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h contne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솔잎재 콘크리트의 탄성특성 및 내산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lastic Properties and Acid Resistance of Pine Needle Ash Concrete)

  • 남기성;민정기;김영익;서대석;이전성;성찬용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271-276
    • /
    • 1999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an elastic properties and acid-resistance of concrete using pine needle ash(PNA). Materials used for this experiment are PNA , normal portland cement, natural fine and coarse aggregate. Test results show that the highest ultrasonic pulse velocity , dynamic and static modulus of elasticity is achieved by 5% PNA filled PNA concrete, which has showed similar with those of thei normal cement concrete. Acid-resistance of PNA concrete i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tnet of PNA , it is 1.29 times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by 5% PNA fille PNA concrete an d2.57 times by 15% PNA filled PNA concrete . Accordingly , PNA concrete wil greatly improve the properties of concrete.

  • PDF

한국산 소맥과 수입 소맥의 무기질 특성과 phytate 비교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Minerals and Phytate between Korean and Imported Wheat Varieties)

  • 고봉경;임승택;이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1-237
    • /
    • 2000
  • 한국산 소맥 고유의 무기질에 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산 소맥 5품종과 외국산 소맥 3가지 품종의 회분함량과 밀가루 및 반죽의 색깔, 무기질 조성과 phytate 함량을 조사하였다. 한국산 밀 품종은 수입 소맥보다 회분 함량이 많으며 통밀의 회분 함량이 많을수록 밀가루의 회분 함량도 증가되었다. 또한 통밀의 회분 함량이 중가하면 밀가루의 적색도가 높아지며 따라서 백색도가 저하되는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한국산 통밀의 무기질 조성은 Mg, Fe과 P 등이 수입소맥들과 비교하여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제분된 밀가루에서는 Fe의 함량이 수입소맥들과 비교하여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Fe은 통밀과 밀가루 모두에서 한국산 소맥에 월등히 많은 양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Fe은 제분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으며, 겨와 호분층 이외에 배유에도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제분된 뒤에도 Fe은 밀가루에서 많은 양 검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기질의 흡수를 제해하는 phytate는 한국산 소맥이 수입소맥들과 비교하여 많은 양 함유되어 있었으나, 제분된 밀가루에서는 함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밀가루와 통밀의 phytate 함량간에 유의적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아 많은 양의 phytate가 제분과정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통밀의 phytate 함량과 통밀의 P 함량간에는 유의적 상관관계가 확인되며 밀가루의 phytate 함량과 밀가루의 P의 함량간에도 유의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한국산 소맥의 P는 phytate 내에 존재하는 P가 상당부분 차지하며, phytate가 제분과정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P도 제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