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값

검색결과 1,199건 처리시간 0.032초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차 제품의 색상 및 카테킨류의 신속 측정 (Rapid Measure of Color and Catechins Contents in Processed Teas Using NIRS)

  • 천종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6-392
    • /
    • 2010
  • 녹차, 부분발효차, 발효차 및 후발효차 등 다양한 차 제품 분말을 NIRSystem를 이용하여 전 대역(400-2500 nm)에서 스펙트럼을 얻어 중회귀분석에 의해 색상 관련 특성 및 카테킨류 성분에 대한 검량식을 유도하였다. Hunter color scale에서 발효정도의 변이를 a/b로 98.7% 설명될 수 있어 a/b값으로 차제품의 발효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MPLS를 이용하여 작성된 검량식의 결과 L값의 검량식 작성시 결정계수는 0.997, a값의 결정계수는 1.00, b값의 결정계수는 0.996, a/b값의 결정계수는 0.999로 매우 높았다. MPLS를 이용하여 작성된 검량식의 결과 EGC, EC, EGCg, ECg 및 총 카테킨의 결정계수는 각각 0.919, 0.896, 0.978, 0.905 및 0.983으로 매우 높았다. 차 제품 분말의 색상관련 특성들(L, a, b, a/b) 및 카테친류 (EGCg, EGC, EC, ECg 및 총 카테킨) 의 검량식 정확도가 매우 높아서 NIRS의 가시광선 대역(400~700 nm)및 근적외선 대역(780~2500 nm)에서 동시에 두 특성의 성분을 1~2분 내로 측정이 가능하다.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with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r Manufacture)

  • 채명희;박나영;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67-1272
    • /
    • 2006
  • 매실리큐르 제조 후 생성되는 매실 부산물을 10%, 20% 농도로 식빵 제조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발효팽창력과 굽기손실율은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였으나 부피는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 10% 첨가한 반죽의 L값은 대조구와 유사하였고, 2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빵 표면의 L값은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는 감소하였다. b값은 매실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빵 내부의 색도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은 10% 첨가구의 hardness와 strength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20% 첨가구는 증가하였다. Cohesiveness와 springiness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첨가농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는 매실 과육 10% 첨가구의 기호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외 색택, 씹힘성, 빵의 부드러운 정도(softness)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매실 과육 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에 비해 기호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국 담수어류 10종의 상대 무게지수(Relative weight index) 활용을 위한 표준 길이-무게 상관관계(Standard Length-Weight relationships) 산출 (Estimation of Standard Length-Weight Relationships of 10 Freshwater Fish in the South Korea for Application of Relative Weight Index)

  • 백승호;박상현;김정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62
    • /
    • 2020
  • 상대 무게 지수(Relative weight index, Wr)는 어류의 표준 무게와 실측 무게의 비율을 산출하는 지수로써 영양상태를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 무게 지수 활용을 위해 국내 담수어류 10종의 표준 무게 산출을 위한 길이-무게 상관관계(표준 LWRs)를 산출하는 것과, 상대 무게 지수 산출 결과에 대한 빈도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다. 총 141개 조사 지점에서 798회 어류 채집을 통해 확보한 어류의 길이-무게 데이터를 활용하여 LWRs를 산출하였다. LWRs는 매개변수 a와 b값을 95% 신뢰한계(confidence limits)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모든 종에서 결정계수(r2)는 0.9 이상으로 산출되었고, b값은 Froese (2006)의 예상 범위에 포함되었다. 상대 무게 지수 산출 결과에 대한 빈도 분포 분석은 각 종별로 10~90 백분위수를 10 단위로 산출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는 상대 무게 지수를 활용하여 어류의 영양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은이온을 첨가한 장석계 도재의 분광 측색학적 평가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feldspathic porcelain with silver ion)

