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daegan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초

MaxEnt 모형을 활용한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주요 밀원수종인 음나무, 피나무, 쪽동백나무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Habitat Suitability of Honey Tree Species, Kalopanax septemlobus Koidz., Tilia amurensis Rupr. and Styrax obassis Siebold & Z ucc.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using MaxEnt Model)

  • 심형석;이민기;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50-60
    • /
    • 2022
  •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주요 밀원수종 3종(음나무, 피나무, 쪽동백나무)을 대상으로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백두대간 내 밀원수종 서식지 적합도 분석을 MaxEnt를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 모형의 예측정확도 AUC값은 음나무 0.747, 피나무 0.790, 쪽동백나무 0.755로 나타났다. 밀원수종의 서식지 적합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로 음나무와 피나무는 고도, 연평균 기온, 경사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쪽동백나무는 연평균 기온, 고도, 연평균 강수량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상수종 모두 지형인자인 고도와 기후인자인 연평균 기온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도와 기온이 대상 수종의 분포 패턴을 설명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인자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임업소득 향상을 위한 고부가가치 아이템인 산림양봉의 필수자원인 주요 밀원수종들의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통해, 백두대간 내 주요 밀원수종의 관리와 밀원림을 조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중요 적합지들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향후 밀원수종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건조도 등의 무생물적 인자와 종간경쟁 등의 생물적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의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 및 군집 특성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Maruguem (the Ridge Line) Area of Mt. Jirisan (Yuksipryeong to Cheonwangbong), the Baekdudaegan)

  • 송주현;김호진;이정은;조현제;박완근;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9-35
    • /
    • 2022
  • 본 연구는 국토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백두대간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관리방안 수립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를 통해 종조성을 파악하고 식생단위별 군집 특성을 파악하였다. 백두대간(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 주변을 대상으로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373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 결과, 9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정성적 식생유형분류를 정량적 DCA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아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종조성으로 묶인 식생단위 1-5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사스래나무 등 아고산식생 위주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 높지 않은 마루금에서는 능선 위주의 지형 특성상 소나무, 졸참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평균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상나무군락(식생단위 1-5)이 다른 식생단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NMS 결과 및 환경인자와의 상관분석 결과, 식생단위 1, 2, 4, 5와 해발고도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나무군락, 비목군락의 저해발 지역 식생부터 구상나무군락, 가문비나무군과 같은 고해발 지역 식생까지 모두 포함되었고 습윤한 지역의 계곡부 식생이 포함되지 않은 백두대간의 능선 식생을 특성을 나타내었다.

희귀식물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Di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Population, a Rare plant in Korea)

  • 장정걸;유성태;김병도;이명훈;권혜연;나채선;이다현;강기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21
  • 경남 양산의 천성산에서만 생육하는 산림청·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Critically Endangered, CR)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을 대상으로 20개소의 방형구(10×10m, 100m2) 내 개체의 특성(개체수, 개화, 결실 등), 종자의 활력검정,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우리나라 전역의 생육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20개소의 대상지에서 확인한 개체수는 총 3,270개체이며, 평균 개체밀도는 1.635/m2이다. 평균 수고는 1.1m 정도이며, 평균개화율은 27.37%이고 개화는 1.0~1.8m(평균수고 1.39m) 수고에서 집중되었다. 한편, 결실률은 평균 1.67%로 매우 낮았다. 종자의 크기는 평균 너비 0.27mm, 높이 0.18mm 정도로 너무 작아 X-ray 촬영을 통한 충실검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종자를 1% Agar배지에 종자를 치상한 후 온도조건(15, 20, 25℃)에 따른 실험 및 온도(15, 20, 25℃)와 GA3 농도(100, 250, 500PPM)처리 실험 모두 발아율은 0%였다. 결실률이 매우 낮고, 종자 발아율 또한 낮으며 지하경을 뻗는 특성으로 보아 종자는 휴면종자이며 영양생장을 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실험 결과, 신초는 평균 30.6mm 성장, 엽록소 평균 함량 25.30, 잎의 수 평균 8.32개, 잎 길이 평균 35.93mm, 잎 폭 평균 20.37mm정도 성장하여 엽면적은 평균 761.10mm로 나타났다. 생육은 조도계를 활용한 실 차광률로 볼 때, 67.8% > 82.8% > 88.2% > 43.2% > 91.9%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걱댕강나무 자생지 내 수관열림도가 21.86%로 이를 차광률로 환산할 경우 70%내외의 차광률에서 생육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기후대별로 5개소에 이식한 주걱댕강나무는 이듬해까지 모두 생육이 원활하였다. A. spathulata를 Diabelia ionostachya종들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진다는 연구에서 D. ionostachya 샘플은 위도상 강원도 고성군에 속하고 있어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식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산림치유의 숲 조성 및 운영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jects in Korea)

  • 조택희;이연호;김상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30-638
    • /
    • 2014
  • 본 논문은 치유의 숲에 대한 산림청의 투자사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2011년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려된 투자사업은 20개의 치유의 숲 조성사업, 3개 치유의 숲 운영사업 및 국립백두대간 산림치유단지 조성사업인데, 이 사업들의 투자 및 운영으로 2010년부터 2017년 동안 약 6,982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4,556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8,176명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Differences in Field Sign Abundance of Mammal Species Around the Roads in Baekdudaegan Mountains

