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42초

적외선(赤外線)(IR) 분광법(分光法)에 의한 고목재(古木材) 성상(性狀)의 심지(深知) (Application of Infrared Spectroscopical Techniques for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Woods)

  • 김윤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3-9
    • /
    • 1988
  • Infrared (IR) spectroscopic techniques for the analysis of wood samples and the absorbance spectra of solid woods were presented. KBr pellets were prepared by throughly mixing approximately 300 mg of dried KBr and 1 mg of finely milled wood powder extracted with ethanol-cyclohexane previously. This mixture was made into a transparent disc by means of a pellet-making die (10 ton/$cm^2$ for 10 min). This IR techniques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wood samples. The most notable difference in the IR spectra between the recent and the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s is that the absorption band centered at $1,730cm^{-1}$ was significantly diminished in the waterlogged ones. Total loss of absorption in $1,730cm^{-1}$ might be mainly due to the result of hemicellulose degradation. Another feature indicated by IR spectral comparision are that the degraded waterlogged wood samples showed 1) the increased intensity of the 1,600, 1,500 and $1,270cm^{-1}$ due to the residual lignin and the increased intensity at 1,470 and $1,425cm^{-1}$ due to the degradation of hemicellulose and 2) to the emergence of single band around $1,050cm^{-1}$ instead of three bands at 1,110, 1,060 and $1,040cm^{-1}$ in recent wood due to the degradation of cellulose crystalline. It was revealed from the IR examinations that the first change of wood in the waterlogged situation was the lysis of hemicellulose and the second the lysis of cellulose. It was also suggested that IR spectroscopy could serve a fast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rchaeological wood samples.

  • PDF

수침고목재의 흑화 원인과 제거방법에 관하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Removal the Cause of Blacken Effect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 양석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413-430
    • /
    • 2007
  • 우리나라 저습지에서 출토되는 목제유물은 대부분 흑갈색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매장 환경의 주체인 토양성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주 동림동 저습지 유적과 창녕 송현동 고분군 내의 토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유적 모두 Si, AI, Fe 등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난 바가 있다. 또한 신안선과 광주 동림동 및 창녕 송현동 고분 출토 목재의 무기물 분석에서도 모두 토양의 주성분인 Si보다 Fe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성분과 함유량에 있어서도 유사함을 보였다. 출토지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Fe 함량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장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중 Fe는 목재의 열화로 생성된 타닌과 반응하여 타닌산 제I철이 되고, 산소와 결합하여 타닌산 제II철이 되므로 흑색을 띠게 된다. 이러한 목재흑화의 주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Fe은 EDTA를 사용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제거가 가능하다. EDTA를 통해 흑화된 목재에서 Fe을 제거하는 실험을 한 결과 EDTA-2Na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72시간 동안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다시 EDTA와 반응시켜 Fe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흑화현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수침고목재(水浸古木材)의 화학조성(化學組成) (Chemical Composition of Archaeological Woods Submerged in the Seawater)

  • 김윤수;방주완;김익주;최광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3-7
    • /
    • 1990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inese red pine (Pinus massoniana) submerged in the Yellow Sea for more than 700 years has been examined. When compared to the recent wood, the marked chemical changes in the waterlogged wood is the higher amount of lignin with lesser amount of holocellulose and abnormally high ash content. In the heavily degraded samples, the degradation of cellulose is more severe than that of hemicellulose. However, hemicellulose is much more attacked than the cellulose at the initial stage of deterioration in the sea water. Chemical analysis suggests that the cellulolytic marine microorganisms, whether they are fungi or bacteria. can be regarded as the primary agents for the destruction of the archaeological woods submerged in the sea water.

  • PDF

세균에 의한 수침고목재 피해양태의 초미시구조적 관찰 (Ultrastructural Observation of Bacterial Attacks on the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 김윤수;최지호;배현종
    • 보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1
    • /
    • 1992
  • Micromorphological changes in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excavated from Sweden and Germany were investigated. Especially bacterial attacks on those wood samples under near anaerobic conditions were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The major feature of micromorphological alterations in those wood samples was the preferential destruction of secondary wood cell wall. In contrast, the middle lamella was not extensively degraded. Three distinct degradation patterns by bacteria were observed : erosion, cavitation and tunnelling bacteria. Erosion and cavitation bacteria attacked primarily $S_2$ layer, whereas tunnelling bacteria made the tunnel-like degradation along the $S_1$ layer. Tunnelling bacteria, in some samples, were able to degrade tunnel in the lignin-rich areas, such as middle lamella, suggesting that these bacteria had the capacity to degrade the lignin. IR spectra indicate that hemicellulose and cellulose in the waterlogged woods were preferentially decomposed. Breakdown of the lignin, on the other hand, was much slower.

  • PDF

해양에서 열화된 완도선 수침고목재의 화학적.미시형태적 변화 (Chemical and micromorphological changes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 degraded in marine situations.)

  • 김익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1호
    • /
    • pp.87-105
    • /
    • 1990
  • Chemical and micro morphological changes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s from shipwrecked materials in marine situations were investigated which were submerged in seabed for over 900 years. Tested Wood species were Pinusdensiflora, Zelkova serrata, Quercus acutissima and Camellia japonica.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lignin content was increased, whereas the amout of holocellulose was heavily decreased in the degraded archaeological lwoods(DAW), when compared to the recent woods. The amount of alkalineextractives in the DAW was extremley high. IR spectra showed that disappearance of absortion band at $1,730㎝^-1$ intensity increase at 1,600, 1,500 and $1,270㎝^-1$ and the emergence of single band around $1,050㎝^-1$.Microscopic investigation showed that cell wall of latewood tracheids and fiber in the DAW were severely degraded while, early wood tracheids less degraded. Degradation in the cell wall was mainley occurred in $S_2$layer, while the middle lamella was the least degraded. The micr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W were separation of secondary wall from middle lamella, cavities aligned with micro fibril angle in $S_2$layer and granular appearance of secondary wall by the bacterial attack.