  • 김지현;송경우;노세라;윤계림;윤귀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1호
    • /
    • pp.20-25
    • /
    • 2015
  •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장석계 도재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은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은 첨가가 장석계 도재의 색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조군은 은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장석계 도재를 이용하고, 은이 5%, 10%, 20%, 30%의 농도로 첨가된 장석계 도재를 4개의 실험군으로 하여 총 5개의 그룹을 이용하였고, 각 그룹당 각 5개씩 디스크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L, a, b값을 2번씩 측정하였다. 각 값은 SPSS를 이용하여 일원분산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은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각 그룹간 L값은 거의 비슷하였고, a값은 점차 증가하고, b값은 점점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은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Delta}E$ 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은 이온이 함유된 도재와 10%의 은 이온이 함유된 도재는 ${\Delta}E$값이 3.7 이하였다. 결론: 장석계 도재에 은을 첨가하는 것은 도재의 색조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10% 이하의 이온을 첨가한 장석계 도재는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만 하다.

貯藏溫度와 充塡材料가 마의 貯藏과 品質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Keeping Materials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Yam)

  • 김영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8-63
    • /
    • 1997
  • 최근 한방(韓方)의 생약제(生藥劑) 또는 생식용(生食用)으로서 마의 소비량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년중(年中) 출하(出荷)를 위한 안정적인 저장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시험은 마의 저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저장온도와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저장 또는 상품성과 관련된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고 같다. 1.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건전개체율은 상온저장과 저온저장 모두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높았고 상온저장에서는 흙, 저온저장에서는 PE film을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한편 중량감소율은 상온과 저온저장 모두 타충진재(他充塡材)에 비하여 PE film과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2. 충전재과(充塡材科)에 따른 저장 후 상품성(商品性)과 관련된 명도(明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저온저장에 비하여 상온저장에서 낮았으며, 충전재(充塡材)는 저온저장에서 PE film을 이용할 경우 명도 및 색도 a값이 높고 색도 b값이 낮은 반면,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PE film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3. 충전재료별 저장 후 상품수량은 건전개체율 또는 수분함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 부패정도가 $30\sim60%$, 60% 이상인 것, 중량감소율 또는 색도 b값과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분석되었다.

  • PDF

단감가루 첨가함량을 달리한 식빵의 품질 특성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 정지영;김광호;신동주;손규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38-742
    • /
    • 2002
  • 단감빵을 개발하기 위하여 강력분을 단감가루로 대체할 수 있는 적정 비율을 결정하고, 단감가루 대체 비율별 단감빵의 물리적, 관능적 검사를 통하여 단감빵의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력분 대신 단감가루를 5, 10, 15, 20% 대체했을 때 단감가루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 흡수율과 빵의 부피는 감소하고 빵의 무게는 증가하였다. 식이섬유나 비타민 A, $\beta$-카로틴, 비타민 C 함량은 밀빵보다 단감빵에 훨씬 많았으며 단감가루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단감가루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빵 껍질색에서 L, b값은 감소하였지만 a값은 증가하였고, 빵 내부색에서는 L값만 감소하고 a, b값은 증가하였다.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을 제외한 풍미,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10% 단감빵이 밀빵보다 선호되었고, 맛에서는 5% 단감빵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10% 단감빵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QDA결과 단감가루 대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껍질색, 내부색, 단감향, 갈변취, 단맛, 뒷맛, 탄력성, 점착성은 증가하였다. 단단함은 단감빵보다 밀빵이 높은 반면 촉촉함은 단감빵이 높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단감가루를 10%, 대체한 경우가 가장 높고 과 다음이 5% 대체한 단감빵, 대조구 밀빵 순으로, 대조구 밀빵보다 단감빵의 기호도가 좋다고 평가되었다.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 박신인;조은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0-127
    • /
    • 2004
  • 생리적 활성이 높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클로렐라 추출물 분말을 0.5%, 1.0%, 1.5%, 2.0%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생국수의 품질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클로렐라 추출물 분말을 첨가한 국수는 조리시의 중량, 부피, 함수율, 고형분 용출량이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클로렐라 추출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되었고 b값은 증가하였으며 조리하였을 때 L, a, b값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국수의 조리 후 텍스쳐에서 경도, 응집성, 탄성, 점성, 씹힘성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 결과 클로렐라 추출물 1.5% 첨가구에서 맛, 텍스쳐,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색깔과 향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클로렐라 추출물 분말을 1.5%첨가함으로써 품질과 관능성이 향상된 생국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울금가루를 첨가한 가락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Garakguksu) with Curcuma longa L. Powder)

