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rage fiber length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maternal dietary energy restriction on breast muscle fibre development in the offspring of broiler breeders

  • Wu, Hongzhi;Sun, Hao;Ma, Chengzhan;Lian, Lina;Lu, Lei;Xu, Liangmei;Xu, L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1호
    • /
    • pp.1829-1838
    • /
    • 2021
  • Objective: The effects of maternal dietary energy levels on breast muscle fibre development in offspring of broiler breeders were investigated. Methods: A total of 480 20-week-old Arbor Acres (AA) healthy female broiler breeder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2.33±0.01 kg,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treatment groups with 6 replicates and 20 broiler breeders for each replicate and fed a corn and soybean meal diet with 100%, 80%, 70%, and 50% energy levels, respectively. Approximately 300 eggs per treatment were collected for incubation for 6 days. Then, 120 0-day-old female broilers at each energy level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6 replicates with 20 broilers for each replicate, with this experimental phase with the offspring lasting for 49 days. Results: Compared with the 100% energy group, the breast muscle fibre diameter at embryonic day 21 in the 80% energy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In the 80% energy group, the muscle fibre density of the breast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t embryonic days 15 and 21. The breast muscle fibre diameter of the offspring in each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on the 1st day. The breast muscle sarcomere length of the embryos in the 80% energ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in the 70% and 50% energy groups. Compared with the 100% energy group, the expression of the myostatin gene in the offspr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a maternal dietary energy level of 80%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optimal for breast muscle fibre development in offspring, which indicated that the metabolic energy level of AA broilers of 9.36 MJ/kg for the mid-term diet for laying eggs has a more practical significance.

Mechanical behaviour between adjacent cracks in CFRP plate reinforced RC slabs

  • Yuan, Xin;Bai, Hongyu;Sun, Chen;Li, Qinqing;Song, Yanfe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4권3호
    • /
    • pp.375-391
    • /
    • 2022
  • This paper discussed and analyzed the interfacial stre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djacent cracks in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plate strengthened concrete slabs. One un-strengthened concrete test beam and four CFRP plate-strengthened concrete test beams were designed to carry out four-point flexural tests. The test data shows that the interfacial shear stress between the interface of CFRP plate and concrete can effectively reduce the crack shrinkage of the tensile concrete and reduces the width of crack. The maximum main crack flexural height in pure bending section of the strengthened specime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un-strengthened specimen, the CFRP plate improves the rigidity of specimens without brittle failure. The averag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the CFRP-strengthened specimens was increased by 64.3% compared to that without CFRP-strengthen. This indicites that CFRP enhancement measures can effectively improve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and delay the occurrence of debonding damage. Based on the derivation of mechanical analysis model, the calculation formula of interfacial shear stress between adjacent cracks is proposed. The distributions characteristics of interfacial shear stress between certain crack widths were given. In the intermediate cracking region of pure bending sections, the length of the interfacial softening near the mid-span cracking position gradually increases as the load increases. The CFRP-concrete interface debonding capacity with the larger adjacent crack spacing is lower than that with the smaller adjacent crack spacing. The theoretical calculation results of interfacial bonding shear stress between adjacent cracks have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interfacial debonding failure between adjacent cracks in the intermediate cracking region was mainly caused by the root of the main crack. The larger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cracks exists, the easier the interfacial debonding failure occurs.

Effects of Source of Supplemental Zinc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Plasma Mineral Profile in Cashmere Goats

  • Jia, Wenbin;Zhu, Xiaoping;Zhang, Wei;Cheng, Jianbo;Guo, Cuihua;Jia, Zhi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48-1653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urce of supplemental zinc (Zn)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plasma mineral profile in Cashmere goats during the cashmere fiber growing period. Twenty-seven Liao Ning Cashmere wether goats (9-10 month of age; initial BW = 19.31${\pm}$0.32 kg) were fed a basal diet (containing 22.3 mg Zn/kg DM) with no supplemental Zn (control) or 20 mg of supplemental Zn/kg of DM from Zn sulfate ($ZnSO_{4}$) or Zn methionine (ZnMet) for 60 days including a 10-day metabolism trial. Average daily gain (ADG) (p<0.05) and gain:feed (G/F) (p<0.05) were increased by Zn supplementation, but no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Zn sources (p>0.05). The length and diameter of cashmere fiber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p>0.05). Zn supplementation had no influence on digestibility of DM, CP, EE and NDF (p>0.05). However, ADF digestibility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ZnM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treatments (p<0.05). Plasma Zn was increased (p<0.05) and Cu tended to be decreased (p = 0.057) by Zn supplementation,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Zn sources (p>0.05).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KP) was improved by Zn supplementation (p<0.05) and was higher in the $ZnSO_{4}$ than the ZnMet group (p<0.05). Zn retention was increased (p<0.05) and apparent absorption rate was decreased (p<0.05) by Zn supplemen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20 mg Zn/kg DM either as $ZnSO_{4}$ or ZnMet in the basal diet containing 22.3 mg Zn/kg DM can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Cashmere goats, and effectiveness of the two sources is similar on performance measurements.

