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shoo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염장 죽순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Salted Bamboo Shoots)

  • 박은진;전덕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9-186
    • /
    • 2006
  • 담양 염장 죽순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해 죽순에 함유되어 있는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관능검사를 통해 최적 발효조건과 죽순첨가 형태를 결정하였다. 죽순은 수분함량이 82.59 %, 단백질 4.56 %, 지질 0.52 %, 회분 0.50 %, 그리고 식이섬유소가 11.72 %(w/w) 함유되어 있었으며, 무기질은 Ca, P, S, Na, Mg, K 순서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죽순을 첨가하기 위한 요구르트는 ABT-5 미생물을 0.005 % 접종하여 $40\;^{\circ}C$에서 13시간 발효시켰으며, 요구르트 첨가용 죽순은 형태를 달리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5{\times}5{\times}5\;mm$ 크기로 절단한 죽순을 50 % 설탕에 절임하여 15 %(w/w) 비율로 첨가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죽순 요구르트는 $4\;^{\circ}C$ 냉장온도에서 15일 동안 저장 중 pH와 산 생성, 젖산균수, 그리고 비피더스균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저장성이 우수였다. 따라서 죽순 첨가 호상요구르트는 기호성과 품질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한 상품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the phytosterol content in nine selected vegetables

  • Shin, Jung-Ah;Park, Jong-Min;Lee, Ki-Teak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87-99
    • /
    • 2016
  • Phytosterol contents in nine vegetables such as paprika (red, yellow, and orange), kohlrabi, bamboo shoot, cherry tomato, cucumber, Chinese chive, and cor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Individual contents of ${\beta}$-sitosterol, campesterol, and stigmasterol in fresh and cooked vegetables (boiling, grilling, stir-frying, deep-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ing)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Total phytosterol content of paprika, cucumber, Chinese chive and cherry tomato ranged from 23.19 to 46.51 mg/kg (0.002-0.005%) of fresh weight of raw vegetables. Total phytosterol content variation (%) was obtained as follows: [(the content of phytosterol after cooking) - (the content of phytosterol before cooking)] / (the content of phytosterol before cooking) ${\times}100$. Total phytosterol content was found to be high in raw kohlrabi at 138.99 mg/kg fw (0.01%), in corn at 302.86 mg/kg fw (0.03%), and in bamboo shoot at 443.15 mg/kg fw (0.04 %). Total phytosterol content variation (%) in orange paprika ranged from 27.5 to 267.3 while that in cherry tomato ranged from -11.0 to 337.5. Generally, high content variation of total phytosterol was found in stir-fried and deep-fried vegetables. Therefore, higher phytosterol levels were obtained from cooked vegetables than raw vegetables. We suggest that these data will be useful to investigate cooking methods for increased intake of phytosterols.

대나무 탄소계정을 위한 목재기본밀도 개발 (Development of a Basic Wood Density for Carbon Accounting in Bamboo Forests)

  • 배은지;정재엽;이선정;노혜정;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188-194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나무림에 대한 탄소계정을 위하여 탄소배출계수 중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졌다. 대나무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계수 도출을 위한 표준목은 솜대, 왕대, 맹종죽 등 3수종별로 각각 101본씩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목재기본밀도 도출은 KS F 2098 방법을 따랐다. 측정결과, 솜대의 목재기본밀도는 0.83 g/cm3, 왕대는 0.81 g/cm3, 맹종죽은 0.72 g/cm3로 각각 나타났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대나무 분포 면적이 많지 않고, 맹종죽의 경우 일정 지역에 국한되어 생육하고 있다. 따라서 대나무에 적용할 수 있는 목재기본밀도는 하나로 통합하여 0.79 g/cm3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목재기본밀도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한 결과, 1.61%로 낮은 불확도 값을 가져, 본 분석에서의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에 개발한 목재기본밀도와 기존의 바이오매스확장계수, 뿌리함량비 등을 이용하여 대나무 표준목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계산하고, 이를 확장시켜 ha단위까지 계산해 보았다. 이번 연구로 대나무의 재적을 이용하여 목재기본밀도 등 탄소배출계수 적용으로 탄소저장 및 흡수량 계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결과가 우리나라 탄소중립 정책 및 산림관리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Nutritional Evaluation of Bamboo Shoot Shell and Its Effect as Supplementary Feed on Performance of Heifers Offered Ammoniated Rice Straw Diets