  • 송승헌;정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9-205
    • /
    • 2009
  • 울금가루를 새로운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울금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국수를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와 울금가루 혼합분의 물결합력과 breakdown은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setback은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울금가루 첨가 국수의 조리 특성에서 무게, 부피 및 인장강도는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탁도는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울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국수의 조리 전과 조리 후의 색도 및 물성의 변화에서 L값은 조리 전 생국수가 조리된 국수보다 높았으나, 색도의 a값 및 b값과 물성에서는 조리 전 생국수보다 조리된 국수에서 높았다. 색도의 L값과 물성의 탄력성 및응집성은 울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색도의 a값 및 b값과 물성의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울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울금가루 첨가량에 따른 관능검사에서 울금가루 4% 첨가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울금가루 2% 및 8%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복분자의 포제방법에 따른 추출물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Rubi Fructus in Relation to Drying Methods and Extraction Solutions)

  • 정헌식;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36-441
    • /
    • 2005
  • 복분자의 포제에 있어 건조방법이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복분자 딸기를 5분간 증자하고, 자연 양건, 적외선 건조 또는 동결건조한 다음 20 mesh 크기로 분쇄하고, 열수나 40% 에탄올(80$^circC$)로 3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추출수율은 동결건조품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건조법에 무관하게 에탄올보다는 물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pH는 물 추출에서는 건조방법별 차이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에서는 동결건조품에서 다소 높고 낮은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유리기 소거능은 동결 건조품,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결건조품에서 L값은 가장 높았고 a와 b값은 가장 낮았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L과 b값은 높았으나 a값은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복분자 포제에 있어 전통적 자연 양건보다는 적외선 및 동결건조 특히, 동결건조의 적용에 의해 품질향상이 가능하며, 또한 총가용성 성분의 추출에는 물 추출이, 항산화성 성분의 추출에는 에탄올 추출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적외선 방사체 시설 내에 저장한 오이, 호박, 방울토마토의 선도유지효과

  • 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34.2-135
    • /
    • 2003
  • 채소류는 생리적인 특성상 수확후 저장 및 유통되는 동안에 호흡작용, 증산작용 등의 작용이 활발해질 뿐만 아니라 곰팡이를 비롯한 식물병이 미생물의 오염 및 성장으로 부패현상을 일으키고 채소류 자체의 경도가 저하되며, 수분, 비타민, 유기산, 당분, 색소함량 등이 떨어져서 외관, 맛 신선도 등의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채소류(오이, 호박, 방울토마토)의 선도를 연장하기 위한 저장조건을 실시하여 최적 습도 및 온도범위를 결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하여 시설채소산물을 습도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5~8$^{\circ}C$의 온도와 90% 습도유지)에 저장하면서 무처리구인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중 시료의 중량손실율, Ascorbic acid함량, 총균수(PCA사용법에 의거), pH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시료의 표면색도는 색도계(Minolta CR-300, Japan)를 사용하여 Hunter의 L, a, b값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채소류의 선도유지기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중량손실율은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저장한 채소류가 중량손실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습도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채소류를 저장함으로서 채소류의 수분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정기간동안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저장함으로써 ascorbic acid함량의 감소를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비율로 억제할 수 있었다. 총균수의 경우 채소류 시험구에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서 저장할수록 오염미생물의 총균수가 낮게 나타났다. 표면색도의 경우, a값은 모든 시험구에서 감소하였으며 원적외선 방사체 시험구에 비하여 대조구 저장시료의 표면색도가 청색도를 증가시키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고, b값은 시료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없이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율은 수분 함유율이 높은 채소류일수록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부패율을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시설내에 오이, 호박 및 방울토마토와 같은 채소류를 저온고습도상에서 저장할 경우, 채소류의 품질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갓 수확한 채소류의 선도유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저장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