  • Hur, Wee-Haeng;Lee, Woo-Shin;Choi, Chang-Yong;Park, Young-Su;Lee, Chang-Bae;Rhim, Shin-Ja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112-11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distribu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for mammal species in fragmented forest areas around the road from June 2002 to May 2003 in 9 study sites of Baekdugdaegan mountains, Korea. Field signs of twelve mammals, moles Molera robusta, Korean hares Lepus coreanus, Manchurian chipmunk Tamias sibiricus, red squirrels Sciurus vulgaris, Korean racoon dogs Nyctereutes procyonoides, Siberian weasels Mustela sibirica, badgers Meles meles, otters Lutra lutra, Bengal cats Felis bengalensis, wild boars Sus scrof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roe deer Capreolus pygargu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number of species between 50 m areas and 50-100 m areas from road in snow and non-snow season. Number of mammals' field signs were different in non-snow season between both areas. Red squirrels and Siberian weasels were more abundant in 50 m areas, and Korean hares and Manchurian chipmunks were in 50-100 m areas. Habitat using pattern of mammal species may be affected by the road. Reasonable 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would be needed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ildlife and their habitats.

Altitudinal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plant species richnes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common versus rare species

  • Lee, Chang-Bae;Chun, Jung-Hwa;Um, Tae-Won;Cho, Hyun-J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3호
    • /
    • pp.193-204
    • /
    • 2013
  • Altitudin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and the effects of area, the mid-domain effect, climatic variables,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latitude on observed richness patterns along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were studied. Data were collected from 1,100 plots along a 200 to 1,900 m altitudinal gradient on the ridge. A total of 802 plant species from 97 families and 342 genera were recorded. Common and rare species accounted for 91% and 9%, respectively, of the total plant species. The altitudinal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for total, common and rare plants showed distinctly hump-shaped patterns, although the absolute altitudes of the richness peaks varied somewhat among plant groups. The mid-domain effect was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variable for total and common species richness, whereas climatic variables were better predictors for rare plant richness. No effect of latitude on species richness was observed. Our study suggests that the mid-domain effect is a better predictor for wide-ranging species such as common species, whereas climatic variables are more important factors for range-restricted species such as rare species.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richness patterns may reflect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biology and ecology of different plant groups.

백두대간 강원도 4개 권역의 관속식물상 - 오대산, 대관령~석병산, 청옥산~덕항산, 금대봉~태백산 권역을 중심으로- (Vascular Plants of 4 Sections in Gangwon-do, Baekdudaegan Mountains - Focused on Mt. Odaesan section, Daegwallyeong~Mt. Seokbyeongsan section, Mt. Cheongoksan~Mt. Deokhangsan section and Geumdaebong~Mt. Taebaeksan section -)

  • 오현경;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ascular plants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ecosystem conservation measure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699 taxa including 98 families, 338 genera, 598 species, 4 subspecies, 80 varieties, and 17 forms. There were 427 taxa in A-section, 451 taxa in B-section, 361 taxa in C-section, and 455 taxa in D-section. The rare plants were 37 taxa including 2 taxa of the CR, EN, and DD each, 12 taxa of the VU, and 19 taxa of the LC.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30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Kimura,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Carex okamotoi Ohwi, and so forth. The northern plants were 41 taxa including Equisetum hyemale L., Anemone reflexa Steph. et Willd.,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3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L.) Holub, Coreopsis lanceolata L., Poa pratensis L.,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Rumex acetocella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 (2) - 묘목식재 방법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사례 - (A Study of Rehabilitation for Limestone Quarry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2) - In Case Study for Planting Seedlings Experiment on Okke Quarry -)

  • 김경훈;김학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7-125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lanting seedlings for quarry rehabilit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for rehabilitation of quarry with planting seedlings and seeding types. Planting seedlings were categorized as target specie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limestone quarry (Lafarge Halla Cement Inc.)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at Okke, Kangwon-do. The experimental planting bed was set in 2007 and field monitoring was carried out from 2007 to 2011. As the result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early-phase pattern for surveyed species to establish was affected by the planting and seeding types. As years after planting and seeding, the percent of plant coverage also increased up to 90%. The methods of mixed planting and seeding were good for species diversity, but the growing of seedlings were affected by seeding plant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were superior to target species during first 2 years, but target species has gained predominance during last 2 years. The quality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annually to attain the goal of rehabilitation.

백두대간 남덕유산∼소사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Namdeogyusan to Sosajae in the Baekdudaegan)

  • 최송현;오구균;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41
    • /
    • 2004
  • 백두대간의 남덕유산∼소사해 구간 능선부에 대해 16개 조사지(단위면적 500$m^2$)를 설정하여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Classification(TWINSPAN)기법에 의한 군락분리를 실시 한 결과, 군락 I 에서 군락 IV는 모두 신갈나무가 우점종인 가운데 부수종별 차이가 있었으며, 군락V는 신갈나무-소나무군락으로 최종 5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각 군락은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락구조를 밝혔다. 기술통계분석결과 단위면적당(500$m^2$)평균출현종수는 27.8$\pm$7.5종, 평균출현개체수는 687.6$\pm$326.8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