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xillary crutch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겨드랑이 목발의 디자인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Study with Axillary Crutch Design Variations)

  • 양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43-253
    • /
    • 2016
  • 이 연구는 하지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보행 보조기기인 목발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 관한 것으로 인간의 보행특성에 적합한 합리적인 목발 개발을 위한 장기 연구의 일부분이다.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목발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겨드랑이 목발을 비교 평가 하였다. 목발 사용 경험이 없는 성인 남녀 31명이 참가한 목발의 비교 평가 실험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10가지의 목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겨드랑이 목발 3종에 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각 목발에 대한 가이드라인별 사용자 평가의 전체 평균에서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이드라인별로 보면, 6가지의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목발의 경량성과 경제성 및 시장성에 대해서는 세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발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존 목발의 사용자 인식수준을 규명하고자 한 이 연구의 결과는 후속연구인 목발을 이용한 보행평가실험의 결과와 종합적으로 분석되어 가이드라인이 합리적인지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발 디자인에 따른 근육 활성도 및 사용자 인식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Electromyography Activity and User-perceived Level with Crutch Design Variations)

  • 양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57-16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성 12명이 참여하여 3종의 겨드랑이 목발(Mobilegs, KM crutch, Pro In-motion)을 사용한 보행에서 광배근과 비복근에서의 근전도 반응과 보행에서의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을 중심으로 한 사용자 인식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광배근에서는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비복근에서는 Mobilegs와 Pro In-motion이 KM crutch에 비해 현저히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이것은 Mobilegs와 Pro In-motion은 각각 겨드랑이 받침대 하단과 목발 하단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비복근에 요구되는 힘이 적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 평가에서 Mobilegs는 보행 시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에 대해 모두 다른 목발들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목발 보행 시 많은 힘이 집중되어 다양한 문제를 유발시키는 겨드랑이 받침대와 손잡이의 디자인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연구의 결과는 스프링이 장착된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서 비복근에서 적은 힘이 요구되어 보다 쉬운 보행을 가능케 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목발의 디자인 특성은 근육에 요구되는 힘을 줄이고, 여기에 겨드랑이 받침대와 목발 손잡이의 합리적인 구조와 형태가 보태질 경우 사용자들은 그 목발을 사용한 보행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편안하게 인식함을 알 수 있다.

하지 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 연구 (The Design of a Crutch as Mobility Aids for the Handicapped in the Lower Extremity)

  • 양승호;오광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55-70
    • /
    • 2018
  • 이 연구는 하지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한 사례에 관한 장기 프로젝트의 후반부에 해당한다.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하여 목발보행에 관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목발을 이용한 보행 특성에 부합하고 산업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은 양산형 목발의 디자인 개발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있다.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혁신적인 목발인 토고(TOGO)는 (1)목발 팁과 겨드랑이 받침대의 형태 및 구조 개선을 통해 목발이 지면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충격의 전달 최소화, (2) 보행 중 사용자의 신체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는 인체공학적 구조, (3)알루미늄 압출 성형에 의한 프레임 제작과 구조 개선으로 목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성·이동성을 위한 쉽고 빠른 목발의 길이 조절, (4)보행 중 안전상 위험요소 최소화 및 (5)사용자가 자존감을 지킬 수 있게 충분히 매력적인 형태 등이 특징이다. 연구 성과로 도출된 새로운 목발은 특허 출원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대량생산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 검토에 이어 양산을 위한 기업 탐색과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QFD와 불편도 실험을 통한 겨드랑 목발의 인간공학적 분석 및 디자인 (Ergonomic analysis and Design of an Axilla Crutch Through QFD and Discomfort Experiments)

  • 박희석;옥동민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3-108
    • /
    • 200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design of a pair of axilla crutches through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and discomfort experiments. User needs for the crutches, as well as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ergonomic quality of crutches were determined from the interview with many users. This information was entered in the house of quality,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axillary pad and grip are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s. And the results from the discomfort experiments confirmed the QFD output. A prototype reflecting the QFD results was propos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how QFD approach can be a methodological tool geared to greater ergonomics consideration in product design.

이상적인 목발 길이와 목발 길이 추정법들간의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veral Crutch-Length-Estimation Techniques and Ideal Crutch Length)

  • 김민정;박윤수;이충휘;김현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3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of several crutch-fitting techniques best predicts ideal crutch length. Ideal crutch length is defined as the length of the crutch, including accessories, obtained during stance when the crutch tip is 6 inches (15.2 cm) lateral and 6 inches(15.2 cm) anterior to the fifth toe and the axillary pad is 2.5 inches(6.4 cm) below the axillary fold. Forty four volunteers were measured for crutches using each of the following methods:(1) 77% of actual height, (2) actual height minus 40.6 cm, (3) actual height minus 45.7 cm, (4) olecranon to opposite third finger tip, (5) olecranon to opposite fifth finger tip, (6) 77% of arm span, (7) arm span minus 40.6 cm, (8)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9)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10) ideal crutch length. Of the techniques studied, the two involving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were found to be good predictors: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and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Finally, two additional length estimates were deriv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se estimates provided the best overall predictors based on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and actual h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