반추위내 인공섬유질 투여가 거세한우의 발육, 사료섭취량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uminally Inserted Artificial Fiber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조영무;박병기;권응기;이왕식;최창용;손삼규;홍성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25-230
    • /
    • 2009
  • 본 연구는 인공섬유질의 투여가 거세한우의 발육, 사료 섭취량 및 도체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체중 $368.3\pm20.3kg$의 거세한 우를 반추위내 인공섬유질 무투여구(대조구), 3개 투여구(T1) 및 5개 투여구(T2)의 3처리로 하여 각 처리당 12두씩 총 36두를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처리간 일당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의 차이는 없었다. 반추위 융모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인공섬유질 투여구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p>0.05), 통계적인 유의차이는 없었다. 융모의 길이는 인공섬유질 5개 투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길었다(p<0.05). 분 배설량은 인공섬유질 3개 투여로 인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처리간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색 및 지방색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거세한우에 대한 인공섬유질의 투여는 융모의 발달과 분 배설량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발육, 사료섭취량, 도체특성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스터드의 압축 좌굴 거동 (Behavior of Hybrid Stud under Compressive Load)

  • 이상섭;배규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통권72호
    • /
    • pp.609-619
    • /
    • 2004
  • 유럽을 중심으로 스틸스터드의 약점으로 지목 받고 있는 열교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스터드 개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마감재와 접촉 면적을 줄이는 방법, 웨브면에서 열전달 경로를 늘이는 방법,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스터드를 피복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교적 저층의 주거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국외의 경우 에너지 소비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본 연구의 경우 중층화를 대비하여 구조적 성능도 고려하여 아연도금강판(SGC58)과 FRP를 에폭시로 부착하여 150SL 형태의 복합스터드를 개발하였다. 복합스터드의 소재로는 두께 1.0mm과 1.2mm 강판과 두께 4mm(4ply), 6mm(6ply)의 FRP를 적용하였고, 4가지의 접합 상세에 대한 제작 및 실험을 통해 최종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인 2가지를 선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개발된 복합스터드의 압축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2가지 접합 상세에 대해 단면 높이인 150mm에 대해 3, 6, 9, 12배 길이에 대해 압축 실험을 계획하였고, 기존 스틸 스터드와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 형태의 비교 실험체도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복합스터드의 최대하중은 강판 두께 1.0mm인 경우 동일 두께의 스틸 스터드보다 평균 1.62배, 1.2mm인 경우 평균 1.46배 증가하였으며, 가력 종료 시점에 이르기까지 일체 거동을 보여 구조적으로 우수함이 입증되었다.

초기생육이 빠른 삼차망 청보리 신품종 '유한' ("Youhan", New Whole Crop Barley Cultivar of Hooded Spike and Fine Growth Ability in Spring)

