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scopic Bankart repair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7초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Bankart 병변과 ALPSA 병변 (Bankart Lesion and ALPSA Lesion in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김영규;안승준;고영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6-193
    • /
    • 2005
  • 목적: ALPSA(anterior labroligamentous periosteal sleeve avulsion) 병변과 Bankart 병변을 관절경하에서 구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ALPSA 병변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으로 관절경하에서 Bankart 복원술을 시행한 6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의 판독상 Bankart 병변은 56예(85%) ALPSA 병변은 10예(15%)였다. 각 병변의 관절경 소견을 분류하였으며 결과는 평균 22개월 추시하였다. 결과: Bankart 병변 보다 ALPSA 병변의 발생 시기가 보다 젊은 층에서 발생하였다 관절경하에서 ALPSA 병변은 여러 형태를 보였으며 특히 하내측으로 많은 전위를 보인 경우가 5예에서 관찰되었다. Bankart 병변도 심한 전위를 보인 경우가 21예였으며 견갑 경부로부터 뚜렷하게 외측 전위되지 않고 하내측으로 전위된 경우는 관절경하에서 ALPSA 병변과 구별하기 어려웠다. 재발은 ALPSA 군에서는 재탈구는 없었으나 불안감이 2예(20%)에서 있었고 하내측으로 많은 전위를 보인 예에서 나타났으며, Bankart 군에서는 재탈구 1예, 아탈구 1예, 불안감 2예로 총 4예(7.1%)에서 있었다. 결론: 하내측으로 심하게 전위된 Bankart 병변과 ALPSA 병변은 식별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전위가 심한 ALPSA 병변에서 재발율이 높았다. 따라서 복원술시 ALPSA 병변을 철저하게 재분리하는데 보다 주의가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uture-anchor를 이용한 관절경적 Bankart 술식에서의 Rowe 점수를 통한 예후 인자 분석 (The Prognostic Factor Analysis Through Rowe Scoring System in Arthroscopic Bankart Operation Used Suture-anchor Method)

  • 한재형;서재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86
    • /
    • 2003
  • 목적 : 재발성 전방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suture-anchor 방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Bankart 술식의 임상적 결과와 병변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사료되는 여러 인자들을 술 전, 술 후 Rowe 점수를 통해 평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외상으로 인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로 인해 관절경적 Bankart 병변 봉합술을 시행 후 최소 1년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2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28명 모두 남자였으며 수상 당시의 평균나이는 21.3세다. 술 전, 술 후 견관절의 기능평가는 Rowe점수를 사용하였으며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9개의 인자를 설정한 후 술 전, 술 후 Rowe 점수를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이용한 통계학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술전 Rowe 점수는 평균 28.4점(보통 11예, 불량 17예)이었는데 반해 술 후 Rowe점수는 87.1점(우수 12예, 양호 15예, 보통 1예)이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점수의 증가를 나타냈다(p=0.000). 추시상 나타난 합병증으로는 재탈구 1례, 경미한 견관절 운동범위 장애를 나타내는 2례가 있었다. 술 전, 술 후 Rowe점수를 통한 예후 인자 분석에 있어서는 수상 당시의 나이가 20세 미만인 군에서 20세 이상인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23)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관절경을 이용한 Bankart 술식은 재발성 견관절 탈구환자에 있어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한가지로 사료된다. 또한 수상당시의 나이는 술 전, 술 후 Rowe점수를 비교한 결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사료되었다.

  • PDF

만성 외상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에서 병행한 관절낭 열 수축술 (Additional Thermal Shrinkage in Treatment of Recurrent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김승기;송인수;문명상;임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2호
    • /
    • pp.76-82
    • /
    • 2004
  • Purpose: In the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he laxity of joint capsule and ligament is frequently demonstrated. Although a arthroscopic procedure to address anterior instability with joint capsular redundancy have generally provided good results, its recurrence rate is higher than open procedure. By reducing the capsular redundancy, thermal shrinkage is likely to improv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anterior stabiliz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dditional thermal capsular shrinkage as a treatment of joint capsular redundancy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9 to June 2000, 25 shoulders of 23 patients of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underwent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shrinkage procedure. The mean follow up was 29 months and average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26 years. Of these patients, 20 were male and 3 were female who had been experienced the average 8 times of dislocation before operation. Thermal shrinkage alone without Bankart repair was performed in two cases who did not have Bankart lesion. The clinical result was evaluated in according to Modified Rowe Score. Results: The Modified Rowe Score was improved from preoperative 35 points to postoperative 88 points. None of cases showed recurrence of dislocation. But, in two cases, temporary sensory hypesthesia of the axillary nerve was developed and in two cases of postoperative stiffness, 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and brisement were performed. Conclusion: Additional capsular shrinkage in arthroscopic technique to address recurrent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could treat effectively the capsular redund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