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resistant

검색결과 738건 처리시간 0.025초

채소 재배에서 사용하는 농용 항생제에 대한 주요 식물병원세균의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Resistance of Phytopathogenic Bacteria to Agricultural Antibiotics)

  • 김지연;백광현;이선영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68-1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3종의 농용 항생제를 대상으로 Pectobacterium carotovorum,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C. michiganensis subsp. capsici 및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세균 91 균주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농도의 발리다마이신에이 단독성분에 의한 흡광도 측정을 통해 분광학적으로 균주 생장을 확인하였다. 주성분으로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이 합제된 농용 항생제의 경우 안전사용기준 농도의 100배에서도 모든 균주가 생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트렙토마이신이 주성분인 농용 항생제의 경우 안전사용농도와 그 10배의 농도에서 91개 균주 중 각각 4%와 2%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리다마이신에이의 경우에는 안전사용농도와 그 10배, 100배의 농도에서 각각 97%, 93%, 73%의 균주가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P. carotovorum이 발리다마이신에이에 가장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리다마이신에이 단독성분을 통한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농용 항생제 발리다마이신에이에 저항성을 가지는 균주와 가지지 않는 균주 간의 경향성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물병원세균에서 항생제 저항성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외생 살리실산과 일산화질소 처리가 고추묘의 저온 내성 및 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ogenous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or Nitric Oxide on Chilling Tolerance and Disease Resistant in Pepper Seedlings)

  • 박송이;김흥태;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9-336
    • /
    • 2014
  • 저온은 식물 생장을 저해하는 주된 요인이며 병원균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식물체에서 스트레스 내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고추 묘에서 저온 내성과 식물병 발생에 대한 외생 살리실산(SA)과 일산화질소(NO) 처리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정식 후 23일 동안 고추 묘(Capsicum annuum L. '기대만발')는 온도 $20/25^{\circ}C$(낮/밤), 광주기 15시간, 광도 $145{\pm}5{\mu}mol{\cdot}m^{-2}{\cdot}s^{-1}$의 정상적인 생육환경에서 자랐다. 1주일에 2번 계면활성제 0.1%를 포함한 SA와 NO 3mL을 고추 묘에 각각 분사해주었다. 처리 후 고추 묘는 암 상태에서 6시간 동안 $4^{\circ}C$ 저온에 노출시킨 후 정상적인 생육환경에서 2일 동안 회복시켜주었다.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내성을 평가하기 위해 저온 처리 후 생육특성, 엽록소 형광 값, 세포막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릭 농도와 항산화도는 실험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고추의 점무늬병과 풋마름병 발생 정도도 조사하였다. 저온 처리 전 후를 비교하여 대조구 고추묘에서는 저온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분을 손실하여 건물율이 높지만 SA와 NO 처리 된 고추 묘는 비슷한 건물율을 유지하였다. 저온 처리 후 대조구에 비해 SA와 NO 처리구의 전해질 유출 값은 더 낮았다. 저온 처리 동안 SA와 NO 처리구의 엽록소 형광값은 약 0.8 수준으로 유지하였지만 대조구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화학적 처리 동안 SA 처리구의 총 페놀릭 농도와 항산화도는 NO 처리구보다 높았다. 또한 저온 처리 후 대조구와 NO 처리구의 총 페놀릭 농도는 증가하였다. 고추에서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은 SA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SA와 NO의 외생처리는 고추 묘의 저온 내성을 증대시켰고 병 발생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listerial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Kim, Jo-Min;Kim, Ki-Hwan;Kim, Song-Yi;Park, Young-Seo;Seo, Min-Jae;Yoon, Sung-Si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03-508
    • /
    • 2005
  • Screening for antilisterial activity was performed in about three thousand isolate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Chinese cabbage kimchi, and finally based on the relatively stronger antilisterial activities eight bacterial strains were selected. The bacteria were further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ir tolerance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bile salts (0.3% oxgall), and to the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Of the isolates, YK005 was especially investigated for i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it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Listeria monocytogenes as well as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O157:H7, as they have been constantly reported to be resistant against bacteriocins produced by a number of LAB strains. YK005 was found to be rod-shaped, $3.8\;{\mu}m$ long ${\times}\;0.5\;{\mu}m$ wide, non-sporeforming, non-motile, catalase-negative, and produced gas from glucose (heterolactic). Based on the biochemical data obtained by API 50 CHL medium, the isolate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To validate the result obtained by the biochemical identification, rRNA-based PCR experiments using a pair of species-specific primers for L. brevis were conducted and a single band of 1400 bp was observed, which strongly indicated that YK005 belongs to L. brevis. The LAB isolates are potentially exploited as human probiotic organisms and are employed to control some food-borne pathogens like L. monocytogenes.

