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tic compound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韓國産) 부자류(附子類) 생약(生藥)에 관한 연구 (V). -진범 지하부의 성분(成分)에 대하여- (Studies on Korean Aconitum Species(V).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 이현선;정보섭
    • 생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9
    • /
    • 1989
  • A new aromatic amide, methyl-N-(3-carbamoylpropionyl) anthranilate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as a natural compound and one known $C_{19}-diterpene\;alkaloid$, avadharidine was also obtained from the root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The\;LD_{50}$ values of water extract and MeOH extract of the root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in mice were 1. 23 g (13. 6 g crude drug) and 0. 77 g(5. 13 g crude drug)/kg, p.o., respectively.

  • PDF

海上 流出油 識別法에 關한 硏究 (Comparative Identification of Oil Spills by Gas Chromatography Fingerprinting)

  • 김영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8-123
    • /
    • 1986
  • 流出油는 GC分析에 의한 油指紋法(Oil Fingerprinting Method)으로 流出原因油와 比較分析하여 識別한다. 一般的으로는 GC에 의하여 飽和炭化水素, 黃化合物을 分離分析한다. 그러나, 기름의 成分은 複雜하고 流出된 상태에 따라 成分組成이 변하므로 어느 한 成分의 分析에 의한 識別보다는 여러성분에 대한 多角的인 分析에 의한 識別方法이 要求된다. 本 硏究에서는 原油, 重油中에 含有되 어 있는 多環芳香族 炭化水素를 分離分析하였다. 이들은 比較的 安定하기 때문에 時 化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GC에 의한 多環芳香族 炭化水素 分析은 産油地 判別 및 油種을 識別할 수 있는 油脂紋法의 한 方法이다.

  • PDF

Piperine 유도체의 합성 및 중추억제작용에 관한 연구(I) 3,4-Methylenedioxycinnamic Acid 유도체 (Syntheses and Central Nervous Depressant Activity of Piperine Derivatives(I) 3,4-methylenedioxycinnamic Acid Derivatives)

  • 임중기;이동웅;이진영;김연순;우원식;이은방
    • 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89-196
    • /
    • 1982
  • Piperine was reported to have a potential central nervous system (CNS) depressant activity in mice. In order to search a more active and less toxic compound than piperine and to elucidate the active group of piperine, the aromatic amides (10 compeunds) and aromatic esters (10 cempounds) of 3, 4-methylenedioxycinnamic acid were synthesized and evaluated on CNS depressant activity in comparison with piperine. The pharmacological tests conducted are as follows; (1) Acute, toxicity, (2) Antagonism against strychnine induced conduced convulsion, (3) Antagonism against maximal electrobhock seizure, (4) Rotarod test, (5) Potentiation of hexobarbital sleeping time. It was observed that 3, 4-methylendioxycinanamic acid derivatives were less toxic than piperine, and showed no significant CNS depressant activities.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piperoyl group might be concerned with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piperine.

  • PDF

芳香族할라이드의 Hot Atom Chemistry 스캐벤져, 溫度 및 酸素의 效果 (Hot Atom Chemistry of Aromatic Halides : Scavenger, Temperature and Oxygen Effect)

  • 최재호;박용찬;손미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8-80
    • /
    • 1965
  • The organic yields(i.e., fraction of nuclear events resulting in organic compound formation) of the radioactive neutron capture reactions of the halogens in purified aromatic halides have been determined in the liquid and solid state, in the presence of scavenger, elemental halogen for thermal atoms, and in the presence of oxygen. Among the important results are; (1) organic yields of the halides are due in part to hot processes and in part to thermal processes; (2) temperature (from liquid state to solid state); (3) the organic yield of chlorobenzene is the same in the solid phase as in the liquid phase whereas the yields of the bromo-and iodobenzene are higher in the solid.

  • PDF

1,4-Bis(silyl)benzene의 고리화반응에 의한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s 리간드의 합성 (Synthesis of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s)

  • 공영건;안영만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2-87
    • /
    • 1997
  • 다양한 bis(silacyclopentadienyl)aromatic 화합물 합성에 필요한 전구체인 1,4-bis(alkyldichlorosilyl)benzene을 합성하였다. 이 전구체에 1,4-dilithio-1,2,3,4-tetraphenyl-1,3-butadiene을 첨가하여 고리화반응을 시킴으로써 리간드로 또는 안정한 silacyclopentadienyl anion 전구체로 사용될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을 합성하였다.

