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rition rat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4초

고객 세분화에 기반한 생존분석을 활용한 고객수명 예측 모델 (Customer Lifetime Value Model Using Segment-Based Survival Analysis)

  • 전희주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6호
    • /
    • pp.687-696
    • /
    • 2011
  • 고객수명은 고객생애가치(CLV)와 함께 차별화된 마케팅전략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의 핵심수단으로 차별화된 고객관계관리(CRM) 마케팅의 매우 중요한 핵심요소이다. 그러나 보통기업에서 사용하는 고객수명은 어떤 특정시점에서의 고객에 한정하여 고객 개별적인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단순 이탈율만을 가지고 고객 수명을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현실적인 활용을 위해, 기업고객들의 중도절단자료를 가지고 고객 세분화에 기반한 생존분석을 활용한 고객수 명예측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활용을 위해 국내 A 이동통신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고객 세분화에 기반한 생존 분석을 이용한 고객수명 예측방법은, 첫째, 가입시점이 다른 모든고객 을반영하고 있고, 둘째, 고객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별 고객수명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셋째, 관측시점 이후의 수명을 예측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탈율 또는 해지율의 변동추이를 반영하게 되어 더욱 현실성을 반영하고 있다.

Enzymatic Hydrolysis of Crystalline Chitin in an Agitated Bead Reaction System and Its Reaction Characteristics

  • Lee, Yong-Hyun;Bae, Young-Ki;Jeong, Eui-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6호
    • /
    • pp.432-438
    • /
    • 1996
  • Native crystalline chitin was hydrolyzed in an agitated bead reaction system using crude chitinase excreted from Aspergillus fumigatus JC-19. The reaction was enhanced significantly, and the concentration and yield of reducing sugar after 48 hours were measured to be 35.42 g/I (w/v) and 0.64, respectively, around 1.86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system that was carried out without glass beads. The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such as the amounts of chitin, chitinase and glass beads, and the size of glass bead, were examined. Ball milled chitin was also hydrolyzed in the agitated bead reaction system, the conversion yield and reaction rate of ball milled chitin for 24 hours increased up to 0.87 and 48.02 g/I, respectively. Chitinase showed relatively high stability in the agitated bead reaction system, particularly in the presence of enzyme stabilizer, $Ca^{++}$, which played a critical role in preventing the deactivation of chitinase by the physical impact of glass beads. The variations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chitin during the reaction were followed by SEM and X-ray diffraction, and the enhanced hydrolysis reaction was caused by both the fragmentation of chitin particles and the destruction of the crystalline structure owing to the synergic effects of the attrition of glass beads and the hydrolytic action of chitinase.

  • PDF

Identifying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dherence to a community-bas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for weight loss among Chinese overweight and obese adults

  • Leung, Alice Wai Yi;Chan, Ruth Suk Mei;Sea, Mandy Man Mei;Woo, Je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5호
    • /
    • pp.415-424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Existing evidence on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s for weight loss is limited by the high attrition rate of such programs. Identifying predictors of adherence to a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could result in program improvemen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behavior-specific adherence and its psychological predicto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dherence after one-month participation in a community-bas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among Chinese overweight and obese adults in Hong Kong. SUBJECTS/METHODS: A total of 205 Chinese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ged $38.9{\pm}10.5years$ completed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at baseline and after one month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assessed knowledge (self-developed scale), motivation (Treatment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stage of change (Stage of Exercise Scale) and self-efficacy (Self-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Scale). At one month, a 4-day dietary recall and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hort Form were used to assess dietary and physical activity (PA) adherence. Food and PA diaries were examined to indicate self-monitoring. Program attendance was tracked between baseline and one-month follow-up. RESULTS: After one month, participants reported high dietary adherence, attendance, and adherence to self-monitoring but low PA adher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diet self-efficacy (baseline) and nutrition knowledge (one-month chang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dietary adherence score at one month, whereas autonomous PA motivation (baseline) and PA self-efficacy (both baseline and one-month chang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PA adherence score at one month. No significant psychological predictor was identified for attendance or self-monitoring.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adherence differs between diet and PA adherence outcomes. To promote adherence, practitioners should assess self-efficacy, knowledge, and motivation at the beginning of a weight-loss program and explore behavior-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knowledge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direct implications for program improvements.

