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rage molecular weight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초

Portal Absorption of Feed Oligo-peptides in Chickens

  • Wang, Lijuan;Ma, Qiugang;Cheng, Ji;Guo, Baohai;Yue, Hongyu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277-1280
    • /
    • 2004
  • The effect of duodenal infusion with feed oligo-peptide solution on portal absorption of amino acids was investigated in poultry under unanaesthetized conditions. Four peptide solution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enzymatic hydrolysates from fish meal, soybean meal, cottonseed meal and rapeseed meal proteins with average molecular weights less than 3,000 Da and 1,000 Da, respectively. Intestinal absorptions of these oligo-peptide solutions were compared by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free amino acid (FAA) in portal blood after the duodenal administrations of oligo-peptide solutions. Absorptive intensity and balance were used to estimate the intestinal absorption rate of amino acids. The absorptive intensities of amino acids were highest for the fish and soybean meal oligo-peptides. The ratios of amino acids absorbed in the portal blood from fish and soybean meal oligo-peptides were more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the infused amino acids than that observed from the cottonseed and rapeseed meal oligo-peptid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bsorption rate and proportion of PAA in the oligo-peptides. The higher absorption rate could be contributed to the higher proportion of peptide bound amino acids (PAA). The results suggest that fish and soybean meal protein are significantly more easily hydrolyzed into oligo-peptides (p<0.05)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poultry and as such can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by body tissues.

보호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불소화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crylate Derivatives Baying Protected Isocyanate Groups and fluorinated Alkyl Groups)

  • 김우식;김민우;정은천;백창훈;박이순;강인규;박수영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364-369
    • /
    • 2003
  • 보호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발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를 합성하기 위해 개시제로 $\alpha$,$\alpha$'-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을 사용하여 2-fluorohexylethyl acrylate (FA)와 2-(o-(1'-methylpropylidenamino)carboxyl amino)ethyl methacrylate(MEM)를 몰비를 변화시키면서 메틸 에틸 케톤 중에서 공중합하였다. 합성한 공중합체중의 MEM과 FA의 함량을 NMR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Kelen-Tudos 플로트에 의해 MEM (1)과 FA (2)의 단량체 반응성비를 구하였다. 그 결과 r$_{1}$=1.59였고 r$_{2}$=0.50였다. 이들 고분자의 수평균분자량은 39400에서 72400사이에 있었고 다분산 지수는 대략 1.5정도였다. 그 고분자중의 보호된 이소시아네이트기는 15$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재생되었다. FA를 65 ㏖% 함유하는 고분자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95$^{\circ}$정도였다.

Exo-polygalacturonase를 이용한 사과박의 펙틴 추출 (Extraction of Pectin with Exo-polygalacturonase from Apple Pomace)

  • 이승철;육현균;배성문;황용일;최정선;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73
    • /
    • 1999
  • 사과박에서 WAIP의 함량은 32.5%로 추출되었으며, 산처리를 통한 펙틴 추출수율은 약 8%로 나타났다. EPG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 최적조건시 높은 수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EPG를 이용하여 펙틴추출 조건을 pH, 시간, 온도, 효소 첨가량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pH 7, 60시간, $45^{\circ}C$로 그 추출률은 27.1%로 측정되었다. 펙틴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75.7%이었고,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펙틴은 80.1%로 나타났다. 또한 methox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2.44%, 효소 추출 펙틴은 6.36%로 저 methoxyl 펙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소 추출물의 경우 저 methoxyl 펙틴으로 설탕을 전혀 첨가하지 않아도 2가 이상의 금속이 존재하면 겔의 망상구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저 칼로리 식품에 대한 겔화제로서 이용이 기대된다.