  • 박태일;오영진;박형호;박종철;조상균;노재환;김대욱;송태화;채현석;정재현;홍기흥;배정숙;허재영;장윤우;김기종;박기훈;한옥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1-86
    • /
    • 2015
  • 청보리 신품종 '유한'은 삼차망으로 가축 기호성이 좋고 보리호위축병에 강하면서 탈립이 적은 양질 다수성 품종이다. '유한'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II이고. 엽색은 담녹색, 넓이는 중 정도이다. 초장은 107 cm로 장간이고, 경수는 $m^2$당 641개로 다얼성이다. 출수기는 전작에서 5월 2일로 대비품종인 '유연' 보다 1일 늦었으며, 답리작에서는 4월 28일로 2일 빨랐다. 황숙기는 전작에서 6월 4일, 답리작에서는 5월 31일로 '유연'과 같았다. 도복은 3 정도로 중강이고, 내한성은 '유연' 보다 강하였으며, 보리호위축병은 익산(III형), 나주(I형), 진주(IV)에서 모두 저항성을 보였다. 건물수량은 전작 1개소 및 답리작 5개소 평균 12.6톤/ha으로 '유연' 보다 6% 증수하였으며, 답리작에서는 12톤/ha로 5% 증수하였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 7.3%, ADF 26.8%, NDF 47.8%, TDN 67.7%로 '유연'과 비슷하였고, 사일리지 품질은 2등급으로 양호하였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 $-8^{\circ}C$ 이상으로 북부 산간내륙지방을 제외한 전국이다.

Festulolium braunii 교잡종의 재배특성, 사료가치 및 수량성 (Dry Matter Yields of the Hybrids Associated with Festulolium braunii)

  • 성병렬;김맹중;임근발;임용우;김기용;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1-96
    • /
    • 2006
  • 새로 도입되는 목초 Festulolium pratensis ${\times}$ Lolium muitiforum의 속간 교잡종인 Festulolium braunii의 내한성, 출수기, 사료가치 및 수량 등을 구명하여 우리나라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자, 2004년 9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수원 및 남원에 있는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시험포장에서 동시에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Festulolium braunii 교잡종 Fleurial, Boxer 및 Perun 등 3개 교잡종의 내한성은 수원과 남원에서 화산101호 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재배시 내한성의 문제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3개 교잡종의 평균 출수기는 남원에서 5월 25일, 수원에서 5월 27일로서, 화산101호 보다 $1{\sim}3$일 늦은 중만숙이었으며, 초장은 1차 수확기에 $91{\sim}96cm$, 2차에는 $93{\sim}87cm$로 비교적 긴 편이며, 도복도 강하였으며, 재생력도 우수하였다. ha당 청예 총 수량은 지역간, 교잡종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수원의 평균 수량은 83,222kg, 남원은 69,139kg으로 수원에서 수량성이 높았으며, 2개 지역의 평균 수량에서도 화산101호의 64,944.kg에 비하여 Perun 은 129%로 가장 많이 증수하였으며 Fleurial, Boxer도 $123{\sim}l17%$ 각각 증수 되었다. 그리고, 건물수량은 지역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교잡종간에는 화산101호의 10,589kg에 비하여 Perun, Fleurial 및 Boxer가 각각 16,941 kg, 16,519kg 및 15,826kg으로 $149{\sim}160%$까지 증수되었다. 3개 교잡종들의 조성분 및 사료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Perun 18.0%, Fleuria 17.4% 및 Boxer 16.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 함량은 다소 높으면서 조섬유 함량 역시 낮으나 회분 함량은 다소 높은 편이며 소화율도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연차간 변이가 있는지를 향후 구명되어져야 한다. 사료가치에서 ADF는 화산101호의 33.2%보다 더 낮은 $28.1{\sim}29.2%$이었으며, NDF는 화산101호의 58.3 보다 다소 적은 $51.3{\sim}54.5%$로 나타나므로써 이들 교잡종들의 사료품질 및 가치가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경북지역에서 파종시기가 춘파 귀리의 생육특성과 사료작물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 on Agronomic Traits and Forage Crop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in Gyeongbuk Area)

  • 박정현;최광원;정기웅;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57-364
    • /
    • 2016
  • 경북 지역에서 수요가 높은 사료작물 중 춘파 귀리(Avena sativa L., cv. High Speed)의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2년간 파종 시기별(2월 말일, 3월 10일, 20일)로 파종(130 kg/ha) 하였을 때 귀리의 생육 특성, 종자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출수기, 개화기 및 성숙기는, 매년 2월 말일 파종구와 3월 10일 파종구가 1~2일 차이로 거의 비슷하였다. 2월 말일 파종의 경우, 귀리의 초장이 타 파종구 대비 유의적으로 길었고 (p<0.05) 수장(穗長)은 2016년 최대 1cm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단위 면적($m^2$)당 수수(穗數)도 2015년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다($416.7ea/m^2$). 이상, 파종 시기별 춘파 귀리는 2월 말 파종이 초장, 간장, 수장 및 단위 면적($m^2$)당 수수 등에서 비교적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1수립수(穗粒數)는,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56.3 및 63.3개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1수립중(穗粒重)도,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1.72 및 2.00 g/spike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종실 수량의 경우, 2월 말일 파종구에서 3월 10, 20일 파종구 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두 해 평균 가장 높은 종자 생산성(6,243 kg/ha)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ADF, NDF 및 TDN 함량에서 파종기와 무관하게 귀리의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북 경주지역에서 춘파 귀리의 적절한 파종 시기는, 종자 생산성 면에서 2월 말일이 효과적이었다.

