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pilot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하천정비기본계획 CAD 형식 단면 측량자료 자동 추출 및 하천공간 데이터베이스 업로딩과 HEC-RAS 지원을 위한 RAUT 툴 개발 (RAUT: An end-to-end tool for automated parsing and uploading river cross-sectional survey in AutoCAD format to river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HEC-RAS operation)

  • 김경동;김동수;유호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2호
    • /
    • pp.1339-1348
    • /
    • 2021
  • 하천법에 의거하여 국내 하천들에는 상당한 국가예산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이 5-10년 주기로 수립되고 있으며, 홍수위 계산을 위한 HEC-RAS 모의에 필요한 하천단면 등 다양한 하천측량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측량자료들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에 pdf 보고서 형태로만 제공되고, 원자료는 CAD 형식으로 하천정비계획을 수행한 설계사 등이 분산 소유하고 있어 관리 부재로 망실의 우려도 있어, 다른 용도로의 활용성이 상당히 저하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측량된 CAD 형식의 단면자료 등을 HEC-RAS에 활용할 때, 'Dream'과 같은 툴을 활용하나 거의 수작업에 가까운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현실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툴인 RAUT(River information Auto Upload Tool)를 개발하였다. RAUT 툴은 첫째, 실무에서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활용되는 HEC-RAS 1차원 모형의 입력자료를 CAD 측량자료를 직접 수기로 입력 및 모의를 실시하는 복잡한 단계를 자동화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하천공간정보인 CAD측량 자료를 직접 읽어 표준 데이터 모델 (ArcRiver)기반 하천공간정보 DB에 자동 업로드하여 전국단위의 하천정비계획의 하천측량자료 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만약 RIMGIS가 RAUT와 같은 툴을 사용하면 하천단면과 같은 전국단위 하천측량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이다. 개발한 RAUT는 제주도 한천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하천공간정보 CAD자료를 읽어들여 mySQL기반 공간 DB로 구축하고, 구축된 DB로부터 HEC-RAS 1차원 모의 실시하기 위한 지형자료를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과정을 시범적으로 구현하였다.

당뇨발 궤양을 가진 환자에서의 창상치유인자에 대한 조사 (A Study on Wound Healing Factors in Diabetic Foot Ulcer Patients)

  • 구자혜;한승규;장현;이병일;김우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543-550
    • /
    • 2007
  • Purpose: Diabetic foot ulcer is a representative disease of chronic would with multiple defects of wound healing factors. Many nutrition factors have been known to be essential for wound healing, but objective data are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ose factors essential for wound healing, and to find out which of those factors are lacking in diabetic foot ulcer patients through this pilot study. Methods: We studied 100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from March 2005 to February 2006 for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s with a duration of more than 6 weeks. We checked serum levels of protein, albumin, vitamin A, C, E, iron, magnesium, zinc, copper and hemoglobin by drawing 23cc blood after 8 hours of fasting. Protein, albumin, iron, magnesium levels were measured by colorimetry; hemoglobin levels were measured by auto analysis. Vitamin level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pper and zinc levels were measur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They were compared with normal values. The patients were divided by transcutaneous oxygen pressure levels, age and sex to study the effects of these parameters. Results: 76% and 61% of patients had within-normal range serum protein and albumin levels, respectively. Among vitamins, only the level of vitamin C was low in 55% of the patients. Levels of vitamin A, E were normal or high in 93% and 100% of patients. As for trace elements, levels of iron and zinc were low in 63% and 60% of patients, but levels of magnesium and copper were usually normal or high. Levels of vitamin C, iron and zinc were lower in the low-transcutaneous oxygen pressure group. There were no definit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sex. Conclusion: Serum levels of Hb, vitamin C, iron, zinc were low in most diabetic foot ulcer patients. The deficit was very severe in the low-transcutaneous oxygen pressure group.

지역분석을 위한 웹 기반 통계GIS 연구 (A Study on the Statistical GIS for Regional Analysis)

  • 박기호;이양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39-261
    • /
    • 2001
  • 우리 나라 국가지정통계자료는 대부분 행정구역을 기초단위로 하는 지리/지역정보로서 계량적 지역분석기법을 통해서 그 가치가 더해진다. 본 연구는 지역분석을 위한 통계정보 및 통계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한 선도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사례로 하여 인구주택 총조사 및 사업체기초통계 원시자료 등을 재 집계하여 지역통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통계GIS의 핵심 지역분석모듈은 사회경제 자료분석에서 활용의 빈도가 높은 지역구조 및 격차 분석, 공간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 및 잔차분석, 공간적 자기상관분석 등으로 구성되었다. 시스템 설계는 지역통계 데이터베이스와 지역분석기법 모듈, 그리고 통계지고를 웹 환경에서 통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기반기술을 채택하여 이루어졌다. 지역분석을 위한 입출력 과정에서 대화형 통계지도가 사용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통계 GIS의 특징은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분석기능이 사용자와의 양방향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한 없이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분석변수의 자유로운 변형과 합성이 연산자 구문해석기를 통해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역분석 알고리즘의 구현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측면에서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자료를 잠정적으로 시스템에 통합하여 확장된 가상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에 대해 여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웹 기반 통계GIS 모델의 초기평가를 통해 각종 지역통해자료로부터 주문형 통계지도의 작성과 유통이 동시에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 PDF

Comparison of shaping ability of the Reciproc Blue and One Curve with or without glide path in simulated S-shaped root canals

  • Vincenzo Biasillo;Raffaella Castagnola;Mauro Colangeli;Claudia Panzetta;Irene Minciacchi;Gianluca Plotino;Simone Staffoli;Luca Marigo;Nicola Maria Grand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7권1호
    • /
    • pp.3.1-3.9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act of a glide-path on the shaping ability of 2 single-file instruments and to compare the centering ability, maintenance of original canal curvatures and area of instrumentation in simulated S-shaped root canal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simulated S-shaped root canals were used and were prepared with One Curve (group OC), One G and OC (group GOC), Reciproc Blue (group RB) and R-Pilot and RB (group PRB) and scanned before and after instrumentation. The images were analyzed using AutoCAD. After superimposing the samples, 4 levels (D1, D2, D3, and D4) and 2 angles (Δ1 and Δ2) were established to evaluate the centering ability and modification of the canal curvatures. Then, the area of instrumentation (ΔA) was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test for multiple comparisons (p < 0.05). Results: Regarding the centering ability in the apical part (D3, D4), the use of the glide-path yielded better results than the single-file groups. Among the groups at D4, OC showed the worst results (p < 0.05). The OC system removed less material (ΔA) than the RB system, and for Δ1, OC yielded a worse result than RB (p < 0.05). Conclusions: The glide-path improved the centering ability in the apical part of the simulated S-shaped canals. The RB system showed a better centering ability in the apical part and major respect of the canal curvatures compared with OC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