시용하는 경우 멀칭지의 분해를 촉진하여 후기의 잡초 발생이 다소 우려되나 기비 중점시비를 하고 분얼비를 생략하면 잡초를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수량 또한 제초제에 의하여 잡초방제를 하는 경우와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d Pepper Productivity and Soil Properties as Affected by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in Plastic Film House

  • Ahn, Byung-Koo;Im, Ga-Young;Kim, Kab-Cheol;Chon, Hyong-Gwon;Jeong, Seong-Soo;Lee, Ji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7-154
    • /
    • 2014
  • Consecutive pepper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s may lead to salt accumulation because pepper is considered a heavy nutrient feeder. For this reason, appropriate methods of fertilizer appl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fertilizer applications on soil and red pepper in a plastic film house. All the amounts of recommended compost and phosphorus fertilizer were applied as basal dressing. Cultivars of the pepper plant were Cheon-Ha-Dae-Se (CHDS) and NW-BiGaLim (NW-BGL).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s were treated as side-dressing at different intervals, 22 times in every 10 days, 15 times in every 15 days, and 11 times in every 20 days. Soil pH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intervals of side-dressing applications, whereas electrical conductivity (EC) declined with the increasing fertilizer application intervals. In particular, EC value decreased by up to 75% with CHDS cultivar in the plot of 20 day-interval and with NW-BGL cultivar in the plot of 15 day-interval.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terval.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K^+$ increased but exchangeable $Ca^{2+}$ and $Mg^{2+}$ decreased in all the plots, except in the control plot.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leaves of the pepper plants were lowest in the control plot. Potassium concentrations in the pepper leaves were high in the control plot and in the plots of CHDS with 10 day-interval and NW-BGL with 15 day-interval. Red pepper productivity was high in the plots of 10- and 15 day-intervals for CHDS cultivar and 15- and 20 day-intervals for NW-BGL cultivar. Therefore, the 15 day-interval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cultivating pepper plants and protecting soil in plastic film houses.

비닐멀칭작물재배용(作物栽培用) 지효성(遲效性) 전용복비(專用複肥) 개발(開發) -I. 제립(製粒)이 지효성(遲效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Mono-granular Compound Fertilizer Acting Slow Release for the Crops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I. Effect of formulation and granulation on slow release)

  • 신제성;임동규;성기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7-100
    • /
    • 1987
  • 비닐멀칭 재배용 복비(複肥)는 요소(尿素), DAP, 염화가리(鹽化加里)를 원료비료(原料肥料)로, 제오라이트, 부생석고(副生石膏) 및 분뇨잔사(糞尿殘渣)를 증량제(增量劑)로 하여 아미노산폐액(酸廢液)을 이용(利用) 조립(造粒) 제조(製造)하였다. 시제품(試製品)의 NPK성분함량(成分含量)은 고추비료(肥料), 12-10-11, 5, 참깨비료(肥料) 8-8-6, 땅콩비료(肥料) 4-19-14이었고 시제품(試製品)의 수중(水中)N용출량(溶出量)은 비교적(比較的) 낮아 고추비료(肥料)에서 80%, 참깨비료(肥料) 55%, 땅콩비료(肥料) 70%로 비료지효화(肥料遲效化) 기준치(基準値) 50%에 근사(近似)하여 비닐멀칭재배시(栽培時) 전량기비시용(全量基肥施用)이 가능(可能)할 것이다.

  • PDF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의 고추에 대한 시비효과 평가 (Evaluation of Fertilization Effect of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 on Pepper Cultivation)

  • 이창훈;이협;하병연;강창순;이용복;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8-232
    • /
    • 2007
  • 고추작물의 생육기간 중 양분요구특성에 부합하는 새로운 완효성 복합비료를 개발하기 위해 질소 용출율이 110일과 150일로 조절된 완효성 복합비료 110T와 150T을 제조하여 포장 조건에서 질소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고추에 대한 관행시비량 기준으로 60%의 완효성 복합비료 110T, 150T와 40%의 속효성 비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의 토양 내 질소 용출 특성과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행처리(NPK)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밭 토양조건에서 완효성 질소비료 110T와 150T의 질소 용출율은 시용 8주경과 후 각각 63%, 53%가 용출되어 원예작물인 고추재배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원예용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을 전량 기비로 시용하여 고추를 재배하였다. 고추의 전 생육기간 동안 토양 내 무기태 질소($NH_4^+-N$$NO_3^--N$) 함량은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CF150 처리구에서 토양 중 무기태 질소 함량은 정식 후 8주까지 NPK 처리구에 비해 낮았다.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와 NPK 처리구사이의 고추 생육과 무기성분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량은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4% 증수 되었다. 그러나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50 처리구는 NPK 처리구에 비해 수확 후 엽중 질소함량이 낮았으며, 수량도 2%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추재배를 위한 적합한 완효성 복합비료는 CF150 보다는 CF110이었다.

