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herogenesi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18초

사람의 과지혈증과 동맥경화 및 흰쥐 지방간에 미치는 인삼의 장기복용 효과 연구 (LONG TERM GINSENG EFFECTS ON HYPERLIPIDEMIA IN MAN WITH FURTHER STUDY OF ITS ACTIONS ON ATHEROGENESIS AND FATTY LIVER IN RATS)

  • Yamamoto Masahiro;Kumagai Akira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19
    • /
    • 1984
  • 제 3 차 인삼심포지움에서 저자는 홍삼분말의 투여로 혈청의 HDL-콜레스테롤이 증가되며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이 감소하며, 특히 혈소판 응집현상이 감소되어 인삼이 항동맥경화능을 갖는다고 발표하였다. 이후에 본인을 포함한 토야마대학 연구팀은 진세노사이드 특히 $Rb_{2}$가 HDL 콜레스테롤 양을 증진시키며 LDL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마쓰야마 연구진과 킨키대학 연구팀은 진세노사이드 $Rg_{1},\;Rb_{2}$등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시킨다고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 즉 실험동물 연구와 임상연구로 나뉘어져 있다. 실험동물연구 고함량의 콜레스테롤-콜린산을 함유한 사료로 사육한 흰쥐를 실험 동물로 사용하여, 인삼추출물과 몇 가지 진세노사이드 등이 혈청 아포단백질, 지방 단백질 및 프로스타글란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2{\%}$ 콜레스테롤, $1{\%}$ 콜린산을 함유한 사료로 사육한 흰쥐에게 매일 체중 1009당 2.5mg의 인삼추출물 또는 진세노사이드를 9일간 투여하였다. 홍삼추출물, 진세노사이드 $Rb_{2}$, RC, $Rb_{1}$, 그리고 $Rg_{1}$ 특히 $Rb_{2}$는 HDL 콜레스테롤, aPo-AI, AII 그리고 $PGI_{2}$의 양을 증가시켰으나, LDL, apo-B, $TXA_{2}$의 양은 감소시켰다. - 임상연구 - 홍삼분말이 과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대한민국 전매청에서 생산된 홍삼분말을 Japan-Ko-rea Korean Ginseng Co. 코베에서 공급받아 1일 2.7g의 용량으로 과지혈증 환자에게 4년까지 장기투여하였다. 홍삼을 $3{\~}48$개월 투여하게 되면 HDL 콜레스테롤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양, 동맥경화지표,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과산화지방은 현 저히 감소하였다.- 결론 - 홍삼과 진세노사이드는 사람과 흰쥐에 있어 과지혈증을 호전시켰다. 실험적으로 과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서, 혈중 아포단백질, 지방단백질 및 프로스타글란딘 상호성을 개선시켰다.

  • PDF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해 고지혈증이 유도된 흰쥐에서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항고지혈증과 항비만 효과 (Anti-hyper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Sparassis latifolia fruiting bodies in high-fat and cholesterol-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 임경환;백승아;최재혁;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2
    • /
    • 2021
  • 꽃송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생후 6주령의 흰쥐에 정상 식이를 급여한 군(ND), 정상 식이에 20%의 돈지(Lard)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L), HFD 식이에 simvastatin을 0.3%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S) 등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간 체중의 증가율은 HFD+SL군과 HFD+SS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ND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을 첨가하여 급여한 HFD+SL군의 비만이 억제되었다. ND군의 식이섭취량은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HFD+SL군과 HFD+SS군에 비해서는 고도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및 중성지방(TG)의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와 LDL-C/HDL-C 비율도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급여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 간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으나 혈당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HFD+SS군 모두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간 기능 손상의 척도를 나타내는 AST와 ALT 효소의 활성은 모든 실험군 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ALP 효소의 농도는 HFD에 비해 ND군와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식이의 급여가 흰쥐의 ALP 농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 5주와 6주 사이에 배출된 분변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HFD+SL군이 배출한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이 HFD군과 HFD+SS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HFD식이에 함유된 일부의 지질과 콜레스테롤이 꽃송이버섯에 의해 장내로 흡수되지 않고 분변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실험군의 간 조직을 적출하여 oil red O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HFD군에서는 심한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나 HFD+SS군은 ND군과 같이 지방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HFD+SL군의 간 조직에서는 소량의 지방 방울이 관찰되어 꽃송이버섯의 자실체에는 비알코올성지방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자실체는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체중증가, 혈청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농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에 효과가 있어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