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agine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8초

콩나물의 asparagine 함량에 미치는 요인 구명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asparagine content in soy-sprout)

  • 정연신;손태호;;이정동;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6권
    • /
    • pp.71-79
    • /
    • 2008
  • 알코올의 숙취해독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asparagine은 콩나물의 뿌리에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콩나물 뿌리 발생에 미치는 재배실의 온도, 일당 관수횟수, 재배일수 및 동일용기에 사용한 콩 량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가콩과 풍산나물콩의 수율은 재배일수에 따라 경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재배실 온도가 $20^{\circ}C$에서 보다 $30^{\circ}C$에서 높았으며, 콩나물의 수율은 5회 관수, 8일 재배시 가장 높았다. 2. 아가콩과 풍산나물콩의 콩나물 부위별 건물중의 비율은 자엽이 가장 많았고 뿌리가 가장 낮았으며, 재배실 온도가 $20^{\circ}C$에서 보다 $30^{\circ}C$에서 비율이 더 높았다. 3. 아가콩의 asparagine 함량은 재배실 온도 $30^{\circ}C$에서 5회 관수 8일 재배한 하배축에서 1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풍산나물콩의 asparagine 함량은 재배일수가 길수록, 재배온도가 높은 경우 높았으며, 하배축에서 가장 높았고, $30^{\circ}C$에서 2회 관수 8일 재배시 하배축에서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아가콩은 300g, 풍산나물콩은 500g 치상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잔뿌리의 수는 아가콩과 풍산나물콩 모두 치상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Proteus mirabilis 박테리아 전극을 이용한 L-Asparagine의 정량 (Determination of L-Asparagine Using Proteus mirabilis Bacterial Electrode)

  • 인권식;손무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22-427
    • /
    • 1988
  • 박테리아 Proteus mirabilis를 $NH_3$ 기체감응 전극에 고정시켜 감응도의 재현성이 우수한 L-asparagine 박테리아 전극을 제조하여 pH, 온도, 완충용액, 박테리아의 양, 여러가지 아미노산 및 무기염류 등에 의한 영향과 시간에 따른 전극의 안정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30^{\circ}C$에서 pH 7.8인 0.05M phosphate 완충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9.0{\times}10^{-5}$ - $1.0{\times}10^{-2}M$ 범위내에서 직선성을 나타내었고, 감응기울기는 58.9mV/decade였다. 또한, 이때 사용된 박테리아의 양은 3mg이었으며, 감응시간은 7∼9분이었다. 따라서 본 박테리아 전극은 L-asparagine의 정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partate 및 Asparagine 투여가 알코올 대사 및 중추신경계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partate and Asparagine on Metabolism and Central Nervous System Effect of Alcohol in Healthy Male Volunteers)

  • 임동석;이경훈;장인진;신상구;이윤성;박상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1-269
    • /
    • 1995
  • Background; To explore the efficacy of aspartate as NAD regenerating agent for ethanol and acetaldehyde oxidation, we performed crossover challenge in two groups of volunteers by coadministration of various doses of aspartate, asparagine and ethanol. Methods; 18 healthy male volunte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6 volunteers of the first group were administered 5 gm monosodium aspartate(MSA), 5 gm asparagine or placebo with 100 ml of $40^{\circ}$ whiskey by the 3 way-crossover design, while 12 volunteers of the other group were administered placebo, 1, 2 or 5 bottles of $Aspar^(circledR)$ containing 1 gm of MSA per bottle with 100 ml of $40^{\circ}$ whiskey by the 4 way-crossover design. Ethanol(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in venous blood drawn at 0, 0.25, 0.5, 1, 2, 4, 8th hour after ethanol ingestion were analysed by gas chromatogaphy. Subjective symptoms, liver function tests and psychomotor function tests were also performed during the study periods. Result; Plasma concentration and AUC of acetaldehyde in asparagine and MSA trials on ethanol inges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lacebo trial in the 1st group.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of 5 bottle $Aspar^(circledR)$ tri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lacebo trial in the 2nd group.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or psychomotor performance by the treat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spartate and asparagine may be prospective candidates for acceleration of ethanol metabolism and prevention of ethanol toxicity.

