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technology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5초

4가지 선회보조 장치가 운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 장애 유무와 운전면허 유무에 따른 비교 (Influence of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on Driving Performance: Comparison of Normal and Disabled People with and without Driver's License)

  • 송정헌;김용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4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of Healthy and disabled groups (with or without driver's license) to control steering wheel by using steering assistive devices in the driving simulator. The persons with partial loss of use of all four limbs have problems in operation of the motor vehicle because of functional loss to operate steering wheel. Therefore, if steering assistive devices for grasping the steering wheel are used to control the vehicle on the road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isabled persons can improve mobility in their community life by driving a motor vehicle safely. Ten healthy subjects (with or w/o driver's license) and ten subjec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or w/o driver's license)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to operate steering wheel by using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Single-pin, V-grip, Palm-grip, Tri-pin) in driving simulator. STISim Drive 3 software was used to test the steering performance in four scenarios: straight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curved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This study used two-way ANOVA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factors (type of steering assistive device and subject group) in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driving performance (the lateral position of vehicle,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representing the variation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line crossing). The mean values of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lateral position,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the number of line crossing) of steering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maller for the healthy or disabled groups with driver's license than the other groups without driver's license on the curved road at high speed of vehicle compared to low speed of vehicle.

장애인을 위한 데이지 도서 기반 독서보조기기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eveloping Daisy Book Based Reading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임순범;박주현;이종우;육주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5
    • /
    • 2017
  • 본 연구는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과 효과를 추정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수 기능만을 탑재한 저가의 데이지플레이어기기의 경우 하드웨어/시제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은 총 \307,101,664원으로 추정 되며, 생산비는 대당 \112,000원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데이지뷰어소프트웨어 및 입출력 보조기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비용은 총 \284,294,080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입출력보조기기는 대당 \6,600원에 구매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적 파급 효과를 파악하여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이 장애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사업의 추진여부에 대한 검토의 근거 자료로 향후 사업 진행 시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를 위해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국립재활원 외골격 로봇(NREX)의 손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Robotic Hand Module of NRC Exoskeleton Robot (NREX))

  • 송준용;송원경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62-170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hand module of NREX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Robotic Exoskeleton) designed to assist individuals with sustained neurological impairments such as stroke and spinal cord injuries. To construct a simple and lightweight hand module, the robotic hand adopts a mechanism driven by a motor and moved by two four-bar linkages. The motor facilitates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s of the thumb and the other four fingers simultaneously. Thus, an individual using the robotic hand module can effectively grip and release objects related to daily life activities. The robotic hand module has been designed to cover the range of motion with respect to its link distance. This hand module can be used in therapeutic rehabilitation as well as for daily life assistance. In addition, this hand module can either be mounted on an NREX or used as a standalone module.

컴퓨터 비전 기반 시각 장애 지원 모바일 응용 (A Computer Vision-based Assistive Mobile Appli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 ;;;변영철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2호
    • /
    • pp.2138-2144
    • /
    • 2016
  •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suffer environmentally, socially, and technologically. Navigating through places and recognizing objects are already a big challenge for them who require assistanc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ndroid-based assistive appli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create a system that could aid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performs significant tasks through object recognition and identifying locations through GPS and Google Map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used an android phone allowing a visually impaired individual to go from one place to another with the aid of the application. Google Maps is integrated to utilize GPS in identifying locations and giving distance directions and the system has a cloud server used for storing pinned locations. Furthermore, Haar-like features were used in object recognition.

지적 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 활용 연구 분석 :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Analysis About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 for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Centered Single Subject Design)

  • 박은영;김은주;김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4-214
    • /
    • 2010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의 활용에 대한 국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지적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의 활용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관련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특성, 연구방법의 내용,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실험환경은 분리된 환경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중다간헐 설계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연구 방법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선정기준에 대해서는 모든 논문에서 언급하였으나 대상자와 관련한 내용을 기술한 논문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기초선 측정시의 행동통제방법과 외부변수 통제방법에 대한 기술의 빈도가 낮았다; 셋째,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논문에서 독립변수를 측정하고 중재충실도를 제시하고 있으나 사회적 타당도를 제시한 논문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직업재활 분야에서 보조공학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직업재활에 있어 보조공학의 활용이 근거기반의 실제라는 것에 대한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내용이나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일본의 보조기구 서비스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장해자자립지원법(障害者自立支援法)에 따른 보조기구 서비스 운영 체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peration System in Japan)