울산지역 유치원 어린이의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 의한 영양소섭취 실태 및 아연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s and Zinc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Ulsan)

  • 유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4호
    • /
    • pp.385-3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zinc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Ulsan. The study was conducted in 95 children aged 3 to 6 years by investigating the anthropometric indices and assessing the biochemical analysis. The blood was analysed to assess serum zinc and alkaline phosphatase. And a questionnaire for dietary intakes using 24-hr recall method were performed by mothers of 95 subjects. The dietary intakes of children were analys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inadequate and excessive intakes of zinc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WHL (Weight-Length Index) and Kaup index were used to define obesity. The overall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were 14.7% and 6.3% by WHL, were 15.8% and 13.7% by Kaup index. The mean intakes of zinc by children aged 3${\sim}$5y and 6y were 5.5 ${\pm}$ 1.4 mg/d (75.7% RDA) and 6.7 ${\pm}$ 2.0 mg/d, respectively, that was the level exceeding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and the recommended intake (RI) of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Less than 1.3% and 7.9% of children had usual zinc intakes below EAR and RI of KDRIs,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children with intakes exceeding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UL) were 2.6%. The zinc nutritional status by biological assay was found that mean serum zinc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of total subjects were 64.0 ${\pm}$ 8.4 ${\mu}$g/dl and 72.8 ${\pm}$ 14.9 U/L,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The range of serum zinc level was 45${\sim}$89 ${\mu}$g/dl and children with a low serum zinc concentration by several cut-off points were 18.9${\sim}$55.8%, especially. Serum zinc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intakes of calorie, calcium, fiber, iron, zinc, zinc/kg and height (p<0.001). Serum ALP was positively correlated height, weight and WLI. The zinc intake of children ai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weig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zinc status and growth of preschool children. Preschool children in Ulsan have dietary zinc intakes that exceed the new DRIs. The present level of intake does not seem to pose a health problem, but if zinc intakes with fortified foods and supplements were considered, the amount of zinc consumed by children may become excessive.

Flux 용융법에 의한 2차원 및 3 차원 구조의 티탄산칼륨 섬유의 합성 (Flux Melting Route to 2-and 3-dimensional Fibrous Potassium Titanates, K$_2Ti_{2n}O_{4n+1}$ (n = 2 and 3))

  • 최진호;한양수;송승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765-772
    • /
    • 1993
  • Flux인 $K_2MoO_4$와 섬유원료물질인 $K_2CO_3,\;TiO_2$를 혼합하고 1150$^{\circ}C$에서 용융시킨 다음 950$^{\circ}C$까지 서냉하여(서냉속도=5$^{\circ}C$/h) 층상구조를 갖는 사티탄산칼륨($K_2Ti_4O_9$)과 육티탄산칼륨($K_2Ti_6O_{13}$) 섬유를 합성하였다. Flux(F)와 출발원료물질(R)의 혼합비에 따른 최적 섬유성장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F:R을 변화시키면서 반응시킨 결과 섬유의 결정상 및 성장속도가 F:R의 비에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실험조건에서는 사티탄산칼륨과 육티탄산칼륨 모두 F:R=7:3 일 때 섬유의 성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F:R = 7:3이고, 출발조성이 $K_2O{\cdot}4TiO_2$인 경우 생성물은 $K_2Ti_4O_9$과 약간의 $K_2Ti_6O_{13}$의 혼합상이 얻어졌으며 평균 섬유 길이는 ${\thickapprox}$ 4 mm 정도의 비교적 장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K_2O{\cdot}6TiO_2$ 조성인 경우도 $K_2Ti_4O_9$의 혼합상이 형성되었고 섬유의 평균길이는 ${\thickapprox}$ 2 mm 정도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