  • PDF

콩나물의 Asparagine 생합성(生合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sparagine Biosynthesis in Soybean Sprouts)

  • 변시명;허남응;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33-42
    • /
    • 1977
  • 콩나물에 많이 존재하는 Asn의 생합성(生合成)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콩나물 생육기간중(生育其間中) 수분함량(水分含量) 및 Asn 함량을 조사한 결과 10일째 수분(水分)은 $85{\sim}90%$에 달했으며 Asn은 6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0일째는 건물량(乾物量)의 22.7%에 달하였다. 콩나물 100 g에서 Asn을 추출(抽出)한 결과 2.29g을 얻었고 재결정하여 1.62 g을 얻었다. 콩나물 생육시(生育時) $NH_4Cl,\;(NH_4)_2SO_4$ 및 urea를 살포하여 질소화합물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였던 바 $NH_4Cl$$(NH_4)_2SO_4$구(區)는 Asn이 control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urea구(區)는 10일째 29.5%로 증가하였다. 콩나물에서 asparagine synthetase를 $(NH_4)_2SO_4$ fractionion 및 Sephadex G-150에 의해 정제하여 8.6배 정제하였다. 이 효소는 매우 불안정(不安定)하였으나 glycerol, mercaptoethanol 및 기질(基質)인 ATP, $Mg^{++}$이온에 의해 보호를 받았으며 이 산소(酸素)에 의해 최고(最高)의 Asn이 생성(生成)되는 ATP, Gln(또는 ${NH_4}^+$)의 농도는 표준반응 용액에서 각각의 구성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을 때 ATP 10 mM, ${NH_4}^+$는 50 mM, Gln은 10 mM이었다. $Mg^{++}$이온 대신 $Mn^{++}$, $Zn^{++}$, 및 $Fe^{++}$로 대치할수 없었으며 Asp에 대한 Km값은 3.1 mM이었고 효소작용의 최적(最適) pH는 7.5이었다. Amide donor로서 $NH_2OH$로 대치한 결과 ${\beta}-aspartyl$ hydroxamate가 생성(生成)되어, 효소의 열불안성(熱不安性), amide donor로서 Gln 이용 및 SH기(基)에 의한 효소안정성을 비추어 보아, 같은 두과식물(荳科植物)인 완두와 비슷하게 asparagine synthetase는 ${\beta}-aspartyl$ adenylate의 중간반응(中間反應)을 거치는 기작(機作)에 의해 Asn을 생합성(生合成)하는 것을 알았다.

  • PDF

Development of a UPLC-MS/MS method for the therapeutic monitoring of L-asparaginase

  • Jeong, Hyeon-Cheol;Kim, Therasa;Yang, Deok-Hwan;Shin, Kwang-Hee
    •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 /
    • 제26권3호
    • /
    • pp.134-140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UPLC-MS/MS method for determining plasma levels of L-aspartic acid and L-asparagine and the activity of L-asparaginase. L-aspartic acid, L-asparagine, and L-aspartic acid-2,3,3-$d_3$ were extracted from human plasma by protein precipitation with sulfosalicylic acid (30%, v/v). The plasma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n Imtakt Intrada amino acid analysis column with 25 mM ammonium formate and 0.5% formic acid in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with step gradient method at a flow rate of 0.5 mL/min. The injection volume was $5{\mu}L$, and the total run time was 15 min. Inter- and intra-batch accuracies (%) ranged from 96.62-106.0% for L-aspartic acid and 89.85-104.8%, for L-asparagine,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did not exceed 7%. The validation results for L-aspartic acid and L-asparagine satisfied the specified criterion, however, the results for L-asparaginase activity assay showed a borderline validity. This study could be a found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rapeutic drug monitoring systems using UPLC-MS/MS.

Effect of Antimicrobial Activity by Chitosan Oligosaccharide N-Conjugated with Asparagine

  • Jeon, You-Jin;Kim, Se-K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81-286
    • /
    • 2001
  • Since the number of amino groups which are exposed by deacetylation of acetyl-D-glucosamine influences antimicrobial activity, a chitosan oligosaccharide (COS) derivative by N-conjugation of COS with asparagine, an amino acid with two amino groups, was synthesized and the antimicrobial effect on E. coli growth was compared with other COS derivatives which were N-conjugated with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 cysteins, an methionine, and unmodified COS. The structure of asparagine N-conjugated COS (Asn-COS) derivative was identified by using a FT-IR, $^{13}C\;FT-NMR$, and an elemental analyz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sn-COS against E. coli growth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the other COS derivatives as well as COS itself. This means that Asn-COS with two positive charges strongly interacts with the carboxyl negative charges on the bacteria cell wall. The results for Asn-COS were as follows: 100% bactericidal activity, 0.002% MIC, and no growth of E. coli during 3 days of culture time, suggesting that Asn-COS may be useful as a new antibiotic agent.

