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ricular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5초

건강한 한우 송아지의 동맥과 정맥 혈액의 혈액가스, 전해질, 생화학 및 혈액학적 측정치 (Arterial and Venous Blood Gas, Electrolytes, Biochemical and Hematological Values in Healthy Korean Native Calves)

  • 이성환;옥승훈;권혁호;김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99-50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한우 송아지의 동맥과 정맥혈액의 혈액가스, 전해질, 생화학 및 혈액학적 측정치를 조사하는 것이다. 건강한 3주령 이내의 62두 송아지를 본 연구에 공시하였으며 동맥혈액은 귀(이)동맥에서, 정맥혈액은 경정맥에서 채취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현장에서 즉시 휴대용 혈액가스분석기(EPOC$^{(R)}$ blood analysis, Woodly Equipment Company Ltd, Lancashire, UK)를 이용하여 pH, $pO_2$, $pCO_2$, $cHCO_3{^-}$, BE, $cSO_2$, $Na^+$, $Ca^{2+}$, $Cl^-$, anion gap potassium (AgapK), Hct, cHgb, glucose, lactate 및 creatinine을 측정하였다. 한우 송아지의 동맥과 정맥의 혈액가스, 전해질, 생화학 및 혈액학적 측정치는 기존에 발표된 정상 송아지의 측정치와 유사한 범위 내에 있었으며 glucose와 lactate의 평균 농도는 성우의 농도보다 높았다. 3주령 이내 송아지의 각 주령별 측정치 사이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포도당 농도는 동맥과 정맥 혈액 사이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r = 0.927), creatinine (r = 0.925), lactate (r = 0.815), $Ca^{2+}$ (r = 0.806), Hct (r = 0.799), $Na^+$ (r = 0.790), cHgb (r = 0.786), base excess (r = 0.749), pH (r = 0.710), $HCO_3{^-}$ (r = 0.710), 및 $cTCO_2$ (0.663)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휴대용 혈액가스분석기로 목장현장에서 혈액을 검사하는 것은 빠른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이버섯 배지 오염 곰팡이균의 분리, 동정 및 생물학적 방제제 선발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etitive Fungi on Medium for Black Wood Ear Mushroom in Korea and In Vitro Selection of Potential Biocontrol Agents)

  • 김서연;조미주;안선민;박지윤;박지원;홍성국;김지우;차주훈;노유진;김다솜;전미진;지원재;박숙영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66-77
    • /
    • 2024
  • 목이버섯(A. auricula-judae)은 중국, 일본, 한국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버섯이다. 인공 배지에서 목이버섯을 재배할 경우 자연적으로 나무에서 키울 때보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그러나 배지 재배의 경우 빠르게 자라는 곰팡이에 감염할 경우 성장이 느린 목이버섯이 배지 경쟁에서 밀려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장흥과 순천에서 목이버섯 재배용 배지에 감염한 푸른곰팡이들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총 54개의 균주를 수집한 뒤 ITS 염기서열 분석 및 형태학적 동정을 수행하였다. 총 54개 균주 중 Trichoderma spp.가 92.6%, Penicillium spp.가 5.6%, Talaromyces sp.가 1.8%였다. 친환경 방제제를 선발하기 위해 우리는 6개의 Streptomyces spp. 균주를 선발하고 Benomyl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분리균주인 Trichoderma spp.와 Penicillium spp.에 대한 길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이 중 Streptomyces sp. 203-3이 Trichoderma spp.와 Penicillium spp.에 가장 높은 균사저지 효과를 보여, 목이버섯 배지에 감염하는 곰팡이에 대한 잠재적인 방제제로의 가능성을 보였다.

기무라씨 질환, 5 예 보고 (REPORT OF EXPERIENCE WITH KIMURA'S DISEASE)

  • 설대위;박윤규;이광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6
    • /
    • 1989
  • 기무라씨 질환은 특히 두경부 부위에 피하 종괴를 일으키는 만성염증성, 증식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최근 치험하였던 본 질환 5 예를 한국외과 문헌에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기무라씨 질환은 크게는 ALHE(Angiolymphoide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의 범주에 속한다. 본 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은 증식된 lymphoid follicles, eosinophilic infiltration 과 혈관의 증식성이다. 이 질환은 이하선, 악하선 및 상부 경부 부위등에 흔히 종괴를 일으키며 이들 종괴들은 피하조직 뿐만 아니라 타액선과 상부 경부 임파선에까지도 파고 든다. 저자들의 증례 중 한명에서는 서혜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새로이 증식된 혈관과 동상들 (Sinusoids) 로 인하여 혈관 분포가 매우 풍부하였다. 저자들 증례 5 명의 평균 연령은 35세이었지만 한명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38세 이하이었다. 남녀비는 3:2 이었으며 증상의 평균 기간은 5.2 년이었다. 전례에 있어서 말초 혈액 소견상 Eosinophilia 가 있었다. 전례에서 다발성 종괴들을 보였으며 가끔은 대칭적이기도 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치료 양상은 수술만 시행한 경우와 수술 및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시행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고 수술과 방사선조사 경우가 2례이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수술,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및 방사선조사의 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무라씨 질환과 ALHE 질환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으며 기무라씨 질환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