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oidant process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애착 유형에 따른 아동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및 상호작용 (Children's Emotion Recognition, Emotion 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ons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s)

  • 최은실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5-68
    • /
    • 2012
  •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children's recognition of various emotions, emotion 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ons among their pe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ttachment styles. A total of 65 three to five years old children completed both attachment story-stem doll plays and a standard emotion recognition task. Trained observers documented children's valence of emotion 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ons among their peers in the classroom. Consistent with attachment theory, children who were categorized as secure in the doll play were more likely to express positive emotions than children who were categorized as avoidant in the doll play. Children who were categorized as avoidant in the doll play were more likely to express neutral emotions among their peers than children who were categorized as secure and anxious in the doll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general attachment literature by documenting how attachment security plays a crucial role in having positive emotions in ordinary situations. It does so by also demonstrating how different attachment styles are associated with children's qualitatively different patterns of emotion processing, especially in terms of their expression of emotions.

부정자극 지각에 관련된 불안인과 정상인의 공간주의 비교연구 (Different mechanism of visual attention in anxious and non-anxious population)

  • 최문기;구민모;박건우;남기춘
    • 인지과학
    • /
    • 제20권1호
    • /
    • pp.51-77
    • /
    • 2009
  • 많은 연구들은 부정과년 자극의 처리가 그 처리자의 정서 상태에 따라 다른 처리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정서 정보 지각의 특성은 크게 두 가지 가정에 의해 논의되었다: 주의 결속(attentional engagement)에서의 차이와 주의해제(attentional disengagement)에서의 차이. 본 연구는 Posner의 cue-target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정서 정보 지각이 일반 자극의 지각과 어떠한 위치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단어 자극을 사용한 실험1과 얼굴 자극을 사용한 실험 2 모두에서 기존의 Fox(2001)에서 나온 결과와는 다르게 정서 자극의 지각이 일반자극의 지각에 비해 주의 결속에서 빠른 반응을 나타냈으며, 이런 경향성은 불안 수준이 높은 피험자에게서만 관찰되었다. 또한, 불안 수준이 높은 피험자들은 일반 피험자들 보다 단서와 목표자극이 일치되는 조건에서 느린 반응을 보였다. 실험 1과 2의 결과가 이 효과와 정서의 혼입되어 나온 결과인가에 대한 통제 실험을 시행한 실험 3에서는 정서 자극 제시 없이 일치 불일치에 대한 결과만을 보았다. 실험 3의 결과는 실험 1과 2가 정서와 피험자의 정서 상태에 의한 결과임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이라는 정서 상태가 부정적인 자극에 대한 지각을 빠르게 하는 이유가 정서 자극에 대한 빠른 주의결속이 있기 때문임을 지지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