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rage basin slop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오대천의 특성과 하안단구의 형성과정 (Properties of Channel and Evolutions of Fluvial Terraces in Odae River)

  • 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4-239
    • /
    • 2009
  • 본 연구는 오대천 상 하류의 하천 지형 특성을 분석하고, 오대천의 하천 및 하안단구 지형 형성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오대천은 상류 화강암 지역보다 하류 퇴적암 지역에서 풍화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상류보다 하류 유역분지에서 해발고도가 높고, 기복량은 크며, 경사도가 높게 나타난다. 또한 상류보다 하류에서 평균 하곡 폭이 1/3 정도로 좁고, 평균 하도 폭도 더 좁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OSL 연대 측정 결과 하안단구 1면의 형성시기는 최종 빙기 최성기인 MIS 2기말의 기온 상승기이며, 하안단구 2면은 최종 빙기 내의 아간빙기에 해당되는 MIS 3기 중반으로 측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안단구 2면 형성 이후 현재까지 오대천의 평균 하각률은 상류 화강암 지역에서 0.205m/ka 하류 퇴적암 지역에서 0.269m/ka로 계산되었다.

Abyssal Circulation Driven by a Periodic Impulsive Source in a Small Basin with Steep Bottom Slope with Implications to the East Sea

  • Seung, Young-H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287-296
    • /
    • 2012
  • In the theory of source-driven abyssal circulation, the forcing is usually assumed to be steady source (deep-water formation). In many cases, however, the deep-water formation occurs instantaneously and it is not clear whether the theory can be applied well in this case. An attempt is made to resolve this problem by using a simple reduced gravity model. The model basin has large depth change compared for its size, like the East Sea, such that isobaths nearly coincide with geostrophic contours. Deep-water is formed every year impulsively and flows into the model basin through the boundary. It is found that the circulation driven by the impulsive source is generally the same as that driven by a steady source except that the former has a seasonal fluctuation associated with unsteadiness of forcing. The magnitudes of both the annual average and seasonal fluctuations increase with the rate of deep-water formation. The problem can be approximated to that of linear diffusion of momentum with boundary flux, which well demonstrates the essential feature of abyssal circulation spun-up by periodic impulsive source. Although the model greatly idealizes the real situation, it suggests that abyssal circulation can be driven by a periodic impulsive source in the East Sea.

가산일대(架山一帶)의 삼림식생(森林植生) : 삼림환경형(森林環境型) 분류(分類) (Forest Vegetation of Mt. Kasan : A Habitat Type Classification)

  • 배관호;조현제;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162-172
    • /
    • 1990
  • 가산일대(架山一帶)에 대해 삼림환경형분류(森林環境型分類)(Habitat Type 분류(分類))를 적용(適用)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소나무/철쭉 삼림환경형(森林環境型)(PIDE/RHSC H.T.) : 산릉선부(山陵線部)와 사면상부(斜面上部)에 분포(分布)하는 지형적(地形的) 극성상(極盛相)이다. 하층(下層)에 철쭉꽃이 잘 나타난다. 2. 서어나무/실새풀 삼림환경형(森林環境型)(CALA/CAAR H.T.) : 계곡(溪谷)을 낀 사면하부(斜面下部)에 분포(分布)하며 사면상부(斜面上部)와 능선부(陵線部)의 소나무림과 접하고 있다. 하층(下層)에 실새풀이 잘 나타난다. 3. 신갈나무/산거울 삼림환경형(森林環境型)(QUMO/CAHU H.T.) : 산성외부(山城外部)의 사면(斜面)에 분포(分布)하며 해발(海拔) 600-790m에 이른다. 하층(下層)에 산거울이 잘 나타난다. 4. 신갈나무/실새풀 삼림환경형(森林環境型)(QUMO/CAAR H.T.) : 산성내부(山城內部)의 평정봉(平頂峰)에 분포(分布)하며 해발(海拔) 700-870m에 이른다. 하층(下層)에 실새풀이 많다. 5. 물푸레나무/물봉선 산림환경형(森林環境型)(FRRH/IMTE H.T.) : 계곡부(溪谷部)에 분포(分布)하며 하층(下層)에 물 물봉선이 잘 나타난다. 6. 층층나무/백당나무 삼림환경형(森林環境型)(COCO/VISA H.T.) : 계곡부(溪谷部)와 계곡(溪谷) 근원지(根源地)에 분포(分布)하며 해발(海拔) 780-830m에 이른다. 하층(下層)에 백당나무가 잘 나타난다.