  • 조흥식;김진우;김용득;서동명;고미선;김준영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27-51
    • /
    • 2013
  • 본 연구는 일본의 장해자자립지원법 제정 이후 변화된 장애인복지서비스제도 중 보조기구 서비스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보조기구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및 현장방문조사를 실시하여 장해자자립지원법 제정 이후 장애인복지서비스 및 보조기구서비스 제도에 있어서의 변화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립지원제도의 도입으로 장애인복지서비스에 투입되는 재정과 서비스 이용자의 확대가 이루어졌으며,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전 장애인을 포괄하는 일원화된 서비스 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조기구 서비스에 있어서도 기존의 조치제도 및 지원비 제도와는 달리 급여의 제공방식에 있어서 이용자 선택권과 소비자와 제공자의 대등한 관계를 보장하면서 지속가능한 서비스 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보조기구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의 전반적인 과정에 이용자의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하고 계약관계를 통한 권익옹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협업을 담보하는 전달체계 구축마련이 필요하다는 것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Conversation Assistive Technology for Maintaining Cognitive Health

  • Otake-Matsuura, Mihoko
    • 노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sup1호
    • /
    • pp.154-159
    • /
    • 2018
  • Purpose: There is a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nurtures human intelligence as the prevalence of dementia and collapse of intelligence of human beings has become a social problem.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rvention technologies for maintaining cognitive health of older adults. Methods: The method named the Coimagination Method (CM) was proposed and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achieve goal. Conversation assistiv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tested based on the method. Results: The state of the art of the group conversation support system, and regular series of group conversation sessions for full-years with insights for healthy older adults are described in detail. Participatory approach has been applied to the design process for simultaneous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Both participants and practitioners have been maintaining their cognitive health for independent living. Conclusion: Findings imply that there exist potentially preventive types of dementia and intervention should be applicable for such types. Ways of thinking and living are gently intervened through understanding of personal values and broadening minds, which lead to improved quality of life.

이중 체임버 구조가 내장된 뇌졸중 환자용 컵의 개발과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운동 형상학적 유용성 검증: 전향적 예비연구 (Development and Tree-Dimensional Kinematic Analysis of the Dual Chamber-based Drinking Aid for Stroke Patients: A Prospective Pilot Study)

  • 허서윤;김경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80-190
    • /
    • 2016
  • 본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를 통하여 이중 체임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컵을 개발하고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검증하고자 했다. 체계적 과정을 거쳐 컵을 개발하고, 남녀 동수의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컵을 사용하여 이들의 제한된 운동기능을 보완 할 수 있는지 3차원 동작 분석(3-dimensional motion analysis),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3차원 체간 움직임 분석(3-dimensional trunk movement analysis)의 운동 형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이중 체임버 컵(dual chamber based assistive cups; DC) 데이터 그룹에서 플라시보 컵(placebo-cups; PC)의 경우 보다 어깨부위의 ROM(range of motion)이 더 적게 사용되었고, sEMG에서는 상부 승모근, 삼각근, 삼두근에서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체간 분석에서 전방, 후방의 방향에서 체간의 개입이 더 적게 관찰되었다.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활용 수준 및 자신감 (A Study on Assistive Technology for Pediatric Therapists)

  • 김경아;정동훈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utilization and confidence in assistive technology (AT) for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PTs) and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POT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AT in clinic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7 therapists (98 PPTs and 69 POT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s, welfare center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were us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both PPTs and POTs recognize that AT benefits infa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y show low confidence in using AT. Applications of AT are concentrated on wheelchairs for mobility and assistance with seating position, with orthotics/prosthetics for both purposes. POTs were found to use a wider variety of AT devices. While both PPTs and POTs frequently select/recommend devices, both groups are less involved with delivery methods, manufacture of devices, and education on AT use.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e actual conditions of utilization and confidence in AT of PPTs and POTs deeply involved with AT, and emphasize that AT training is essential for pediatric treatment by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재활시스템 구동용 수소저장합금 모듈의 열전달 특성 비교 분석 (Analysi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Metal-Hydride Module for the Actuation of a Rehabilitative System)

  • 김경;김성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5-171
    • /
    • 2017
  • 고령자 및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일상생활동작을 보조하는 경량의 재활보조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소저장합금 모듈 3가지를 설계하였고, 열전달 해석을 통하여 수소저장합금 엑츄에이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수소저장합금 모듈을 선정하였다. 수소저장합금 엑츄에이터는 열전소자의 열전달을 통하여 수소저장합금 모듈 안에 담겨 있는 수소의 흡수/방출을 통하여 공압 엑츄에이터의 기계적인 동작을 구동시킨다. 수소저장합금 모듈의 열전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열전소자와 수소저장합금 모듈의 접촉 방식을 선접촉과 면접촉 방식의 3가지 타입으로 3D 모델을 설계하였고, 열전달 해석을 통하여 열전달에 대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열전소자와의 열전달 방식이 선접촉 방식과 비교하여 면접촉 방식의 수소저장합금 모듈이 열전달 특성이 4.4배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면접촉 방식의 수소저장합금 모듈은 재활보조 시스템의 착용성을 높일 수 있는 수소저장합금 엑츄에이터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거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