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heis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블로흐와 몰트만: 무엇을 위한 희망인가? (Ernst Bloch and Jürgen Moltmann: The Hope for What?)

  • 김진
    • 철학연구
    • /
    • 제145권
    • /
    • pp.217-244
    • /
    • 2018
  • 이 논문은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철학을 몰트만 교수가 어떻게 수용하고 변형하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상반된 세계관을 전제하고 있는 두 사상가가 제시하는 희망의 지향점은 무엇인가? 이 물음은 현대 종교철학에서 다양한 종교유형들 사이의 대화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에른스트 블로흐는 마르크스주의와 페르시아 이원론으로 유대-기독교 사상을 독창적으로 해석한 철학자로서, 기독교 안의 무신론을 발굴하고 희망철학으로 발전시킴으로써 기독교 종말론 사상의 내재적 비판을 수행하는데 일조하였다. 블로흐와 몰트만은 종말론적 지평에서 미래, 인간, 나라, 희망을 말하지만, 그들이 서있는 세계관적 지평은 너무나 다르다. 그들은 물질과 하느님, 처음(시작)과 끝(마지막)의 연관성, 즉 단절 혹은 연속, 실존 원핵과 부활, 메시아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무신론과 유신론, 페르시아 이신론과 유대-기독교적 유일신론 등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몰트만은 유대인 사상가 블로흐의 메시아주의는 받아들이고 마르크스주의는 배제하였다. 몰트만은 아직-아닌-존재의 존재론에서 물질이 가진 유토피아적 가능성을 하느님의 창조와 출애굽의 하느님과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으로 대체하였다. 또한 블로흐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기독교 안의 무신론이 차지하는 위상을 삼위일체 유일신론으로 대체함으로써, 구약과 신약 사이의 단절과 갈등, 특히 야훼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 사이에서 오는 긴장을 묵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청소년의 아버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배경변인 연구 (Study for the Father's Environment Variables and Father Image)

  • 최명선;조선화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9-2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how adolescent recognize their father according to the fa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r 400 students in Seoul on the basis of two measuring tools that were adolescent's father image criterion developed from Seon hwa Cho, Myung seon Choi(2004) and semantic analysis criterion from Osgood(l957). Father image were inclined to friend when their father was younger. Adolescent were recognizing their father as a friend, advisor, and able man when their father had high level profession. On the other hand they felt father as a difficult being to make intimate relationship when their father had management occupations. Christian and Buddhist fathers were recognized as a advisor. Catholic and Christian father were showing less tired aspect rather than Buddhist and atheism father. Catholic and Buddhist fathers were recognized more active person. Adolescent were recognized their father as a friend, advisor, and able man when their father were high educated person.

  • PDF

암환자의 영성 개념 분석 - 기독교, 불교, 무종교 중심으로 -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in Cancer Patients - focusing on Christianity, Buddhism, Atheism and Agnosticism -)

  • 이미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1-562
    • /
    • 2003
  • Purpose: All nurses should provide spiritual care for their clients.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care spiritually for cancer patients facing the crisis of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spirituality which is one of the basic concepts for spiritual care in cancer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cancer patients; 2 Christians,3 Buddhists, and 3 persons who did not have any religion.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Hybrid Model.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Dimensions of spirituality(vertical dimension connected with the absolute being, horizontal dimension related to others, existential dimension related to seeking of meaning), attributes of spirituality(dynamic process strengthened in suffering due to struggle with cancer, connectedness with the absolute being or will and belief in oneself, transcendence of reality, meaning and purpose of life, future oriented), outcomes of spirituality(intrinsic, behavioral). Conclusion: The spirituality of cancer patients is manifested differently by his(her) religion, age, past experiences and burden of family, and is able to be strengthened with cancer. Therefore, nurses should recognize that diagnosis and deterioration of cancer is not only a spiritual crisis but can be a good chance for spiritual growth, as well.

