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am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9초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바닐라 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nilla Sauce with Various Sweeteners)

  • 이동규;김기쁨;박기홍;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36-46
    • /
    • 2016
  • 본 연구는 건강지향적인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바닐라 소스의 제조 시 설탕을 대신하여 감미료의 종류에 따라 자일리톨, 솔비톨, 아세설팜 칼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였다. 감미료를 달리하여 바닐라 소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비교해본 결과, 설탕으로 제조한 소스에서 염도가 가장 낮았고, 당도가 가장 높았으며, 아스파탐으로 제조한 소스에서 당도가 가장 낮았다. pH는 솔비톨을 이용한 소스가 가장 높고, 아스파탐으로 만든 소스가 가장 낮았다. 색도는 아스파탐으로 제조한 소스가 명도와 적색도는 가장 높고, 황색도는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과 점도는 자일리톨로 제조한 소스가 가장 점도가 높고,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 색의 강도가 적당하고 단맛과 입안에서의 느낌이 강한 아스파탐으로 제조한 바닐라 소스가 맛과 텍스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설탕을 대신하여 아스파탐을 사용해 바닐라 소스를 제조하면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성인병 예방 및 환자식으로 활용이 가능한 바닐라 소스를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식용 감미료인 아스파탐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가? (Does the Edible Sweetener Aspartame Stimulate Plant Growth?)

  • 김동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601-606
    • /
    • 2023
  • 식용 감미료 아스파탐은 아미노산 중 하나인 아스파라긴과 페닐알라닌의 합성으로 형성된 것이다. 자당보다 200배 높은 단맛을 내는 단백질 성분으로 당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기에 다이어트 제품으로 사용된다. 동물과 인체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잘 되어있지만, 식물 대사에 관한 연구는 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 발아된 양파, 콩나물, 칼란코에를 재료로 아스파탐 물질대사 영향을 실험하였다. 발아된 뿌리를 가진 3종류 식물은 1mM 아스파탐을 처리한 초기에는 급속히 성장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구성 성분인 아미노산 영향으로 영양분 공급 효과를 보인다. 하지만 4주 동안 처리될 때 측근과 유사한 돌기 증상이 양파에서 목질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빨리 시들은 효과가 콩나물에서 보이며, 뿌리의 노화현상이 12주 된 칼란코에에서 나타난다, 모두 성장 단계를 지나서는 노화 촉진 현상을 보인다. 이것은 구성 성분인 두 종류 아미노산 중에 아스파라긴은 급성장을 유도하는 옥신 발생과 관계가 있다고 보여 주고, 페닐알라닌 효과로 목질화 현상이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하여진다.

Microbial Aspartase and Its Activity on Deamination of 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ester

  • Chang, Wonyoon;Goo, Yang-M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39-144
    • /
    • 1988
  • Examination of many microorganisms and soil isolated for the activity of aspartase proved that R, rubra, G, suboxydans, A. versicolor, P. purpurogenum, E. coli, Ps. aeruginosa, A. gigantus, A, unguis, A. parasiticus and a soil isolate (S-90) had high activity of aspartase. Comparison of the activity of the aspartase by cell free extracts of these microorganisms with the activity of the enzyme catalyzing the deamination of aspartame by the same cell free extracts showed similar kinetic characteristics. The aspartase existing in the cell free extracts seemed to catalyze the deamination of aspartame, too.

  • PDF

어린이 기호 유가공품 인공감미료 함량 조사 (Survey of artificial sweetener contents as food additives in children's preferred dairy products)

  • 강경숙;전해창;박형숙;최태석;신방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7
    • /
    • 2012
  • In this study, monitoring of food additives as an artificial sweeteners on favorite dairy products of children, which are deal at supermarket, was performed. We analyzed aspartame, acesulfame-K, sodium saccharin, and sucralose from total 206 dairy products which are fermented milk, ice-creams and others. Aspartame was detected from 3 cases of fermented milk. Sucralose was detected from 10 cases of processed milk and 2 cases of fermented milk. The detected concentration was followed [average (minimum~maximum)]: aspartame 34.6 mg/kg (2.9~97.9 mg/kg), sucralose 29.8 mg/kg (5.5~67.7 mg/kg). The level of intakes of detected sweeteners were evaluated by comparisons with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data establish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The estimated daily intake (EDI) of aspartame and sucralose per day were 0.37 mg/day, 0.20~0.32 mg/day. The intake levels were 0.05~0.8%, which were all within safe levels.