  • Liu, J.X.;Wang, X.Q.;Shi, Z.Q.;Ye, H.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0호
    • /
    • pp.1388-1393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utilising bamboo (Bambusa arundinacea) shoot shell (BSS) in ruminants. Chemical composition, rumen degradability and some antinutritional compounds were determined for fresh and boiled BSSs to evaluate its feed value and safety. Thirty-two Holstein heifers were allocated to four groups and us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in growth rate to supplementing ammoniated rice straw with fresh shell (phase 1) or silage of boiled BSS (phase 2). All animals were offered ammoniated straw ad libitum with 1kg of cotton seed meal (phase 1) or 0.5 kg of cotton seed meal and 0.5 kg of concentrate mixture (phase 2) per head per day. The BSS was supplemented at levels of 0, 3, 6 or 9 kg/d (phase 1) and 0, 5, 10 or 15 kg/d (phase 2) (as fed basis). The BSS was very high in moisture content, and its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13~16% DM and 65~76% DM, respectively; boiling resulting in higher moisture and protein. No hydrocyanic acid was detected in both BSSs and content of tannins was negligible. Rumen degradability of BSS was reasonably high, and with boiling the rapidly degradable fraction decreased, and potentially degradable component increased. Silage of the boiled BSS was slightly lower in both rapidly and slowly degraded fractions than the fresh BSS. Animals consumed all supplemented BSSs without any adverse health problems. Intake of ammoniated straw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BSS, but total intake was higher in almost all supplementary groups than in the non-BSS. Heifers had a higher growth rate in phase 1 with fresh BSS than in phase 2 with ensiled shell, and daily weight gains were 622, 629, 744 or 690 g in phase 1, and 578, 575, 677 or 635 g in phase 2 at four BSS levels, respectively. For both phases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animals in groups 3 and 4 than those in groups 1 and 2 (p<0.01),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groups 1 and 2 (p>0.05) b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3 and 4 (p<0.05). Supplementation with BSS also resulted in an improved feed conversion rate, with the least concentrate consumption in group 3 for both phases. It is concluded that the BSS has a high potential nutritional value as indicated by its medium protein content, reasonably high rumen degradability, and that inclusion of BSS in ammoniated rice straw diet is not only safe to animals, but also may improve growth rate of ruminants and feed conversion rate. It may be disadvantageous to use high amounts of BSS in ammoniated straw diets.

Effect of bamboo shoot dietary fiber on gel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water distribution of pork meat batters

  • Li, Ke;Liu, Jun-Ya;Fu, Lei;Zhao, Ying-Ying;Zhu, He;Zhang, Yan-Yan;Zhang, Hua;Bai, Yan-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7호
    • /
    • pp.1180-1190
    • /
    • 2020
  • Objective: To develop healthier comminuted meat products to meet consumer demand, the gel properties, rheological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water distribution of pork meat batters formulated with various amounts of bamboo shoot dietary fiber (BSDF) were investigated. Methods: Different levels of BSDF (0% to 4%) were added to pork batters, and the pH, color, water-holding capacity, texture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ork batters were determined. Then, pork batters were analyzed for their microstructure and water distribution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low-field nuclear magnetic resonance (LF-NMR).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BSDF addition into meat batter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L*-value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b*-value (p<0.05). BSDF addition of up to 4% reduced the pH value of pork batters by approximately 0.15 units; however, the cooking loss and expressible water lo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the increased addition of BSDF. The hardness and gel strength were noticeably enhanced (p<0.05) as the content of BSDF increased. The rheological results showed that BSDF added into pork batters produced higher storage modulus (G') and loss modulus (G") values. The SEM image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BSDF could promote pork batters to form a more uniform and compact microstructure. The proportion of immobilized water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hile the population of free water was decreased (p<0.05), indicating that BSDF improved the water-holding capability of pork batters by decreasing the fraction of free water. Conclusion: BSDF could improve the gel properties, rheological properties and water distribution of pork meat batters and decrease the proportion of free water, suggesting that BSDF has great potential as an effective binder in comminuted meat products.

사각죽조성(四角竹造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Research on Methods of Developing Quadrangular Culm of Bamboos)