Effects of Top-Dressed N on Rice Growth in a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s

  • Cho, Young-Son;Choe, Zhin-Ryong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9-195
    • /
    • 1999
  • Under the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s, where whole chopped rice straw were returned to the paddy surface at combine harvest and whole-plant of Chinese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was submerged after direct-sowing, three levels of nitrogen top-dressed(0, 2, 4 kg N/10a) without basal N and two levels of sowing rate were applied into the paddy field in expectation of the enhancement of nitrogen efficiency and protec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n reduced N-fertilizer level. A cultivar, Dongjin, was direct-sown on May 30, 1996. Characteristics of rice growth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plant were observed. Under the system, reduced total N(4 kg N/10a) resulted in high panicle numbers. N-top dressed toward at later growth stages enhanced the ratio of panicle-producing tillers and at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As N-level increases, DM yields of leaf and stem at heading were increased. Maximum grain yield was obtained at 4kg N/10a and major attributed factors to grain yield in this case were the number of grains per unit area and the ratio of ripened grain.

  • PDF

수도에 대한 시비방법이 질소효율 및 잡초군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Methods on the Nitrogen Efficiency and Weed Population under the Lowland Rice)

  • 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9-276
    • /
    • 197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o increase efficiency of fertilizer nitrogen and how to change the weed population with different methods of nitrogen application. Mudball deep placement, at 10-12cm soil depth, produced significantly the highest grain yield within the application methods with same amount of nitrogen (60kg N/ha). It produced also same grain yield with conventional application methods, timely split application method, with 90kg N/ha. Basal application of nitrogen increased weed population and it showed higher dry weight of weed than top dressing methods at early growth stage of rice.

  • PDF

춘파초지조성시 질소 및 가리의 분시방밥이 수량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Fertilizer Nitrogen and Potassium on th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the Spring sowing Pasture)

  • 이혁호;박근제;정연규;이필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4-130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수량(收量) 및 식생변화(植生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조성시(造成時)의 기비량(基肥量)을 2수준(水準)($N:P_2O_5:K_2O=80:200:70$ 및 160:200:140kg/ha), 관리시(管理時)의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 분시방법(分施方法)을 3수준(水準)(봄 다비(多肥), 균등분시(均等分時), 가을 다비(多肥))으로 하여 분할구법(分割區法) 4반복으로 포장(圃場) 배치(配置)하여 1984년 3월부터 1985년 10월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이나 관리시(管理時)의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 대차(大差)없었다. 2.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N=160, $P_2O_5=200$$K_2O=140kg/ha$ 시용(施用)한 처리(處理)가 4,854kg/ha로서 보비(普肥)에 비(比)해 16% 증수(增收)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는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3.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증시(增施)한 구(區)가 보비(普肥)에 비(比)해 23%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3%, 가을다비(多肥)는 9% 감소(減少)되었다. 4. 야초(野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에는 대차(大差)없었으나 분시방법(分施方法)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6% 감소(減少)되었고 가을 다비구(多肥區)는 11% 증가(增加)되었다. 5. 식생구성비율(植生構成比率)에 있어서 조성시(造成時)의 다비(多肥)는 보비(普肥)에 비(比)해 화본과(禾本科)는 증가(增加)되었고 두과(荳科)는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分施方法)에 있어서는 균등분시(均等分施)가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하였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의 목초(牧草) 정착(定着)을 위(爲)한 기비량(基肥量)은 N : 160, $P_2O_5$ : 200 및 $K_2O$ : 140kg/ha가 수량(收量) 및 식생유지면(植生維持面)에서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시방법(分施方法)은 균등분시(均等分施)가 좋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Nitrogen and Phosphorus Runoff Loss during Summer Season in Sandy Loam Red Pepper Field as Affected by Different Surface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 Han, Kyung-Hwa;Ro, Hee-M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69-676
    • /
    • 2016
  •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unoff loss of N and P in small scale of red pepper field plots (10% slope), consisting of three different plots with black polyethylene vinyl mulching (mulching), ridge without mulching (ridge), and flat without ridge and mulching (flat). Composted manure and urea as a basal application were applied at rates of $20MT\;ha^{-1}$ and $93kg\;N\;ha^{-1}$, respectively. Urea at $189kg\;N\;ha^{-1}$ and fused phosphate at $67kg\;P_2O_5\;ha^{-1}$ were additionally applied on June 25 with different fertilization methods, broadcast application in flat plot and hole injection in ridge and mulching plots. Plant uptake of N and 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respective concentrations in surface soil: mulching > ridge > flat plots. The runoff loss by soil erosion was higher in flat plot than ridge and mulching plot with contour line. Nitrate loss by the runoff wat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surface management practices, but the higher average value in ridge and mulching plots than flat plot. Especially, the flat plot had no phosphate loss during summer season. This is probably due to low labile P content in surface soil of flat plot. In the summation of soil and water loss, flat plot was higher in N and P loss than ridge and mulching plot with contour line. Nevertheless, the nitrate and phosphate loss by runoff water could be more important for non-point source management because the water could meet the river easier than eroded soil because of re-deposition around slope land.