Characterization of Growth-supporting Factors Produced by Geobacillus toebii for the Commensal Thermophile Symbiobacterium toebii

  • Kim, Joong-Jae;Masui, Ryoji;Kuramitsu, Seiki;Seo, Jin-Ho;Kim, Kwang;Sung, Mo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490-496
    • /
    • 2008
  • Symbiobacterium toebii is a commensal symbiotic thermophile that cannot grow without support from a partner bacterium.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Symbiobacterium growth-supporting factors (SGSFs) produced by the partner bacterium Geobacillus toebii. SGSFs occurred in both the cell-free extract (CFE) and culture supernatant of G. toebii and might comprise multifarious materials because of their different biological properties. The heavy SGSF contained in the cytosolic component exhibited heat- and proteinase-sensitive proteinaceous properties and had a molecular mass of >50 kDa. In contrast, the light SGSF contained in the extracellular component exhibited heat-stable, proteinase-resistant, nonprotein properties and had a molecular mass of <10 kDa. Under morphological examination using light microscopy, S. toebii cultured with the culture supernatant of G. toebii was filamentous, whereas S. toebii cultured with the CFE of G. toebii was rod-shaped.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SGSFs produced by G. toebii comprise two or more types that differ in their growth-supporting mechanisms, although all support the growth of S. toebii. Upon the examination of the distribution of SGSFs in other bacteria, both cytosolic and extracellular components of Geobacillus kaustophilus,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had detectable growth-supporting effects for S. toebii, indicating that common SGSF materials are widely present in various bacterial strains.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hree Conifer Trees; Pinus densiflor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 Lee, Jeong-Ho;Lee, Byung-Kyu;Kim, Jong-Hee;Lee, Sang-Hee;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391-396
    • /
    • 2009
  •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ree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were investigated. Gas chromatography mass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s revealed that the major components and the percentage of each essential oil were 16.66% $\beta$-phellandrene and 14.85% $\alpha$-pinene in P. densiflora; 31.45% kaur-16-ene and 11.06% sabinene in C. japonica; and 18.75% bicyclo [2,2,1] heptan-2-ol and 17.41% 2-carene in Ch. obtusa. The antimicrobial assay by agar disc diffusion method showed that $2.2{\mu}g$ of Ch. obtusa oil inhibited most effectively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ATCC 33312 and Klebsiella oxytoca ATCC 10031, whereas the C. japonica oil gave weak antimicrobial activit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values for bacterial strains were in the range of 5.45-21.8 mg/ml depending on essential oils, but most Gram-negative bacteria were resistant even at 21.8 mg oil/ml. P. densiflora oil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fungal activity and the MIC values for Cryptococcus neoformans B42419 and Candida glabrata YFCC 062CCM 11658 were as low as 0.545 and 2.18 mg/ml, respectively. Cryp. neoformans B42419 was the most sensitive to all essential oils in the range of 0.545-2.18 mg/ml. Our data clearly showed that the essential oils from the three conifers had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especially against fungi.

Antibacteri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Aphanamixis polystachya essential oil

  • Rahman, Md. Shahedur;Ahad, Abir;Saha, Subbroto Kumar;Hong, Jongki;Kim, Ki-Hyun
    • 분석과학
    • /
    • 제30권3호
    • /
    • pp.113-121
    • /
    • 2017
  • Now a day's rise of new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l strains is a global threat. Ethnic people of India have been employing Aphanamixis polystachya (Wall.) R. Parker wood extract in healing cancerous woun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 identify the medicinally potent chemicals in the essential oil extract of A. polystachya.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various organic extracts were evaluated against a range of bacteria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based on the disc diffusion method and GC-MS based analysis for finding active oil extract components. All extracts of A. polystachya leaves showed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y, notably ethyl acetate, while petroleum ether extracts revealed highly sensitive activity against all tested bacteria (zones of inhibition ranging from 8.83 to 11.23 mm). In addition, the petroleum ether extract had the lowest MIC value (32 to $256{\mu}g/mL$) against E. coli, S. lutea, X. campestris, and B. subtilis bacteria. The major compounds detected in oil [${\beta}$-elemene (16.04 %), ${\beta}$-eudesmol (12.78 %), ${\beta}$-caryophyllene (19.37 %), ${\beta}$-selinene (11.32 %), elemol (5.76 %), and ${\alpha}$-humulene (5.68 %)] are expected to be responsible for the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potent role of A. polystachya essential oil extract in pharmaceutical and antibiotic research.