  • PDF

초기 들뢰즈 철학에 관한 연구 (An inquiry concerning early philosophy of G. Deleuze)

  • 진기행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409-440
    • /
    • 2012
  • 철학연구를 시작하던 초기에 질 들뢰즈 G. Deleuze가 수많은 앞선 철학자들, 즉 흄 D. Hume, 루크레티우스 Lucretius, 칸트 I. Kant, 스피노자 B. Spinoza, 니체 F. W. Nietzsche, 베르그송 H. Bergson등에 대한 전기적(傳記的)인 연구로부터 시작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은 들뢰즈 사상의 전체를 지탱하는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초기에 그가 행한 전기적인 저작들 전체가 스피노자와 니체라고 하는 두 명의 철학자의 <동일성 identity>으로 수렴되는 테마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으며, 그것은 적어도 당시의 그에게는 이들 두 명의 철학자가 그토록 커다란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하나는 차이 difference의 철학자로 간주되는 들뢰즈가 어째서 동일성을 말하는가 하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과연 이들 두 명의 철학자 간에 어떤 동일성이 있다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오히려 상식적으로는 신을 그 체계의 중심에 놓고 있는 스피노자의 철학에 대해서 '신은 죽었다'라고 하는 니체의 철학이 정면으로 대비되는 것은 아닌가. 니체도 처음에는 스피노자에게 대단한 공감을 표시하기는 했지만, 곧바로 스피노자에 대하여 심각한 비판을 가했다. 그리고 이 비판의 중심에는 신의 존재와 부재를 둘러싼 대립이 놓여 있다. 하지만 스피노자의 철학이 무신론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것도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왔다. 들뢰즈도 또한 스피노자를 무신론자라고 부르고 있으며, 스피노자가 '힘'power 개념에 착안한 점에 근거하여, 스피노자를 니체와 비교하여 해석하고 있다. 반면에 들뢰즈는 니체를 스피노자와 비교하여 다시 해석하기도 한다. 그때에는 니체의 '힘'에의 의지를, 스피노자의 '힘' 개념과의 공통성에 근거하여, 완전히 들뢰즈 자신만의 독자적인 착상으로 변형시켜 해석한다. 이처럼 '힘' 개념을 매개로 스피노자와 니체 사이에서 진행된 쌍방향적인 사고의 운동이 들뢰즈에게 두 명의 철학자의 동일성을 말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들뢰즈에 있어서 이 쌍방향적인 사고의 운동을 고찰함으로써, 그가 말하는 두 철학자의 동일성의 기반을 밝힘과 동시에 이러한 운동의 결과로서 차이의 철학자 들뢰즈에 의해 언급되는 이 동일성이 어떠한 것인지를 규명해 보려고 한다. 또한 이 동일성의 성립 과정에서 두 철학자 사이에 놓인 신의 존재와 부재의 대립이 들뢰즈에 의하여 전혀 다른 모습으로 새롭게 조명되는 점도 살펴보려고 한다.

한국문화에 따른 간호정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I -전통적인 인간관과 환자역할기대를 중심으로-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 박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82-798
    • /
    • 1996
  • This study was a survey done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and to identify the traditional Korean view of human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sick role, and to confirm changes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nd expectations of the sick rol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The subjects were all adults over 18 years old. 517 who lived in six large cities and 191 who lived in five rural communitie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November 19th, 1994 to January 19th, 1995 using a tool to measure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nd expectations of the sick role which wa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 Cronbach alpha, 1-test, F-test and Scheffe post hoc contrasts, with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 score for all subject was 49.92, which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view of human is moderate. High scored items were "human need to live by making harmony with nature, not by overcoming the nature" (3.44), "Filial duty to parents and elders is important" (3.31), "Think of family more than a individual" (2.96). 2. The differences in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between residential districts showed that the residents of Chungbuk(56.00), Kyungbuk(55.26), Chonbuk(51.32), Taegu(50.59) had a more traditional view of humans than those in Pusan(45.42) and Seoul (47.27). 3. The differences in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rural community residents, males, older people, people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married and house-resident groups had a significantly higher traditional view of humans than urban residents, females, younger people, people with a higher levels of education, single and apartment-resident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and job. Buddhism had a higher traditional view of humans than those of atheism, Christianity and Catholicism and physical workers, a significantly highers score, than technicians and professional workers. 4. Daily expected task performance during illnesses was lowest for patients with stroke (2.16) and psychosis(2.40), in which case almost no daily general tasks were expected, followed by arthritis 4.06, peptic ulcer 4.79, headache 4.99 and cough 5.58. The amount of expected role exemption during illnesses was also highest for stroke(2.25), followed by psychosis(2.08), arthritis(1.64), peptic ulcer(1.29), headache(1.16) and cough(1.09). The amount of daily task performance in the acute stage(3.05)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valescent stage(4.95). 5. Total expectation of role exemp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rban /rural community, marriage, level of education and religion. By sex, women showed higher expectation of role exemption during illnesses than men. By age, the 31-40 year old group showed lower expectation of role exemption than the 41-50 year old group or over the 61 year old group.or over the 61 year old group.

