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milation polic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15-16세기 동남아 해상무역의 특성과 변화: 포르투갈의 진출과 영향을 중심으로 (Nature and Changes of Southeast Asian Maritime Trade in 15-16 Century: Focused on Portuguese Contact and Influences)

  • 김동엽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2호
    • /
    • pp.1-41
    • /
    • 2011
  • Southeast Asia developed maritime trade from the early period due to the suitable physical and cultural conditions. The land consists of peninsular and archipelago, and located at the junction of the two monsoons in South China Sea and India Ocean. The people inherit cultural openness to receive outer influences positively. When Portuguese came to Southeast Asia in 16th century, the region had already enjoyed certain level of commercial development and sociocultural dynamics through the long time experience of interactions with outer world. The Portuguese contact to Southeast Asia was more of participation and assimilation than of conquest and rule experienced in South America. It was due to the higher level of spiritual and material civilization existed in Southeast Asia. Portuguese brought several new elements into Southeast Asia such as colonization and new weapons, Cartaz system and commercial monopoly, and Catholic mission and Casado policy. These new elements, however, did not impact much on the existing Maritime trade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to change the sociocultural structure of Southeast Asia. Even though Portuguese contact itself did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utheast Asia, it wa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opened a path and left a model case for the more powerful Europeans who came soon after her.

태풍-중위도 종관 시스템 상호작용 연구: 루사(0215), 매미(0314)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Typhoon-Midlatitude Synoptic System Interaction: Typhoons Rusa(0215) and Maemi(0314))

  • 최기선;김백조;박종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9호
    • /
    • pp.1051-1061
    • /
    • 2007
  • The impact of midlatitude synoptic system (upper-level trough) on typhoon intensity change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vertical wind shear (VWS), relative eddy momentum flux convergence (REFC), and potential vorticity (PV). These variables were computed over the radial mean $300{\sim}1,000km$ from the typhoon center by using GDAPS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data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selected cases in this study are typhoons Rusa (0215) and Maemi (0314), causing much damage in life and property in Korea. Results show that the threshold value of VWS indicating typhoon intensity change (typhoon to severe tropical storm) is approximately 15 m/s and of REFC ranges 6 to 6.5 $ms^{-1}day^{-1}$ in both cases,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with the intensity of typhoon class, PVs with 3 to 3.5 PVU are present in 360K surface-PV field in the cases. In addition, there is a time-lag of 24 hours between central pressure of typhoon and minimum value of VWS, meaning that the midlatitude upper-level trough interacts with the edge of typhoon with a horizontal distance less than 2,000 km between trough and typhoon. That is, strong midlatitude upper-level divergence above the edge of the typhoon provides a good condition for strengthening the vertical circulation associated with the typhoons. In particular, when the distance between typhoon and midlatitude upper-level trough is less than 1,000 km, the typhoons tend to weaken to STS (Severe Tropical Storm). It might be mentioned that midlatitude synoptic system affects the intensity change of typhoons Rusa (0215) and Maemi (0314) while they moves northward. Thus, these variables are useful for diagnosing the intensity change of typhoon approaching to the Korean peninsula.

해양·수산 분야의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연구 - 대학생 자원봉사의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motion to Volunteering for Maritime and Fisheries Field - Focusing on Policy Im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 Volunteer-)

  • 정우리;김향은;김세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1-18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해양 수산분야의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활동유형을 유류방제작업, 어촌봉사활동, 해안정화작업 등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자원봉사 참여자 대부분은 환경보호, 보람, 사회교류, 특별체험, 자연과의 동화측면에서 만족하고 있었다. 주제측면에서 체계성, 효율성, 활동의 다양성, 자원홍보활용, 봉사이후 보상, 자기봉사역량 측면에서 불만족스러워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의 정책적 측면에서 해양 수산분야의 자원봉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령기 자녀가 있는 결혼이민자 여성의 생활만족도 예측 변인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 성미애;최여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1호
    • /
    • pp.1-18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draw data from the 2015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NSMF). The target group was marriage migrant wives who were in a first marriage and had school-aged children (N=3,004). We used OLS regression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the target group's life satisfaction with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had maintained their marriage for at least 14 year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both their spouses and their children. Also,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pouse's child care roles. They did not support the multi-cultural policy of assimilation. Their Korean proficiency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More than half had jobs and had not attended a parent meeting. Second, althoug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everyday lives, thei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were less than that of migrant wives with children below 5 years of age. Third, all variables explained 38.8% of the life satisfaction experienced by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spouse's child care role, monthly family income,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 experience attending a parents meeting, and Korean proficienc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this target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can provide certain implications for family life education and policy within a multi-cultural society.