물리치료 바이오피드백의 정의 및 범위와 활용법: 체계적 문헌고찰 (Definition, Scope, and Applications of Physiotherapy Biofeedback: Systematic Reviews )

  • 오종선;이경진;김성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9-119
    • /
    • 2023
  • PURPOSE: The definition and scope of biofeedback are broad and lack a clear framework.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the exact range and definition of biofeedback bas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onducted to dat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ive at the definition and scope of biofeedbac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its application methods. METHODS: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arious types and effects of biofeedback. International databases such as Google Scholar and PubMed were used. Domestic databases utilized for keyword searches included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Quality assessment of the selected studies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done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and the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intervention, control, and outcomes (PICO) format. RESULTS: Studies conducted between 2019 and 2021 were selected, with 4 papers falling under physiological classifications and 7 under biomechanical classifications. The quality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random sequence generation, allocation concealment, performance bias, and reporting bias were unclear. Detection bias was moderate, and attrition bias and other biases were low. Out of the 11 papers, 9 dealt with physical function outcomes, 5 with daily life activities, and 3 with mental functions. CONCLUSION: Physiological biofeedback tended to influence psychological factors more than physical functions, while biomechanical biofeedback tend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hysical functions.

한국 동남해안에서 다시마(Laminaria japonica Areschoug)의 성장, 성숙, 사망률 및 생산 (Growth, Reproduction, Mortality, and Production of Laminaria japonica Areschoug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강래선;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3호
    • /
    • pp.226-236
    • /
    • 1999
  • 대규모 다시마 양식장이 존재하는 동남해 일광 연안에서 다시마의 성장, 성숙, 사망 그리고 생산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실험실에서 배양한 어린 포자체를 수심 3 m에 양성하였고, 1995년 12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양성한 포자체는 이듬해 8월까지 모두 사망하였다. 엽폭, 엽두께, 그리고 습중량은 7월에 최대에 이르렀고, 모두 유사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반면 엽장은 5월에 가장 컸으나, 이후로는 감소하였다. 엽장과 중량의 평균치는 최대 199.8 cm와 333.0 g wet wt였다. 생장점에서 자라나는 조직의 총길이와 중량은 각각 384.0 cm와 393.6 g wet wt였다. 이 값을 토대로 계산한 길이와 중량의 절대성장률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였다. 길이와 중량의 절대성장률은 3월(3.6 $cm{\cdot}d^{-1}$)과 5월 (3.8 g wet $wt{\cdot}d^{-1}$)에 각각 최대에 이르렀다. 절대유실률은 2월부터 7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성장률과 유실률의 시간변화는 수온과 해수중의 질소농도와 상관이 있었다. 포자낭군을 지닌 성숙한 포자체는 4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성숙률은 7월에 최대에 이르렀다. 생존율은 시간경과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90% 이상의 개체들이 양성 후 56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2월 이후의 사망률은 엽장 30 cm 이하인 개체들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크기 종속적 특성을 보였다. 생물량은 7월에 최대(285.6 kg wet $wt{\cdot}m^{-2}$)에 이르렀고, 이 해역에서 다시마의 연간생산량은 758.7 kg wet $wt{\cdot}m^{-2}$였다.

  • PDF

상아질 형성 부전증 환자에서 CAD/CAM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CAD/CAM monolithic zirconia in dentinogenesis imperfecta: a case report)

  • 김민규;김성훈;이재봉;한중석;여인성;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17-323
    • /
    • 2014
  • 상아질 형성 부전증은 발병율이 1 : 6 - 8000정도인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 변색된 치아, 저 형성, 저 석회화된 법랑질과 상아질로 인해 잦은 파절이 발생하고 교모가 급속도로 진행된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잔존 치아를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제1형 상아질 형성 부전증을 가지고 있는 19세 남자로 갈색 빛의 치아와 곳곳에 파절된 법랑질, 약간의 수직 고경 상실, 상하 전치부치간 공간 존재, 구치부 5개의 치아 상실을 보이고 있었다. 전치부 심미성과 약간의 수직 고경 상실을 고려해 수직 고경을 증가시켰다. 인상 채득 과정에서 다수치아 인상의 어려운 점을 레진 캡을 이용하여 극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치아 변색을 가리고 강한 강도를 가지는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로 최종 수복하였다. 일련의 치료 과정을 통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환자를 위한 음악: 무작위 임상연구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Music for Pediatric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이진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3
    • /
    • 2013
  • 본 연구는 소아환자대상 최근의 음악치료 및 음악을 사용한 임상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3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 사이에 영어로 발표 된 무작위 임상 및 교차설계 연구들을 자료로 수집하였고, 최초 검색 되었던 1023개의 논문 중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영어문헌 15건을 선별하였다. 선별 결과 연구 대상자는 1개월에서 만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으로 11명에서 150명 까지 표본크기가 다양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는 987명으로 집계되었다. 선별된 연구들은 음악요법 및 음악치료 연구로 분류되어 전반적인 유형, 연구절차와 방법론, 임상접근법, 측정도구 및 연구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총 7건의 음악요법과 8건의 음악치료로 분류된 연구들은 7개영역의 종속변수를 36종류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음악의 임상적 사용에 있어 음악의 선택, 종류 및 임상접근방법에 큰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절차와 방법론의 분석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연구절차에 대한 기술이 충분치 않고 특히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배정순서 은폐(Allocation Concealment), 이중 또는 부분은폐(double or partial blinding) 및 참여자 감소율(Attrition Rate)과 같은 방법론적 표준에 미치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전반적인 연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긍정적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연구 방법론적 문제들과 임상접근법들의 이질성으로 인해 그 결과가 편향에 의해 오염되거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악이 소아 환자들의 신체 및 사회 심리적 필요를 다루는 도구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제안할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로서는 절차와 접근법이 보다 엄격하고 균일하여 추후 재현이 가능한 연구들이 다수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가정간호제도화 방안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Instituting Home Health Care in Korea)