  • PDF

Effect of spinning parameters of polyethersulfone based hollow fiber membranes on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 Tewfik, Shadia R.;Sorour, Mohamed H.;Shaalan, Hayam F.;Hani, Heba A.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1호
    • /
    • pp.43-51
    • /
    • 2018
  • Hollow fiber (HF) membranes are gaining wide interest over flat membranes due to their compaction and high area to surface volume ratio. This work addresses the fabrication of HF from polysulfone (PS) and polyethersulfone (PES) using N-methylpyrrolidone (NMP) as solvent in addition to other additives to achieve desired characteristics. The semi-pilot spinning system includes jacketed vessel, four spinneret block, coagulation and washing baths in addition to dryer and winder. Different parameters affecting dry-wet spinning phase invers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Dope compositions of PES, NMP and polyvinyl pyrrolidone (PVP) of varying molecular weights as additive were addressed. Some critical parameters of importance were also investigated. Those include dope flow rate, air gap, coagulation & washing baths and drying temperatures. The measured dope viscosity was in the range from 1.7 to 36.5 Pa.s. Air gap distance was adjusted from 20 to 45 cm and coagulation bath temperature from 20 to $46^{\circ}C$. The HF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tomic force microscope (AFM) and mechanical properties. Results indicated prevalence of finger like structure and average surface roughness from about 29 to 78.3 nm. Profile of stress strain characteristics revealed suitability of the fibers for downstream interventions for fabrication of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Different empirical correlations were formulated which enabl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of the above mentioned variables. Data of pure water permeability (PWP) confirmed that the fabricated samples fall within the microfiltration (MF)-ultrafiltration (UF) range of membrane separation.

One-Shot법을 이용한 폴리우레탄계 유겔화제의 특성 (Oil Gelling Agents made from Polyurethane by One-Shot Method)

  • 김동성;김원호
    • 접착 및 계면
    • /
    • 제3권2호
    • /
    • pp.1-8
    • /
    • 2002
  • 물과의 발포반응에 의해 유츌유를 겔화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NCO prepolymer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올(PTMG 및 GP)과 이소시아네이트(TDI)를 사용하여 NCO prepolymer를 합성하였다. 폴리올 각각의 분자량에 따라 합성한 NCO prepolymer를 이용하여 초기 유출유와 에멀젼된 유출유 그리고 유출유의 종류에 따라 유겔화율을 측정하였다. Bunker B 초기 유출유에 대하여 3관능성 폴리오인 GP1000의 경우 440%의 유겔화율은 나타내었으며, 유출유와 해수가 에멀젼(emulsion)된 상태에서는 2배 정도가 증가한 958%의 유겔화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Bunker B에 비해 점도가 높은 Bunker C의 에멀젼된 상태에서는 1098%의 유겔화율을 나타내었다. 사슬연장제가 투입된 2관능성 폴리올인 PTMG1000의 경우에는 에멀젼된 Bunker B에 대하여 910%의 유겔화율을 나타내었으며, 에멀젼된 Bunker C에 대하여 923%의 유겔화율을 나타내었다. 3관능성 폴리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NCO prepolymer의 경우, 형성된 폴리우레탄 겔은 부드럽고 강한 특성을 가져 회수에 용이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 PDF

저온특성을 갖는 이온전도성 고분자의 합성 연구: II. 비정형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및 분석 (Synthesis of Ion Conducting Polymer Having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s: I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morphous Polyester)

  • 황승식;조창기
    • 폴리머
    • /
    • 제24권2호
    • /
    • pp.281-286
    • /
    • 2000
  • 분자량이 각각 500, 1000, 2500인 비정형 polyether와 sebacoyl chloride로부터 분자량이 약 8000~15000정도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1$H-NMR과 FT-IR을 이용하여 구조와 조성을 분석, 확인하였다. 합성된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3가지 시료 모두 결정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사용된 polyether의 분자량에 관계없이 유리전이온도가 약 -77$^{\circ}C$인 완전한 비정형 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에 poly(ethylene glyool) (PEG)을 이용한 경우는 사용한 PEG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의 융점과 결정화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분자량이 200과 400인 PEG를 이용한 경우에는 약 -71$^{\circ}C$ 정도의 유리전이온도를 보였으며, 융점은 -42.4$^{\circ}C$와 -22.4$^{\circ}C$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분자량이 1000인 PEG를 이용한 경우에는 융점이 23.$0^{\circ}C$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된 PEG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는 8.8%, 16.2%와 46.7%로 증가하였다.