  • PDF

세척 후 수침고목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Alter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After Cleaning)

  • 차미영;이광호;김윤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19-30
    • /
    • 2006
  • 저습지에서 출토된 상수리나무를 재료로 세척에 따른 수침고목재 내 이물질의 제거 효과와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침고목재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무기성분은 수침고목재가 매몰된 토양환경의 성분과 거의 동일하였다. 보존처리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세척방법 즉, 도구법, 탈기법, EDTA법 및 초음파세척법을 적용하여 독립적 혹은 연속적 방법으로 수침고목재를 세척하였다. 독려세척의 경우 도구법에 의해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고, EDTA 처리에 의해 표면 색상이 밝아졌다. 그러나 탈기법과 초음파에 의한 세척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속 세척의 경우 1단계 세척(도구법)은 독립세척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으며, 2단계 세척인 탈기법은 수침고목재 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했다. 탈기법이 무기물의 제거에는 적절하지 않았지만, 탈기 후 수침고목재가 균일화되어 치수안정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3단계 EDTA처리는 수침고목재 내의 철분(Fe)을 제거함으로써 수침고목재의 색상이 밝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4단계 세척은 3단계 세척시 목재 내에 잔류한 약품(Na)과 미세 이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 PDF

재활용 PEG를 이용한 수침 고버드나무의 치수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Salix koreensis Andersson Treated with Recycled PEG)

  • 양석진;이수;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5-641
    • /
    • 2014
  • 수침고목재는 보존을 위해 치수안정화의 공정이 필요하다. PEG는 목재의 치수안정화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PEG 40% 함침 후 동결건조 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PEG처리 후 폐액은 목재로부터 침출된 유기물에 의해서 검게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폐액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폐액의 검은색은 제거 가능하다. PEG는 보존처리 전, 후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 후에도 그 물성이 변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재활용된 PEG를 이용하여 수침고목재의 치수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수안정화에 사용된 용액의 PEG와 재활용 PEG의 비율을 10:0, 7:3, 5:5, 3:7, 0:10 (pure PEG : 재활용 PEG)으로 하였다. 그리고 수침고목재를 용액의 농도 10, 20, 30, 40%로 각각 5일간 함침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25%의 중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 세포를 관찰한 결과 PEG의 함침은 매우 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치수변화율은 4%이하로 모든 시료 동일하게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어 재활용 PEG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는 것은 새 PEG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침고목재의 처리조건에 따른 PEG 침투상태 (Penetration of PEG by Treatment Condition of Waterlogged Wood)

  • 이경철;이종신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3-247
    • /
    • 2013
  • 최대함수율 660%, 전건비중 0.15의 소나무를 대상으로 처리조건에 따른 PEG 침투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PEG 용매, 함침농도, 함침기간, 함침온도에 따른 중량변화율을 구하고 SEM을 이용하여 목재 세포 내부의 PEG 침투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PEG의 침투에 용매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함침농도는 고농도에서 중량증가율이 높았고, 함침기간은 20일에서 가장 큰 중량증가율을 보였으며, 함침온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PEG를 이용한 최대함수율 660%의 소형 수침고목재의 처리 시 20일 정도의 함침기간으로 충분한 PEG 침투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construction of Vegetation During $9^{th}$ Century in Southern Korea: Anatomical and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Waterlogged Woods Excavated at Cheonghea-jin Fort

  • Han, Sang-Hyo;Park, Won-Kyu;Kim, Yo-Jung;Jung, Suk-Bae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2
    • /
    • 200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woods that were excavated at Jangdo Island. The Jangdo site is located in a small island some 180 meters away from the main island of Wando, Jeollanam-do in southern Korea. This site is known as Cheong-Hea Jin fort for the marine King Jang Bogo during the early 9$^{th}$ century. Total of 101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ree groups; small-size piles, log fences (Mok-check) and logs from a well. The species of the group of piles consisted of Quercus spp. (43%), Pinus densiflora (29%), Pinus koraiensis (5%), Alnus japonica (3%), Fraxinus spp. (3%), Styrax obassia (3%), Juglans spp. (2%), Zelkova serrata (2%), Platycarya strobilacea (2%), Celtis spp. (2%), Torreya nucifera (2%), Quercus myrsinaefolia (2%), and Cinnamomum spp. (2%). The species of Mok-check and logs from the well were identified as all Pinus densiflora. The species composition indicated that the climate around A. D. 9th-10th century in southern Korea was similar to the present.. The wooden fences were also examined for tree-ring analysis. The ages of woods were 50∼60 years. We made two site chronologies. The chronologies indicated that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fences were repaired frequently. The results could not give the absolute dates due to lack of reference chronologies in this period.

  • PDF

광주신창동저습지유적출토수침목재의수종식별 - 2005년광주 ~ 장성간도로확장공사구간내 - (Species Identification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Excavated at Shinchang-dong Wetland Site)

  • 박영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0권
    • /
    • pp.29-42
    • /
    • 2009
  • 본 연구는 국립광주박물관이 발굴 조사한 광주~장성간 도로확장공사 구간 내에서 출토된 수침고목재 25점에 대한 수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참나무과 상수리나무류 9점, 참나무과 졸참나무류 6점, 참나무과 밤나무속 3점,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2점,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점, 장미과 벚나무속 1점, 뽕나무과 뽕나무속 1점, 물푸레나무과 이팝나무속 1점, 두릅나무과 오갈피나무속 1점으로 식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