티벳(西藏)의 세계화에 따른 拉薩(라사)의 패션상권분석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Commercial Sphere of Lhasa Fashion Derived from the Globalization in Tibet)

  • 김영란;유태순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127-13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nge of Tibet's commercial district following Tibet's globalization(traditional clothing to modern clothing). Tibet's traditional culture is fastly changing for two major reasons: Chinese government's persistent assimilation policy on minority ethnic groups and globalization, a powerful trend worldwide. Therefore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most preeminent feature of life, clothing culture, at capital city Lhasa where modernization is most prominent and fast in Tibet. For this, the first fiel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5th and 15th, 2007. and the second investgation was between January 16th and 25th, 2008. As a result, the study on clothing globalization in Lhasa, Tibet, reaches the conclusion as follows: Based on such developments, commerce of Lhasa has been modernized, bringing about great change in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its commercial district. Stores have been modernized and their service quality has improved. While the number of traditional clothes shops has decreased, various types of modern clothes shops have emerged. Modern clothes stores mostly consist of quality men's wear shops, casual clothing shops targeting those in their 20s, and sportswear shops reflecting global trend. This composition indicates that it is men and younger generation who first adopt new culture emerged through globalization. Tibet's modernization and social development have become an integral part of globalization and public sentiment. Therefore, its modernization will be driven by power and capability of the public, rather than by policy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South Korean State-Building,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A Case Study of Cold War International Conflict, National Partition and American Hegemony for the Post-Cold War Era

  • Benedict E. DeDominicis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277-296
    • /
    • 2023
  • The South Korean ethnic diaspora US lobby shows efficacy as an interest group in generating influence in American foreign and domestic public policy making. The persuasive portrayal of South Korea as a critical Cold War US ally reinforced US amenability to pro-South Korea lobbying. Also, the South Korean US diaspora is a comparatively recent immigrant group, thus its lingering resistance to assimilation facilitates its political mobilization to lobby the US government. One source of this influence includes the foundational legacy of proselytizing Western and particularly American religious social movement representatives in Korean religiosity and society. US protestant Christianity acquired a strong public association with emerging Korean nationalism in response to Japanese imperialism and occupation. Hostility towards Japanese colonialism followed by the threat from Soviet-sponsored, North Korean Communism meant Christianity did not readily become a cultural symbol of excessive external, US interference in South Korean society by South Korean public opinion. The post-Cold War shift in US foreign policy towards targeting so-called rogue state vestiges of the Cold War including North Korea enhanced further South Korea's influence in Washington. Due to essential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historical role of American influence, extrapolation of the South Korean development model is problematic. US hegemony in South Korea indicates that perceived alliance with national self-determination constitutes the core of soft power appeal. Civilizational appeal per se in the form of religious beliefs are not critically significant in promoting American polity influence in target polities in South Korea or, comparatively, in the Middle East. The United States is a perceived opponent of pan-Arab nationalism which has trended towards populist Islamic religious symbolism with the failure of secular nationalism. The pronounced component of evangelical Christianity in American core community nationalism which the Trump campaign exploited is a reflection of this orientation in the US.

중앙아시아 한인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과제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thnics in Central Asia)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20권2호
    • /
    • pp.161-180
    • /
    • 1997
  •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생활 실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특성과 문제점을 전반적인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한인 사회에 대한 현지조사를 기초로 진행되었다. 현지조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타쉬켄트와 알마타에서 러시아어로 준비된 질문지를 통해 수행되었다. 이와 함께 한인 및 단체에 대한 방문, 면담, 관찰 등으로 얻은 질적 자료도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중앙아시아 한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구소련이 해체되면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체제변화 속에서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가라는 과제와 직결된다. 예컨대, 경제적 기반이자 정신문화의 구심점이었던 집단농장이 붕괴돼 가고, 한글을 모르는 세대가 성장하면서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정신적 보루였던 고려일보, 조선극장 등 각종 문화단체들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공화국의 자민족 중심정책에 따른 언어문제도 한인들에게 또 다른 적응의 고통이 되고 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한인들이 다민족 사회에서 자기의 말과 문화를 간직한 채 상당한 정도의 동질성을 유지해 가며 주위의 다른 민족과 잘 살아 나아가는 것이다. 현지어의 습득을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며 각 공화국 개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인역도 맡아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한국인 및 한국정부도 이들에 보다 많은 관심과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정부 및 민간 차원의 경제적·문화적 교류 활성화와 그 결과로서 현지 한인들의 생활기반 안정과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제도적 지원, 그리고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른 한인들의 자부심 고양 등이 한인들에 대한 자극제로 작용할 때 한인과 한국인 사이의 인식의 공감대가커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조국과 민족의식을 되찾아 주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PDF

