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 institution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52초

Forma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Students of Ar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 Chyrchyk, Sergii;Rudencenko, Alla;Livshun, Oleksandr;Poltavets-Guida, Oksana;Poltavska, Yuliia;Tymenko, Volodymy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31-36
    • /
    • 2022
  • In modern socio-cultural conditions, the requirements for the quality of professional training of graduate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 This issue has become especially acute with the advent of pandemic conditions. The ability to apply the existing competencies in the situation of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to solve complex social and professional problems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Modern professional art education is undergoing many reforms and transformation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innovative teaching methods, thanks to which future specialists experience the breath of innovative education. This issue is especially relevant during the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Since students of creative specialties must also have certain competenci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e competence-based approach to teaching plays a key role, is the methodological basis in the system of modernization of higher professional art education. Thus, the main task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students of ar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aspect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students of ar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were investigated.

Design and Empirical Study of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Based on B2B2C,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 Hou, Shaopeng;Ahn, Jongch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2호
    • /
    • pp.726-74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tructive theoretical models for art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especially when unpredictable risks, such as pandemics, occur again. Based on the customer behavior theory of the business-to-business-to-customer (B2B2C) platform, and in combination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ECM), this study proposes an online education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The framework is based on the thre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the customer, and includes the product owner, content owner, and customer area. This paper highlights the factors that influence customers in making decisions when art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oduct owners. Regression analysis was introduced to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the overall fitting testing and six hypotheses testing of 385 effective samples were perform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show that the course-design and after-service positively influence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the domain image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tinuance behavior. Negative emotions skipped the mediator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directly exert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ustomers' willingness to continue system usage (continuance behavior). In addition,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influenced continuance behavior. The paths of detailed items comprising course-design, after-service, and negative emotion were also analyzed and discussed. In this path analysis, ordinary art learners did not believe that AI partners can play a very good auxiliary role.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scope of information systems acting as an art education platform academically, and provide effective and theoretical support for the actual operation of art education institutions.

예술기록에 관한 분류·기술 사례 연구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를 중심으로 (A Study on Classification & Description of Art Archives : Focused on "The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 김지아
    • 기록학연구
    • /
    • 제74호
    • /
    • pp.79-117
    • /
    • 2022
  • 최근 국내 문화예술기관에서 아카이브를 활용한 전시와 프로그램 기획이 많아지면서 아트아카이브라는 용어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트아카이브는 학문 연구의 기초 자원, 예술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같은 역할을 위해 그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현재는 더 나아가 직접적인 활용 및 서비스의 대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에 기록학계에서도 아트아카이브의 가치와 정책, 관리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트아카이브를 다루는 기관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관리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아트아카이브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분류와 정리 그리고 기술 영역의 체계적인 관리가 선행되어야한다. 하지만 아트아카이브는 수집 유형, 관리 기관과 소장 자원의 특성 등에 따라 각각 다른 관리 방법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관된 분류·기술 방법론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아트아카이브의 범주와 유형을 살펴보고, 분류체계의 구축과 기술 규칙을 제시하였다.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문화유산기관 협력 방안 (Cooperative Plans for Information Resource Sharing of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 조윤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21
    • /
    • 2008
  • 문화유산기관들은 인류의 문화적 경험과 표현의 산물들을 기반으로 기관 및 지역을 넘어서는 협력망을 구성하여, 사회 구성원들에게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도서관이 소장한 문헌자원, 박물관이 소장한 유물 자원, 미술관이 소장한 예술품 자원, 기록관이 소장한 기록 자원의 통합적 관리를 통한 다양한 문화정보서비스의 창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및 기록관 등 문화유산기관의 협력 배경이 되는 관련법과 고려사항을 제시하고,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협력망과 통합형으로 북미 유럽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정책/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 및 인적 측면의 문화유산기관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 현황과 과제 (Status and Subject of Art Therapy in the Local Social Community in the Seoul Area)