  • 정현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6
    • /
    • 1970
  • 한국(韓國)에 산(產)하는 죽종(竹種)은 19종(種)이 분포(分布)되고 있으나 이중(中) 유용종(有用種)은 수종(樹種)에 불과(不過)하며 그 중(中)에서도 Phyllostachys속(屬)이 주(主)로 해태(海苔)의 생산원재(生產原材) 또는 죽세가공품(竹細加工品)의 재료(材料)로서 다각도(多角度)로 사용(使用)되고 있어 69년도(年度)에만도 전라(全羅) 남도(南道)에서 가공품(加工品)을 생산(生產)하여 10여국(餘國)에 2억(億)4백만(百萬)원의 외화(外貨)를 벌어 들였다. 동남아(東南亞)의 특산(特產)인 죽류(竹類)는 문화(文化)의 발달속도(發達速度)에 따라 가공품(加工品)의 생산기술(生產技術)이 향상(向上)되고 재료(材料)의 생산(生產)이 증가(增加)되면 국가(國家)의 산업발전(產業發展)에 도움이 되리라 믿어 본인(本人)은 원형(圓形)으로만 사용(使用)하던 죽(竹)을 사각(四角)으로 조성(造成)하여 거기에 아름다운 무늬를 삽입하여 죽세가공품(竹細加工品) 생산(生產)에 또는 건축(建築)에 있어서 실내(室內)장식등에 크게 사용(使用)될 수 있으리라 믿어 이 시험(試驗)에 착수(着手)하였든 바 그 결과(結果)로서 죽순(竹筍)의 목통직경(目通直經)은 클수록 성적(成積)이 좋아 직경(直經) 7.5cm는 72%의 성공율(成功率)을 나타냈으며(Fig. 5참조(參照)) 죽순(竹筍)의 길이는 30cm정도(程度)의 것이 100%의 사각죽(四角竹)이 완성(完成)되었다(Fig. 6참조(參照)). 고정(固定)되어가는 강도(强度)의 변화(變化)는 기일(期日)이 지날수록 강(强)하여져갔으며 우기(雨期)와 Lux의 차(差)에는 별지장(別支障)이 없었다(Fig. 7. 8참조(參照)). 임의(任意)로 죽재(竹材)를 생장당시(生長當時)에 구부리기 위(爲)한 굴곡시험(屈曲試驗)은 90도(度)까지는 구부릴 수 있었다.(Fig. 10) 약품처리(藥品處理)에 의(依)한 무늬삽입 시험에 있어서는 약품(藥品)의 종류(種類)와 배합방법(配合方法)(Table. 2)에 따라서 Fig. 12. 13. 14와 같이 무늬에 차이(差異)가 생겼으나 착색(着色)과 삽입에는 완전(完全)히 성공(成功)하였다. 이 결과(結果)에 따라 앞으로 사각죽(四角竹)을 다량생산(多量生產)하면 가공품제작(加工品製作)에 크게 이용(利用)되어 국가산업발전(國家產業發展)에 이바지 되리라 믿는다.

  • PDF

왕대와 솜대의 줄기, 가지, 잎에 양분 분포 (Nutrient Distribution of Culm, Branches and Leaf in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Phyllostachys nigra var. nenosis)

  • 박성완;백경원;조현서;유병오;정수영;이광수;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388-396
    • /
    • 2017
  • 본 연구는 약 40년 전 식재된 왕대와 솜대를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기관별 양분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나무 줄기, 가지, 잎에 양분 분포 비교를 위해 왕대 및 솜대 각 14본(당년생과 다년생 각 7본)을 선정하여 벌채하고 양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나무 줄기, 가지, 잎에 양분 농도(concentration) 중 마그네슘은 솜대에 비해 왕대가 높았으며, 질소, 인, 칼륨은 당년생 대나무가 다년생 대나무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양분 농도의 크기는 잎에 경우 탄소 > 칼륨 >= 질소 > 인 >= 칼슘 >= 마그네슘 순이었다. 줄기, 가지, 잎에 저장된 총 양분 함량(content)의 경우 왕대가 솜대에 비해 높아, 왕대가 솜대에 비해 양분 요구량이 크게 나타났다.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양분 함량 크기는 왕대와 솜대 모두 탄소 > 칼륨 > 질소 > 인 > 칼슘 >= 마그네슘 순으로 두 대나무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사한 입지에 생육하는 왕대와 솜대의 경우 양분 함량에 차이를 보였으며, 양분 요구량은 왕대가 솜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오죽잎차와 오죽죽순차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효과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juk (Phyllostachys nigra Munro) Leaf Tea and Shoot Tea)

  • 김상민;전제승;강석우;김우리;이기덕;엄병헌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95-10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의 잎과 죽순을 사용하여 차 가공공정을 통한 오죽잎차와 오죽죽순차가 제조되었고, 이들에 대한 영양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차를 음용하는 조건($80^{\circ}C$ 물, 10분)에서 이들 차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용성 물질의 추출율과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공되지 않은 오죽 원재료 및 마테차, 녹차와 비교되었다. 마지막으로 차 음료에 포함된 항산화능과 각 항산화 화합물을 탐색하고자 온라인, 오프라인 항산화 분석이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nd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DPPH) 라디칼에 대해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의 결과는 오죽으로부터 제조된 이들 차가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건강에 이로운 전통차로 음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남 담양군 노인의 농번기 식생활실태 조사에 의한 식단 개발과 평가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using Food Intake Status of the Elerly in busy farming season of Damyang Jeonnam)