  • 윤순녕;황나미;현혜진;최정명;권미경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5-18
    • /
    • 1995
  • While the socioeonomic status of Korea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chronic and geriatric diseases have also been on the rise, bringing about many changes in our health care system. The basic goals of the home health care are to reduce health care costs, to increase the attrition rate in general hospitals, and to care for patients effectively and conveniontly at ho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home health care in Korea throughout the reports, surveys, other informations and education system of home health nurse. We identified the various types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programs, such as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operated in public sector(demonstration project) and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in health centers or in private sector, that is, Korean Nurse Association. Hospital based home heatlh care model wa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in-patiet services. Quality assurance and cli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measure of care received and establishment of payment and reimbursement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is important in promotng the home health care. We found out a fee-per-visit system composed of three kinds of fees : a basic service fee(16,000 Won), a travel fee(5,000 Won), and per-service fees (variables). Like fees paid for in-patient care, insureds pay 20% and insurers pay 80% of the basic and per-service fee. The travel fee is borne totally by the insured. Home health care continues to be viewed as not only the most preferred way to provide care to clients, but also the most cost effective. Home health care is that component of a continuum of comprehensive health care whereby health services are provided to individuals and families in their places of residence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maintaining, or restoring health, or of maximizing the level of independence, while minimizing illness. Services appropriate to the needs of the individual patient and family should be planned and provided, nursing is to be a force for positive change and enhance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Whatever type of involvement of home health care, it is essential to remember that home health care is highly service-oriented and highly touch health car deilvery system.

  • PDF

이갈이의 진단 및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uxism)

  • 권정승;정다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87-101
    • /
    • 2012
  • 이갈이는 이를 갈거나 악무는 것을 포함하는 부기능적인 행위를 말하며 광범위하게는 주간 및 야간에 나타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갈이의 원인으로는 기본적으로 말초성 요인과 중추성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중추성 요인이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갈이는 교모, 치경부 미세파절, 교근 비대, 교근 및 측두근의 통증, 턱관절의 통증 및 움직임의 제한, 치아 및 수복물 파절, 치수염, 외상성 교합 등을 유발 할 수 있고 특히 이악물기의 경우 협점막 압흔이나 협점막 백선 또는, 혀의 측면에 압흔 등을 유발한다. 이갈이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강내 장치, 근전도, 수면다원검사 등을 이용하며 미국수면장애학회의 경우 이갈이의 임상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갈이의 명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치료법의 선택은 신중하여야 한다. 이갈이가 중등도 이상이고 임상 증상이나 징후를 유발하는 경우에 이갈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위험 요인의 조절, 구강내 장치, 보툴리눔 독소 주사, 약물 치료, 바이오피드백 등이 있으며 구강내 장치 요법이 현재로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이갈이 치료와 교근비대에 대한 심미적인 개선을 같이 원하는 환자에서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이 이용될 수 있다.

관상동맥우회술 후 1년 및 5년 추적 관상동맥조영술을 이용한 문합부위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 Follow-Up of the Anastomotic Sites Using One-year and Five-year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조광리;김준성;최재성;채인호;오병희;이명묵;박영배;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191-196
    • /
    • 2005
  •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에서 수술 후 1년 및 5년째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문합 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 사이에 관상동맥우회술만을 시행한 219예 중 수술 후 1년 및 5년째 추적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한 149예($75.3\%$) 및 115예($58.1\%$)를 대상으로 문합 부위의 변화 및 개존율을 FitzGibbon 등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동맥도관을 이용한 문합은 수술 후 1년 및 5년 개존율은 각각 $96.5\%$ (192/199), $93.1\%$ (134/144)로 복재정맥도관의 개존율 $82.9\%$ (224/270), $77.5\%$ (141/18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동맥도관 및 복재정맥도관 각각의 개존율은 수술 후 1년 및 5년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복재정맥도관의 경우에서는 FitzGibbon 등급 B의 비율이 1년째의 $5.2\%$에서 5년째에 $8.2\%$로 증가하여 정맥도관질환의 더 빠른 진행을 시사하였다(p<0.01).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동맥도관의 개존율은 수술 후 1년 및 5년째에 모두 복재정맥의 개존율보다 우수하였다. 복재정맥도관은 동맥도관에 비해 협착 진행의 비율이 수술 후 1년에서 5년 사이에 유의하게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