  • PDF

마늘의 조직 센서를 이용한 L-asparagine의 정량 (Determination of L-asparagine Using a Garlic Tissue Electrode)

  • 김성진;김기묘;배유진;이은엽;허문회;안문규
    • 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3-117
    • /
    • 1995
  • Garlic tissue cells are employed for the conversion of L-asparagine into ammonia. An ammonia gas electrode is used as a detector. The effect of pH, buffer solution, temperature and life time of electrode to have used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optimize the electrode response. The combination of L-asparaginase in garlic tissue cells and the gas electrode response linearly to Lasparagine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1.0$\times$10$^{-4}$~1.0$\times$10$^{-1}$ M with a slope of 72.0 mV/decade and is selective with respect to other L-amino acids.

  • PDF

아미노산 성분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Chlorination Byproducts Formation of Amino Acid Compounds)

  • 손희종;최영익;배상대;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32-340
    • /
    • 2009
  • 20종의 아미노산 성분들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위 DOC당 THM 생성능은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tryptophan과 tyrosine에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18종에서는 매우 낮은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단위 DOC당 HAA 생성능 조사결과, tryptophan, tyrosine, asparag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에서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생성능을 보였으며, asparag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은 DCAA 생성능 조사결과, aspartic acid, histidine, asparagine, tyrosine 및 tryptophan에서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aspartic acid는 660.2 ${\mu}$g/mg으로 나타나 다른 아미노산 성분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HAN 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반응성이 높은 6종의 아미노산 성분에서 생성되는 HAN 구성종의 대부분은 DCAN으로 나타났다. 단위 DOC당 chloral hydrate 와 chloropicrin의 생성능을 조사결과에서 chloral hydrate는 asparagine, aspartic acid, histidine, methionine, tryptophan 및 tyrosine에서 생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hloropicrin의 경우는 20종의 아미노산에서 전체적으로 1${\mu}$g/mg 이하의 아주 낮은 생성능을 보였다. 아미노산의 작용기별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은 THM의 경우 방향족(aromatic) 화합물인 tryptophan과 tyrosine에 반응성이 높았고, HAA는 aromatic, neutral, acidic, basic 순으로 반응성을 보였으며, HAN은 acidic, basic, neutral, aromatic 순으로 반응성을 나타내어 방향족 화합물보다 지방족 화합물이며 친수성인 물질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Polyamine 및 flavonoid 첨가가 복숭아 화분의 저온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 Polyamine, and Flavonoid on the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1-715
    • /
    • 2006
  • 복숭아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개화기가 빨라 저온으로 인한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복숭아의 화분 발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화분발아 배지에 아미노산, polyamine, flavonoid 등을 첨가하여 일련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온에서 배지내 첨가물질로써 asparagine, glutamine, spermine, putrescine, kaemferol이 유효하였으며, 이들의 적정농도는 asparagine과 glutamine는 10 mM, spermine 100 mM, putrescine 1000 uM, kaemferol은 1.0 uM 이였다. 저온에서 발아율이 높았던 처리는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혼용조합이었고, 다음이 $100\;mg{\cdot}L^{-1}\;H_3BO_3+10\;mM$ glutamine 혼용조합, $100\;mg{\cdot}L^{-1}\;H_3BO_3+200\;{\mu}M$ spermine 혼용조합 순이었다. 기본배지에 치상된 ‘장택백봉’의 화분 발아율은 25.4%, '수봉' 13.9% 불과하였으나,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첨가된 배지는 두 품종 모두 대조구보다 화분 발아율이 $18{\sim}19%$ 증진되었다. 아미노산과 폴리아민 첨가에 의한 화분발아율 증진 효과는 '장택백봉' 보다는 '수봉'에서 더욱 현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