  • 장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50-359
    • /
    • 2009
  • 본 논문은 서울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와 치료사 현황조사를 토대로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확대 가능성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보건 복지부가 제시한 사회복지시설 14종류 중 29기관이 설문대상으로 참여하였고, 45.1%가 미술치료를 시행하는 것으로 지역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 미술치료의 역할과 위치는 점차적으로 정착되는 결과를 보였다. 현재 미술치료를 실시하는데 있어 기관에서 어려움은 환경적 요인에 대한 문제와 미술치료사와 관련하여 전문 치료사의 확충으로 치료사 연계망와 보수가 주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지역사회복지관련 기관과 상호적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형성되는 의식과 집단화에 영향을 주어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복지를 통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제공에 미술치료를 좀 더 전문적이고 다양하게 확대, 적용하기 위해 첫 번째, 기관내에서의 미술치료실 환경 여건 개선 두 번째, 미술치료학계는 통합적인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관에서의 전문치료사의 확충의 어려움과 치료사들의 구직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기관과 치료사의 연결망 구성 세 번째, 치료사는 다양한 치료적 접근을 하기 위해 교육기간 동안 학문적인 연구와 함께 임상훈련과 감독강화, 전문치료사로서의 학문적인 연구와 임상연구의 발전을 연구 과제로 모색하였다.

국내 공공미술 사업의 건축적 경향 - 국내 건축가가 단체로 참여한 2000년 이후의 사업을 중심으로 - (Architectural Tendencies of Public Art Projects in Korea - Focused on Those in Which Korean Architects Participated in Group after 2000 -)

  • 박슬기;김란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33-143
    • /
    • 2015
  • This study tried to inquire architectural tendencies in public art projects by analyzing projects and public art works designed by Korean architects. First, it described not only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but also the scope and the methods of it. Second, it gave an overview of public art by explaining the concept, the institutions, and the history of it in Korea. Third, it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public art projects in Korea, in which more than two architectural teams participated, analyzing the tendencies of public art works designed by architects. In order to find the architectural tendencies of public art projects, it analyzed the intentions, the contents and the expressions of architects' art works. In conclusion, this study regarded the architectural tendencies as site-specific, space-experiencing, sheltering, multi-purposeful, contextual, recycling, and eco-friendly.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State on Cooperative Art Activities)

  • 이선혜;서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1-151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80명이다. 연구방법은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 F검증, ${\chi}^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목표 및 내용, 방법적인 부분에 있어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실태에 있어서도 실제 협동미술활동에 있어 실시횟수 및 방법, 시간, 평가방법, 교사연수 및 지원 등에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협동미술활동이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동미술활동 프로그램과 유아의 발달에 적절한 활동계획 및 방법, 교사교육 및 연수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발달장애인 미술교육 현장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s of Field Workers in Art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 조민주;허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77-292
    • /
    • 2021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현장종사자들이 현장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그 경험이 가진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발달장애인 미술교육 현장종사자 5인의 심층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로써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개인의 교육경험을 통해 생기는 개인적 내러티브, 그들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 내러티브, 교육기관인 학교, 복지관, 아동방문미술교육기관의 제도적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의 발달장애인 미술교육 연구에 이바지하는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으며 현장종사자들이 제시한 발달장애인 미술교육의 방향을 통해 논의가 확장되길 제언한다.

Localization of Metadata Elements in the Art Museum Community

  • 남영준;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5-197
    • /
    • 2012
  • The art museums in South Korea are mostly small-scaled institutions with small amount of art works. Thus, internationally accepted metadata standards such as CDWA and VRA Core may not be efficient to manage their collections. Because of these distinct loc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need to create a set of metadata elements that can be used for the art museum community in the country.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set of metadata elements customized to fit into the context of small-scaled art museums in South Korea. The construction of the element set was not from scratch but on the basis of existing standards such as CDWA, VRA Core, and Dublin Core. By identifying core elements that are indispensable in describing art works and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s in art museums, the proposed set of metadata elements is expected to suppor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rt works and satisfy the localized needs of the art museum community.

시각예술자원 통합검색 유형 분석 및 적용 방향성 정립: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ngle Search Strategy for the Visual Arts Resources and Its Applications: Focus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백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1-131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시각예술자원을 소장 기관이나 관리 주체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합검색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그 실현을 위한 기반 논의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시각예술자원 관리 기관의 자원 관리 및 검색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국외의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 검색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검색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환경적 측면과 메타데이터와 시스템적인 측면의 기반조성 및 적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