코호트 사이즈가 경력-임금 곡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hort Size on Male Experience-Earnings Profiles in Korea)

  • 신영수
    • 한국인구학
    • /
    • 제10권1호
    • /
    • pp.50-69
    • /
    • 1987
  •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생활 실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특성과 문제점을 전반적인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한인 사회에 대한 현지조사를 기초로 진행되었다. 현지조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타쉬켄트와 알마타에서 러시아어로 준비된 질문지를 통해 수행되었다. 이와 함께 한인 및 단체에 대한 방문, 면담, 관찰 등으로 얻은 질적 자료도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중앙아시아 한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구소련이 해체되면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체제변화 속에서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가라는 과제와 직결된다. 예컨대, 경제적 기반이자 정신문화의 구심점이었던 집단농장이 붕괴돼 가고, 한글을 모르는 세대가 성장하면서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정신적 보루였던 고려일보, 조선극장 등 각종 문화단체들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공화국의 자민족 중심정책에 따른 언어문제도 한인들에게 또 다른 적응의 고통이 되고 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한인들이 다민족 사회에서 자기의 말과 문화를 간직한 채 상당한 정도의 동질성을 유지해 가며 주위의 다른 민족과 잘 살아 나아가는 것이다. 현지어의 습득을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며 각 공화국 개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인역도 맡아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한국인 및 한국정부도 이들에 보다 많은 관심과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정부 및 민간 차원의 경제적·문화적 교류 활성화와 그 결과로서 현지 한인들의 생활기반 안정과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제도적 지원, 그리고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른 한인들의 자부심 고양 등이 한인들에 대한 자극제로 작용할 때 한인과 한국인 사이의 인식의 공감대가커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조국과 민족의식을 되찾아 주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PDF

낙동강 유역의 연안 해저지하수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Area of Nakdong River Basin)

  • 김대선;정한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589-1597
    • /
    • 2021
  • 연안지역의 해저지하수 유출(SGD)은 하천과 함께 영양염류와 미량금속 등을 해양으로 유입시키는 주요 수송로 역할로써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육상의 연안지역인 낙동강 대권역 유역에 대해 1986년부터 2020년까지 35개년의 월별 SGD를 추정하고 계절적 변화와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GD 산출지점인 낙동강 연안유역은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여 210개의 유역을 추출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가장 높은 해상도의 전지구 모델인 FLDAS(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10 km recharge를 통해 추정한 낙동강 연안유역의 연평균 SGD는 466.7 m2/yr 로 나타났다. 낙동강 연안유역 SGD는 시계열적으로 큰 변동성은 없었으나 여름에 집중되던 SGD유출이 가을철로 주요유출 시기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간적으로는 큰 수계와 인접한 연안지역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SGD 유출이 많고 1980년대 이후로 시간적 변화에 따라 다소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낙동강 지역의 강수패턴의 시기가 확대되며, 기저유량이 많은 지역의 집수량이 높은 데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SGD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 선행적 연구이며 우리나라 해저지하수 유출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과 연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기대된다.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사례 및 지원과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mestic small-medium sized company's case of assimilation with global value chain)

  • 이준호;최정일;이옥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159-175
    • /
    • 2014
  •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 GVC)의 확산이 국가 산업 전략과 교역을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GVC의 확산은 기업경영 전략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환경변화를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는 것은 당연히 기업 자신의 몫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한계를 가진 중소기업을 정부차원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전제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정부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대응과제를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 담당자의 사고 전환이다. 정책 담당자는 국내 중소기업의 국제화 지원 정책이 GVC의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환경의 변화를 인지해야 한다. GVC의 확산은 정책 담당자가 종합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수출 제조업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업에 대해서도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국제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지원정책을 제공해야 한다. GVC의 확산은 GVC상에서 고부가가치를 생성하는 사슬로 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정부가 추구하는 창조경제의 패러다임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