  • PDF

석조문화재를 위한 아크릴계 보존처리제의 무기친화성 개선 (Improvement in Inorganic Affinity of Acrylic Materials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Assets)

  • 김연철;김은영;김헝중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14-19
    • /
    • 2010
  • 여러 원인에 의한 석조문화재의 풍화 손상을 저지할 목적으로 아크릴계 고분자를 이용하는 가압함침 보존 처리방법에서 함침된 고분자와 무기물질인 석재와의 친화성을 높이도록 silane계 아크릴 단량체의 사용을 연구하였다. 기본 단량체인 methyl metacrylate(MMA)에 vinyl trimethoxy silane(VTMS)의 함량을 변화시키고 라디칼 중합으로 MMA-VTMS 공중합체를 얻어 이들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평균분자량, 그리고 저장탄성률의 변화를 평가하여 benzoyl peroxide (BPO) 1 wt%, 중합시간 8시간, 그리고 VTMS 5 mol% 혼합의 경우(PMV5)가 최적 혼합비율과 중합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실제 국내산 화강암과 풍화된 암석의 시편을 함침 보존처리한 후 수분 흡수율, 충격특성, 내산성 및 접착특성 등을 측정한 결과 MMA 단독 사용과 비교하여 PMV5의 경우 모든 특성에 있어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oft Segment 조성에 따른 PU 유겔화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PU Oil-Gelling Agents According to the Soft Segment Content)

  • 이용훈;김욱;김원호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744-750
    • /
    • 2000
  • PU계 유겔화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soft segment로서 친유성을 갖는 polyether계 polyol인 PPG와 PTMG를 사용하고 hard segment로는 TDI를 사용하였다. PPG와 PTMG의 평균 분자량을 각각 1000, 2000, 3000으로 변화시키며 실험한 결과, PPG의 경우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유겔화율은 290%에서 130%로 감소하였으며, PTMG의 경우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310%에서 250%로 감소하였다. 친수성인 EG를 투입한 경우에 유겔화율은 EG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2배 증가하였다. 이는 친수성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물/기름 혼합물에서의 prepolymer의 분산도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PPG의 유겔화율은 290%에서 1120%로 증가하였고, PTMG의 유겔화율은 310%에서 1310%로 증가하였다.

  • PDF

Poly(L-lactide)분해 세균의 분리 및 활성 증진 (Isolation of a Poly (L-lactide) Degrading Bacterium and Improvement of its Degradation Capacity)

  • 김말남;박상태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60-266
    • /
    • 2007
  • PLLA분해활성을 가진 고온성세균을 우리나라 경작토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 Geobacillus caldoxylosilyticus로 동정되었으며,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PLLA분해세균으로 밝혀졌다. 조절화된 퇴비화조건에서 멸균퇴비에 분리균주를 접종하고 $58^{\circ}C$에서 40일간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균주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11000, 34000 및 256000인 PLLA5000, PLLA11000, PLLA34000 및 PLLA256000를 각각 66%, 57%, 41%및 40%생분해하였다. PLLA256000을 기질로 하여 gelatin, yeast extract 및 ammonium sulfate를 0.1%씩 첨가하여 분해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분해활성이 각각 27%, 13% 및 10%증진되었으며, 접종량을 $10^9cfu\;g^{-1}$로부터 $10^{10}cfu\;g^{-1}$$10^{11}cfu\;g^{-1}$로 증가시킴에 따라 PLLA256000의 생분해도는 각각 14% 및 20% 증가하였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Copolymers Containing Naphthalene

  • Kim, Jung-Sik;Heo, Jun;Kang, Peng-Tao;Kim, Jin-Hak;Jung, Sung-Ouk;Kwon, Soon-Ki;Kim, Un-Kyung;Kim, Yun-Hi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91-98
    • /
    • 2009
  • Conjugated PPV-derived block copolymers containing 2-ethylhexyloxynaphthalene unit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in this study. The resulting polymers were soluble in common organic solvents and showed good thermal stabilities,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s ($M_w$) of the copolymers ranged from 246,000 to 475,000 with PDIs of $1.3{\sim}2.1$.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se polymers, measured both in a chloroform solution and on a film, showed a maximum absorption at $405{\sim}476\;nm$ for Copolymers $I{\sim}VIII$. In the PL spectra, Copolymers $I{\sim}VIII$ showed maximum peaks at $510{\sim}566\;nm$. The HOMOs, LUMOs and band gaps of the PPV derivatives of Copolymers $I{\sim}VIII$ were $5.30{\sim}5.77$, $3.04{\sim}3.24$, and $2.5{\sim}2.2\;eV$, respectively, The multi-layered, light-emitting diodes of ITO/PEDOT/copolymers/LiF/Al exhibited turn-on voltages of $6{\sim}2.5\;V$ Copolymer VIII exhibited the maximum brightness of $3.657\;cd/m^2$. Particularly, Copolymer VII, with an identical composition of MEH-PPV and naphthalene-PPV, showed a maximum luminance efficiency and power efficiency of 2,63 cd/A and 1.06 lm/W,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