  • PDF

묵자의 「천지(天志)」, 「명귀(明鬼)」 및 「비명(非命)」 편 분석을 통한 천인(天人)관계 고찰 (Consideration about 'Heaven and Man' from review and analysis of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of Mozi)

  • 황성규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165-190
    • /
    • 2017
  • 이 글은 묵자가 기술한 "천지(天志)", "명귀(明鬼)" 그리고 "비명(非命)" 세 편에 내재된 주안점이나 의의를 고찰함으로써 묵자의 '천(天)'과 '인(人)'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천지"와 "명귀"는 '천'이 지닌 권위를 바탕으로 묵가 학설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진된 것이며, 묵자의 유신론적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비명"편은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인식 방법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묵자의 무신론적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글이 보기에, "천지"편은 통치자나 일반 백성이 어떤 점에 입각해서 통치하며 생활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원리적 성격의 행위 준칙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에 부응하거나 위배되었을 때 직접 나서서 상을 주거나 응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가 바로 귀신이다. 따라서 인간은 '하늘의 뜻'에 입각하여 현실 사회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에 의해 나의 명(命)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나의 명이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노력을 하는 인간에 대해 하늘이 도움을 준다는 것이 "비명"편의 주된 논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천지", "명귀"와 "비명"은 모순되는 것이 아니며, 유신에서 무신으로의 전회도 아닌 것이다. 묵자는 하늘과 귀신이 하는 일과 인간이 해야 할 일을 명확히 구분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천지", "명귀" 그리고 "비명"에서 명확히 표출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현대 한국의 안티 종교운동 (Anti-religious Movements in Contemporary Korea)

  • 강돈구
    • 대순사상논총
    • /
    • 제29집
    • /
    • pp.241-278
    • /
    • 2017
  • 이 논문은 한국 종교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의 대대적인 표출 현상(안티 종교운동)을 정리하고 유형화한 뒤 그 의미를 분석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의 범세계적인 종교변동부터 살폈다. 세계종교는 지구촌 의식 출현에 영향을 받아왔다. 그 결과 그들은 과거와의 연속성을 유지한 채 여러 종교의 공통 기반 위에서 보편성을 획득하려하고 있다. 그러한 모습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려들거나, 전통을 재창조하려하거나 혹은 현대에 맞게 변용시키거나, 혁신적으로 변화를 추구하거나, 민족주의와 결탁하거나 하는 여러 유형으로 중첩되어 나타나곤 한다. 세계종교에서 살필 수 있는 이러한 변동들이 한국 사회에서는 어떻게 관찰되는가? 대체로 현 시대의 한국 종교상황은 개신교에 대한 비판이나 혁신 요구, 소수종교에 대한 공격, 학계와 언론의 종교 개혁요구, 종교무용론 전파, 유튜브 등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종교 비판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종교 비판은 안티 종교운동으로 읽혀진다. 종교 외적으로는 서구 학자들이 제기하고 있는 종교무용론이나 과학 또는 역사적 관점에서의 종교 비판 이론이 서점을 중심으로 전파되고 있으며, 종교 내적으로는 개신교를 중심으로 자신의 내부를 반성하고 새로운 초종교적 영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과거에도 물론 종교 일반과 특정 종교에 대한 비판은 제기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티 종교운동은 그 내용과 맥락에서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개신교에 대한 적극적이고 전반적인 비판 운동은 분명 새로운 현상임에 틀림없다. 적어도 개신교가 주요 대상이기는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티 종교운동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종교변동을 살필 수 있는 주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