  • 박찬은;주민정;이혜진;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47
    • /
    • 2008
  • Survey on the food intake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the elerly over 65 years old living in Damyang Jeonnam was performed and meal menus for the pavillion were developed using local products. Allowance of the elderly less than 100,000 won was 45%. The local products of the area recognized by the elderly were bamboo shoot (30%) > bamboo (22.5%) > bamboo basket (12.5%) > do not know (15%) > green tea (10%) > rice(7.5%) > vegetable. In dental health, 52.5% of them had bad condition but 62.5% did not use denture at all. The most favorate foods were Korean (92.5%) and Chinese and Japanese were favored by 5%, and 2.5%, respectively. In percentage of eat-out and use of instant foods, 42.5% of them answered that eating-out chances were very rare and 62.5% answered that they do not use instant foods at all. Potassium intakes for the male and female elderly were significantly very low with values of 2579.2 mg and 2601 mg, respectively (p < 0.05). Calorie intakes for men were 1678.5 kcal, which was only 84% of RI and 1470.8 kcal for women (92%). Shortages of nutrition including calcium intake and others were very serious and the meal was not nutritionally balanced based upon the study of GMDFO. The menu for the elderly in busy farming season of the area were developed with the use of local products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study.

대나무의 잎말이나방류(類)에 대한 기주(寄主), 생태(生態) 및 피해(被害)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ost Plant, Bionomics, and Damage of Bamboo Leaf Rollers in Chonnam Province Area)

  • 김규진;이태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5-92
    • /
    • 1986
  • 전남지역(全南地域) 대나무 집단재배지(集團栽培地)에 피해(被害)가 확대(擴大)되고 있는 잎말이나방류(類)의 발생(發生), 기주식물(寄主植物), 생태(生態) 및 피해(被害)에 관(關)해서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전남지역(全南地域)에서 대나무엽(葉)에 피해(被害)를 주는 명나방류(類)에는 줄노랑명나방(Microstega jessica (B.))과 줄허리들명나방(Sinibotys evenoralis (W.) 2종(種)이었고 담양(潭陽)에서 발생비율(發生比率)을 보면 줄노랑명나방이 96.5%, 줄허리들명나방이 3.5%이었으나 나주(羅州), 화순(和順)에서는 줄허리들명나방만이 발생(發生)되었다. 2. 기주식물(寄主植物) 조사(調査)에서 줄노랑명나방은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죽순대(P. pubescens Mazel), 솜대 (P. nigra var. henonis Stapf), 오죽(P. nigra Munro), 줄허리들명나방은 왕대, 솜대, 오죽으로 밝혀졌는데, 본조사(本調査)에서는 줄노랑명나방의 솜대와 오죽 2종(種)과 줄허리들명나방의 솜대 1종(種)이 새로운 기주(寄主)로서 확인(確認)되었다. 3. 줄노랑명나방은 담양지역(潭陽地域)에서 연(年) 1회(回) 발생(發生)하며 그 최성기(最盛期)는 5월(月)하순(下旬)이었고 줄허리들명나방은 나주지역(羅州地域)에서 연(年) 2회(回) 발생(發生)으로 그 최성기(最盛期)는 6월(月)상순(上旬)과 7월(月)중순(中旬) 경(頃)이었다. 4. 각(各) 태별(態別) 평균기간(平均期間)을 보면 줄노랑명나방은 난(卵)이 8일(日), 유충이 293일(日), 용(踊)이 16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2일(日), 웅충이 9일(日)이었고, 줄허리들명나방은 1화기(化期)는 난(卵)이 11일(日), 유충이 28일(日), 용(踊)이 12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8일(日), 웅충이 15일(日)이었으며 2화기(化期)는 난(卵)이 7일(日), 유충이 261일(日) 용(踊)이 20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1일(日) 웅충이 10일(日)이었다. 5. 1일중(日中) 줄노랑명나방의 성충우화시간을 보면 저녁 6시(時)부터 새벽 4시(時)까지였고 그 Peak는 밤 $8{\sim}10$시(時)였다. 6. 월동태(越冬態) 및 월동장소(越冬場所)는 줄노랑명나방은 6령충(齡蟲)으로 땅에 떨어진 죽순껍질과 새로 나온 대나무 밑부분에 붙어있는 죽순껍질에서 줄허리들명나방은 $1{\sim}2$령충으로 수상(樹上) 대나무엽(葉)에서 월동(越冬)하였다. 7. 줄노랑명나방의 수고별(樹高別) 피해엽율(被害葉率)에 있어서는 주(主)로 상부(上部)에 피해(被害)가 많았으며 하부(下部)로 내려갈수록 피해(被害)가 적었다. 종류별(種類別)로는 솜대, 왕대 죽순대 순(順)으로 피해(被害)가 많았으며 수령(樹齡)과 피해율(被害率)과의 관계(關係)는 1년생(年生), 2년생(年生), 3년생(年生), 4년생(年生), 5년생(年生) 순(順)으로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r=-0.739^{**}$)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