  • PDF

NRCS-CN 방법을 이용한 유효우량 산정기법의 비교분석: 가중평균방법과 경사도 도입을 중심으로 (Comparing Calculation Techniques for Effective Rainfalls Using NRCS-CN Method: Focused on Introducing Weighted Average and Slope-based CN)

  • 문건우;유지영;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171-1180
    • /
    • 2014
  • 유역의 유효우량을 산정할 경우 NRCS-CN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NRCN-CN 방법에서 유역의 유출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인자인 유출곡선지수(CN)은 미국 유역을 대상으로 개발되어졌기 때문에,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적용될 경우 지역의 강우-유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에서 유역의 CN값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적절한 유효우량 산정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역의 CN값을 가중평균하는 방법과 유역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CN값을 보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관측 유효우량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경사도를 고려하여 CN값을 보정할 경우 유효우량이 전반적으로 크게 산정되었으며, 유효우량의 지속시간 또한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우량의 산정방법에 따른 통계학적 오차 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사도로 보정한 CN값을 적용한 가중평균 유효우량 산정방법이 관측 직접유출량과 높은 정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초기손실량과 GIS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최대잠재보유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NRCS-CN 방법에서 적용되고 있는 선형가정은 실제 강우-유출 관계와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극 브랜스필드 해협의 해저면 반사계수 특성 (Chartacteristics of Water-bottom Reflection Coefficients in Bransfield Strait, Antarctic Peninsula)

  • 진영근;홍종국;이덕기
    • 지구물리
    • /
    • 제2권4호
    • /
    • pp.241-250
    • /
    • 1999
  • 남극 브랜스필드 해협에서 획득한 탄성파 자료로부터 다중반사파와 해저면 반사파의 진폭비를 이용하여 해저면 반사계수를 구하였다. 시험 자료처리 결과에 의하면 측점에 따른 심한 변동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동평균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계산된 해저면 반사계수와 해저면 물성에 반영된 지질환경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중부 브랜스필드분지 지역에서는 퇴적물의 공급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반사계수가 감소하는 변화양상이 우세하여, 사면 근처에서는 0.12∼0.2 사이, 분지의 중심에서는 0.1∼0.12 사이의 반사계수를 나타낸다. 서부 브랜스필드분지에서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빙하침식 지형에서는 반사계수가 0.2∼0.3의 범위 내에서 변하였으며, 확장중심의 화산분출물이 노출된 지역은 0.2 이상의 큰 반사계수를 나타냈다. 또한 지체구조운동에 의해 상승작용을 받은 고지층들이 후기의 빙하침식작용에 의해 해저면에 드러난 지역에서는 해저면 반사계수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 PDF

상.하류의 기반암 차이에 따른 하천의 형태와 암석의 저항력 분석 (Analysis on Channel Morphology and Rock Resistance by Difference of Bedrock Types between Upper and Lower Reach)

  • 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7-40
    • /
    • 2007
  • 하천은 암석의 저항력, 구조 운동, 퇴적물, 유량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 중에서도, 암석의 침식 저항력에 초점을 두었다. 상 하류간 기반암의 차이가 뚜렷한 어룡천, 흥정천, 두학천, 대화천, 남천천, 구룡천의 6개 하천을 대상으로, GIS를 이용하여, 유역분지 상 하류의 평면 및 종단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화강암 유역은 완만한 경사, 낮은 요형도, 넓은 하곡 면적을 이루며, 편마암 유역은 급한 경사, 높은 요형도, 좁은 하곡 면적을 나타내며, 퇴적암 유역은 본류 경사도와 기복량은 크지만, 나머지는 하천별로 차이가 있다. 여러 가지 형태적 특성 중 상 하류 암석간의 차이가 분명한 본류의 경사, 본류의 요형도, 하계밀도, 하곡의 면적비, 유역의 평균 경사, 유역의 평균 기복을 대상으로, 그 값을 지수화하여, 상 하류 암석의 침식 저항력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하천의 상류는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높으며, 퇴적암은 상 하류에 관계없이 중간 정도의 저항력을 나타내고, 화강암은 퇴적암과 접한 상류의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침식 저항력이 낮다.

울릉분지와 동해 해산의 기원과 발달과정에 대한 해양지구물리학적 연구 (Marine Geophysical Constraints o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Ulleung Basin and the Seamounts in the East Sea)