Synthesis of an Aspartame Precursor Using Immobilized Thermolysin in an Organic Solvent

  • Ahn, Kyung-Seop;Lee, In-Young;Kim, Ik-Hwan;Park, You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204-209
    • /
    • 1994
  • The synthesis of N-(benzyloxycarbonyl)-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ester (Z-APM), a precursor of aspartame, from N-(benzyloxycarbonyl)-L-aspartic acid (Z-Asp) and L-phenylalanine methylester hydrochlolide($L-PM\cdot HCI$) was investigated in a saturated-ethylacetate single phase system using immobilized thermolysin. Among the various supports tested, glyceryl-CPG was found to be most efficient for retaining enzyme activity. The enzyme immobilized onto glyceryl-CPG also showed the highest activity for Z-APM synthesis in saturated ethyl acetate. Z-APM conversion yield in saturated ethylacetate was half of that obtained in an ethyl acetate-buffer two-phase system under the same reaction conditions. However, as the mole ratio of $L-PM \cdot HCI$ to Z-Asp was increased to 4.0, the conversion yield reached 95 %. When continuous synthesis of Z-APM was canied out in a plug flow reactor (PFR) with 80 mM of L-PMㆍHCI and 20 mM of Z-Asp in saturated ethylacetate (pH 5.5), more than 95 % of Z-Asp was converted to Z-APM with a space velocity of 1.16 $hr^{-1} at 40^{\circ}C$. Although the operational stability in PFR was reduced rapidly, more than 80% of initial activity was maintained in CSTR even after a week of operation.

  • PDF

청량음료용 고강도 감미료의 혼용 비율에 따른 관능적 특성 및 저장기간 산정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Shelf-life by $Q_10$ Values with Mixtures of High-Intensity Sweeteners for Beverage during Storage)

  • 최선영;장은경;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2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설탕과 유사한 단맛 특성을 보이는 고강도 감미료의 혼합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 되는 설탕 용액과 동일 단맛 강도를 주는 아스파탐의 농도를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과 스테비오사이드의 비율을 각각 5:5, 7:3, 9:1, 10:0으로 달리하여, 증류수와 pH 3.2인 구연산 완충액에 용해시킨 여러 감미료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 고강도 감미료의 단맛 및 기타 여러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강도 감미료를 혼용 사용함으로써 단맛과 삼킨 후 단맛은 유의적으로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깨끗한 맛, 떫은맛, 쓴맛, 금속맛, 뒷맛(단맛이외의 맛)은 기준용액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아스파탐에 아세설팜칼륨을 5:5로 혼용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동안 온도에 따른 구연산 완충액상에서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의 혼용 비율에 따른 저장 기간 및 단맛 강도의 변화를 조사해보았다. 구연산 완충액(pH 3.5)에 감미료의 혼용 비율을 달리하여, $40^{\circ}C$$50^{\circ}C$에 저장하면서, HPLC로 감미료의 $20\%$ 가 분해된 시점에 이른 시간을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Q_10$ 값을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20, $30^{\circ}C$에서의 저장기간을 예측하였다. $Q_10$ 값은 2.01-2.25 이었으며, 이 값들을 토대로 저장기간을 계산하면, 아세설팜칼륨의 혼용 비율이 높아질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져서, $50\%$로 혼용하였을 때 가장 긴 저장기간이 산정되어 $20^{\circ}C$에서는 178일, $30^{\circ}C$에서는 88일이 예측되었다.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의 혼용비율을 5:5, 7:3, 9:1로 달리하여 구연산 완충액 상에 녹인 후, 20, 40, $60^{\circ}C$에서 저장하였다 크기 추정법을 이용하여 단맛을 측정한 결과 20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20^{\circ}C$$40^{\circ}C$에서는 단맛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감미도 감미료(High Intensity Sweeteners)를 이용한 당류저감화 (Reducing sugar content in processed foods using high intensity sweeteners)

  • 한태철;서일;임혜진;기민지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3호
    • /
    • pp.29-39
    • /
    • 2016
  • Recently, due to the cognition that obesity is the cause of adult diseases, interests of consumers in low-sugar and low-calorie foods are growing more and more. While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reduce sugar contents in processed foods, the reduced sweetness caused by lesser sugar content is complemented by using high-intensity sweeteners. Some of the typical high-intensity sweeteners are sucralose, aspartame, acesulfame potassium and stevia, etc. Since the relative sweetness degree, sweetness profil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se sweeteners should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t is important that all these characteristics are well-understood before applying them.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high-intensity sweeteners in order to reduce sugar content of processed foods.

리트벨트법을 이용한 당류계 초지연성 혼화제 혼입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생성물 정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Hydrate of Sugar-based Super Retardign Agent Mixed Cement Paste Using Rietveld Method)

  • 현승용;후윈야오;김수호;김종;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4-75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sugar type through XRD. Setting time was found to be delayed the most when mixing white sugar, and setting time was promoted when mixing Saccharin and Aspartame. It was found that when white sugar and Grosvener siraitia were mixed,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spartame the age passed, C3S decreased and Ca(OH)2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