충청지역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폐렴막대균에 CTX-M형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확산 (Dissemination of CTX-M Type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Among Klebsiella pneumoniae Clinical isolates in Chungcheong Province)

  • 성지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49-354
    • /
    • 2016
  • 다양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를 생성하는 폐렴막대균의 출현 및 확산은 세균에 의한 감염증 치료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에서 분리된 폐렴막대균을 대상으로 ESBL 유전자를 검출하고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같은 클론에서 유래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repetitive element sequence-based (REP)-PCR을 수행하였다. 충청지역에서 분리된 폐렴막대균 102균주 중 21균주가 CTX-M-14 및/또는 CTX-M-15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균주들은 3세대 cephalosporin 계열 항균제에 대해 70% 이상의 높은 내성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CTX-M형 ESBL생성 폐렴막대균은 다양한 클론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지역사회에 확산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폐렴막대균의 감염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감염관리의 강화가 필요하다. 아울러 좀 더 효과적인 내성세균의 관리를 위해서는 내성유전자의 생물학적 조사와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통합적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동성 폐결핵으로 오인된 만성 괴사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1예 (A Case of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Obscured by Cavitary Pulmonary Tuberculosis)

  • 민주원;윤영순;박종선;김혜련;이지영;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임재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4호
    • /
    • pp.368-371
    • /
    • 2007
  • Pulmonary cavities are caused by bacterial pneumonia, fungal diseases, lung cancer, and tuberculosis (TB). However, in Korea, patients with cavitary lung lesion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pulmonary TB, where the incidence of TB is approximately 70/100,000 per year. We report a case of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that was obscured by multidrug-resistant pulmonary TB.

TOL 플라스미드 세균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ly Occuring Bacteria Carried TOL Plasmid)

  • Nam, Cho-Byung;Cho, In-Sun;Rhee, Young-Ha;Ryu, Jae-Keun;Min, Kyung-H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1-326
    • /
    • 1989
  • m-Toluate 최소배지에서 선택적 enrichment culture를 통하여 82개의 세균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ol들 중 두 균주는 Pseudomonas cepacia, 한 균주는 P. Putida, 한 균주는 Yersinia intermedia, 그리고 한 균주는 Flavobacterium odoratum으로 동정되었다. P. cepacia SUB37은 P. putida mt-2의 TOL 플라스미드와 비슷한 크기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Flavobacterium odoratum과 Yersinia intermedia는 이보다 더 큰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었다. P. cepacia SUB37은 strept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rifampicin에는 내성을 나타내었다. 플라스미드를 갖는 P. cepacia SUB37은 탄화수소를 해당 알콜과 알데히드를 거쳐서 benzoate와 toluate 로 분해하였다. 플라스미드 제거실험으로, P. Cepacia SUB37의 플라스미드에는 탄화수소 분해과정 중 toluene과 xylene을 benzoate, toluate로 분해하는 효소와, 계속하여 meta pathway를 거치는 단계의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들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P. cepacia SUB37은 생장이 왕성하였을 때 m-toluate를 거의 분해하였다.

  • PDF

고농도 에탄올내성 초산균의 개발 및 배양특성 (Investigation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High Concentration Ehtanol Resistant Acetobacter sp.)

  • 박권삼;장동석;조학래;박욱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66-670
    • /
    • 1994
  • 식초 생산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재래식 식초생산에 사용되고 있는 종초로 부터 고농도의 에탄올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에탄올 순양법으로 개발해 내었다. 에탄올이 5~10% 첨가된 액체배지에 종초를 각각 가하여 에탄올 10%에서 증식이 가능한 균주를 순양 개시 42일만에 분리해 내었고, 이를 동정하여 Acetobactor sp. FM-10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이 균주의 배양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cetobactor sp. FM-10의 증식 최적조건을 살펴본 결과, 최적온도는 $30^{\circ}C$였으며, 최적 pH는 5.0이었다. 초산생산에 적합한 배지의 조성은 에탄올 10%, 포도당 5%, yeast extract 1%가 함유된 배지였다. 식초생산 최적조건은 에탄올이 10% 첨가된 배지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정치배양시 배양 20일만에 최고 산도인 9.0%에 도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