  • 김진호;박수철;강무희;김경오;한현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6호
    • /
    • pp.643-656
    • /
    • 2005
  • 동해는 일본분지, 야마토 분지, 울릉분지 등 큰 3개의 해양분지와 크고 작은 고지대(topographic hihgs)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해(marginal sea) 또는 후배호 분지 (back-arc basin)로 분류되며 태평양판, 필리핀판 등이 주변해 위치하고 있다. 동해의 남서쪽에 위치한 울릉분지는 평균수심 약 1500 미터, 최대수심 약 2500 미터를 보이며, 2000 미터 등 심선을 따라 동해의 일본 분지와 연결되어 있다. 분지 내에서 해저면 경사는 대체적으로 서쪽이 크게 나타나며, 남쪽과 동쪽의 경사는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다. 지진계(OBS) 자료와 탄성파 자료 등에 의해 밝혀진 울릉분지의 지각 두께는 북쪽으로 그리고, 한국 연안 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이며, 퇴적물의 두께는 울릉분지 남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져 최대 약 12km에 이른다 울릉분지의 지각은 열개된 대륙지각(rifted continental crust), 신장된 대륙지각, 해저확장 초기단계에 형성된 해양지각 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 증거는 없다. 수심 및 중력자료에 의하면, 울릉분지의 축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또한, 후리에어-이상의 분포도 수심 자료와 유사하게 북서-남동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성을 보이고 있으며, 퇴적물의 두께 분포 역시 북서쪽에서 남동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반적으로 두꺼워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울릉분지가 상대적으로 절은 연령에 해당하는 지각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후리에어-이상 값이 $-40\~50mGal$ 정도의 낮은 특징을 보이는데 이것은 울릉분지를 구성하는 지각과 퇴적물의 밀도가 일본분지와 야마토 분지를 구성하는 물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나타났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으로 의사와 간호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데 일시적이고 일회적인 교육보다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이고 자동적으로 운영되는 체계가 필요하다.후 32.4$\pm$4.4, 32.1$\pm$4.5, 술 후 1일에 33.4$\pm$5.0, 31.7$\pm$5.1였다(repeated measures ANOVA, p < 0.05). 술 후 출혈량(mL)은 RAP군과 대조군에서 술 후 6시간에 357.2$\pm$ 177.1, 411.7 $\pm$ 279.5, 술 후 24시간에 599.4$\pm$145.6, 678.8 $\pm$256.4였다(t-test, p < 0.05). 동종 수혈은 RAP군에서 34명 중 7명에서(20.6$\%$), 대조군에서는 46명중 16명에서(34.8$\%$) 시행되어, RAP군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낮았다(Chi-square test, p < 0.05). 결론: 역행성 자가 충전법은 심폐바이패스의 충전에 의한 혈액희석을 최소화함으로서, 개심술 후 출혈과 동종수혈을 또한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타내지 않았다.성 교사, 가정 전공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석적, 해방적 행동목표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정교육 철학을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방적 행동체계 목표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실천 비판적인 가정 교과의 본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생활 영역의 교육과정에 기술적, 해석적,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들을 고루 포함하여야 하며 특히

하류 유량자료를 이용한 상류유역의 미계측 유출량 추정 (Estimation of Upstream Ungauged Watershed Streamflow using Downstream Discharge Data)

  • 정영훈;정충길;정성원;박종윤;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169-176
    • /
    • 2012
  • This study describes the estimation of upstream ungauged watershed streamflow using downstream discharge data. For downstream Dongchon (DC) and upstream Kumho (KH) water level stations in Kumho river basin ($2,087.9km^2$), three methods of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ing, drainage-area ratio method and regional regression equation were evaluated. The SWAT was calibrated at DC with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of 0.70 and validated at KH with $R^2$ of 0.60. The drainage-area ratio method showed $R^2$ of 0.93. For the regional regression, the watershed area, average slope, and stream length were used as variables. Using the derived equation at DC, the KH could estimate the flow with maximum 41.2 % error for the observed streamflow.

하천 지형인자의 확률론적 산정 방식 연구 (A Research on the Probabilistic Calculation Method of River Topographic Factors)

  • 추연문;마윤한;박상호;서종철;김윤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09-516
    • /
    • 2020
  • 1960년대 이후 경제발전을 위한 하천 개수사업, 도시화에 따른 소하천의 복개 등으로 많은 하천이 오염되고 파괴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측량된 하천 지형인자를 이용해 하천을 분석한 연구가 많았으나, 홍수 시와 같이 유량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에는 측량이 쉽지 않다. 또한, 이전까지의 연구는 주로 하천의 횡단면에 대한 연구가 많아 하천 종단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하여 하천 유역에 대한 평균 하천 경사, 하천 경사, 하천 종단고도를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였으며, 충청북도 지방하천 기본계획에서 얻은 달천 유역과 부산 온천천, 동천 기본계획에서 얻은 하천 특성인자 실측 자료와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엔트로피 이론에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해 매개변수를 산정한 후 하천별 종단고도 엔트로피식을 산정하였으며, 평균 하천 경사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식의 적용성을 R2로 분석한 결과, R2가 모두 0.96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하천 특성인자를 산정하는데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하천 수계의 유역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in Characteristics of Small Stream System)

  • 안상진;윤영남;강관원
    • 물과 미래
    • /
    • 제10권1호
    • /
    • pp.71-77
    • /
    • 1977
  • 한 유역의 하천형태학적 특성은 유역의 강수-유출 관계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의 양적 서술은 유역의 물리특성 구명에 필수적인 것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3대 지류중의 하나인 갑천수계에 대해 Horton-Strahler의 방법에 의해 형태학적 특성만을 고찰하였으며 대체로 Horton의 법칙에 따라 수계조직이 발달되어 있음이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주 내용은 Horton의 하천 차수와 하천수, 평균하천연장 및 경사간의 관계와 누가하천연장-유역면적관계, 상대고도-상대면적관계, 비례하천차수-배수면적관계 등으로서 이들 형태학적 특성변수와 유량간의 상관성은 갑천유역내에 유량측점이 전혀 없어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