오이 촉성재배와 반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 및 시비관리기술 평가 (Evaluation of Soil and Fertilizer Management Techniques Applied by Farmers in Forcing and Semi-forcing Cucumber Cultivation Facilities)

  • 이주영;장병춘;성좌경;이수연;김록영;이예진;박양호;강성수;현병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83-991
    • /
    • 2012
  • 본 연구는 현재 오이재배농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우수한 기술을 파악하고 체계화하여 다른 오이재배농가의 고품질 오이생산 및 소득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그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오이 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조건은 하성평탄지 사양질 내지 식양질 토양이었고, 유효토심은 60~100 cm, 작토심은 20~28 cm이었다. 오이 반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조건은 하성평탄지 내지 곡간지에 위치한 사양질 또는 사력질 토양으로, 유효토심은 50~100 cm, 작토심은 20~28 cm이었다. 오이 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관리는 볏짚 $3,000{\sim}15,000kg\;ha^{-1}$을 시용하고, 밑거름으로 퇴비, 유박, 파쇄목, 화학비료 등을 시용하였으며, 이들의 3요소 성분 (질소-인산-가리)의 평균 시용량은 815-464-529 kg $ha^{-1}$ 이었다. 오이 반촉성재배 농가들은 볏짚을 평균 $3,000kg\;ha^{-1}$ 정도를 시용하였고, 밑거름은 퇴비, 유박, 화학비료 등을 시용하였으며, 이들의 3요소 성분 (질소-인산-가리)의 평균 시용량은 197-135-151 kg $ha^{-1}$ 이었다. 웃거름은 촉성재배농가들의 경우 4종류의 양액을 제조하여 2~3일 간격으로 한 종류씩 관비형태로 시용하였고, 반촉성재배 농가들은 농가마다 다르게 수용성비료들을 용액으로 제조하거나, 자가 제조 발효액 또는 미생물제 등을 2~3일 간격으로 관비형태로 시용하였다. 오이 묘의 정식은 경운 로타리 후 정식하였다. 하우스 내 볏짚의 시용은 월동기 토양온도를 증진시키거나 높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의 유통과 뿌리 뻗음을 좋게하고, 특히 토양 중 염류와 영양성분들의 집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이 촉성재배시 호당 평균수량은 $168,000kg\;ha^{-1}$ 이었고, 평균 조수익은 381,000 천원 $ha^{-1}$ 이었으며, 반촉성재배 시 평균수량은 $115,000kg\;ha^{-1}$ 으로, 평균 조수익은 177,000 천원 $ha^{-1}$ 이었다. 농가의 소득은 월동기인 12~ 3월의 오이 가격이 높아 농가소득에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