  • PDF

The crystal structure of pirprofen$(C_{3},\; H_{14},\; ClNO_2$), a non-steroidal antiinflammmatory agent

  • Kim, Yang-Bae;Park, Il-Ye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71-73
    • /
    • 1996
  • The molecular structure of pirprofen, 3-chloro-4-(2,5-dihydro-1H-pyrrol-1-yl)-.alpha.-methyl-benzeneacetic acid, was determined by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compound was recrystallized from a mixture of chloroform and toluene in triclinic, space group P over $\bar1,\; with\; a=4.577(1),\; b=11.213(2),\; C=12.485(2){\AA},\alpa.=107.39(1),\;\beta=97.79(1),\;\gamma=92.03(2),\; and Z=2$ The calculated density is $1.384 g/cm^3$. The structure was solved by the direct method and refined by full matrix least-squares procedure to the final R value of 0.034 for 1681 independent reflections. The non-aromatic dihydropyrrol group is found to be coplanar to the central aromatic ring. The molecules are dimerized through the intermolecular hydrogen bonds at the carboxyl group in the crystal.

  • PD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arcinogenicity and Self-atom Polarizability Index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Their Metabolites

  • Park, Byung-Kak;Suh, Man-Chul;Paek, U-Hy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3호
    • /
    • pp.183-185
    • /
    • 1986
  • Self-atom polarizability were calculated for 17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their metabolites by LCAO-MO method and examined the relation with the carcinogenicity. It has been found that ${\pi}_{1.2.4}$, the sum of self-atom polarizability of 1, 2 and 4 positions forming trans-butadiene frame in a compound, agree quite well with the observed carcinogenic activity, and also, ${\pi}_{1.2.4}$ value increase with the metabolic activiting in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facts that parent carcinogens activated with metabolism. Accordingly, we suggest that the 1, 2 and 4 positions in the carcinogenic compound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chemical carcinogenesis, and also self-atom polarizability, as one of theoretical reactivity indices, is to be used as a measure of carcinogenic activity.

리그닌 화합물의 열분해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Studies on the Pyrolysis of Lignin Compounds)

  • 황병호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35-41
    • /
    • 2001
  • 리그닌 모델화합물 Ⅰ-Ⅳ의 시료를 315℃에서 열분해 시킨 결과, 리그닌 모델호합물 Ⅰ, Ⅱ의 열분해에서는 guaiacol이 0.47mol, DMP가 0.57mol로, DMAP는 0.12와 0.23mol로 각각 생성되었으며, 리그닌 모델화합물 Ⅲ, Ⅳ의 열분해에서는 guaiacol의 생성이 0.26mol, DMP가 0.30mol로 TMAP는 0.09mol 과 0.15mol이 각각 생성되었다. 리그닌 모델화합물 열분해 메커니즘으로서는 우선 탈수되고, 이어서 β-O-4 결합이 개열되어 guaiacol, DMP, DMAP와 TMAP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생물을 이용한 L-트립토판 유래 방향족 화합물 생산 최근 연구 (Recent Research Progress in the Microbial Production of Aromatic Compounds Derived from L-Tryptophan)

  • 이지영;이진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19-929
    • /
    • 2020
  • 방향족 화합물은 화학, 식품, 고분자, 화장품, 의약 산업 등에 이용되는 중요한 물질로, 현재까지 대부분 화학 합성법 또는 식물 추출법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화석 연료의 고갈, 지구 온난화, 환경규제의 강화, 식물자원의 과다한 채취 등의 많은 위협요인에 직면하면서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을 이용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공학적 방법으로 방향족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유망한 대안이다. 대사공학이 합성생물학과 접목되면서, L-트립토판 생합성 경로 유래의 인공 생합성 경로가 재 구축되어 5-히드록시트립토판, 세로토닌, 멜라토닌, 7-염화-L-트립토판, 7-브로모-L-트립토판, 인디고, 인디루빈, 인돌-3-초산, 바이오라세인, 데옥시바이오라세인과 같은 다양한 고부가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총설은 이러한 방향족 화합물의 특성, 용도, 생합성 경로를 요약하였다. 또한 방향족 화합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하기 위한 최신의 대사공학 전략과 생산 농도를 올리는데 제기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 등을 정리하여 보고한다. 시스템 대사 공학에 기반한 균주 개발과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을 사용한 배지 및 생물공정의 최적화가 이루어지면 방향족 화합물의 미생물 생산을 위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기술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산 씀바귀의 Flavonoid 성분에 관한 연구 (Flavonoidal constituent in Korean Lactuca dentata Makino)

  • 정강현;윤광로;김준평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6
    • /
    • 1994
  • 한국산 씀바귀(Lactuca dentata Makino)의 ethylacetate 추출물에서 6 종류의 flavonoid 성분이 TLC에 의해서 검출 되었으며, 이들은 극성에 따라서 A에서 F가지 명명되었다. 그들 중 주성분으로 생각되는 물질 E를 column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리정제 하였다. 물질 E의 녹는 점은 $249.5^{\circ}C-251^{\circ}C$ 로 나타났으며, 그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물질 E와 이를 가수분해한 genin에 대한 여러가지 shift reagent에서 UV와 IR분석을 하고 또한 물질 E와 그의 acetyl 유도체에 대한 NMR 분석을 하였으며 물질 E에 결합된 당은 TLC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분석 결과에서 물질 E는 luteolin 모핵에 glucose가 결합된 $luteolin-7-0-{\beta}-D-glucoside$로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