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amid/nylon hybrid A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건·습 텍스쳐링 가공조건이 방호의류용 Aramid ATY와 Aramid/Nylon hybrid 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al Properties of Aramid and Aramid/Nylon Hybrid ATY for Protective Garments according to the Dry and Wet Texturing Conditions)

  • 박미라;김현아;김승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44-451
    • /
    • 2013
  • This paper surveys the physical properties of aramid and aramid/nylon hybrid air-jet textured yarns(ATY) for protective garments according to wet and dry texturing conditions. Aramid and nylon filaments were used to make two kinds of para-aramid ATY and four kinds of aramid/nylon hybrid ATY with dry and wet treatments. The analyzed physical properties of six specimens (made on the ATY machine) are as follows. The tenacity and initial modulus of aramid and aramid/nylon hybrid ATY decreased with the wetting and breaking strain; however, the yarn linear density of aramid and hybrid ATY increased with wetting treatment. The dry and wet thermal shrinkage of the hybrid ATY increased with wetting. The stability of aramid and hybrid ATY also increased with wet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re/effect type hybrid ATY showed significantly more change than the core type hybrid ATY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nylon/aramid core/effect hybrid ATY showed significantly more change than the of aramid/nylon core/effect hybrid ATY. A higher bulky and breaking strain of hybrid ATY require ATY processing conditions of nylon on the core part with wetting and aramid on the effect part. ATY processing conditions for nylon and aramid on the core part with wetting are required for a higher tenacity and modulus. ATY processing conditions of nylon and aramid on the core with no wetting are required for a low thermal shrinkage.

ATY 노즐 직경에 따른 방호의류용 아라미드와 아라미드/나일론 하이브리드 ATY사의 물성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Aramid and Aramid/Nylon Hybrid ATY for Protective Garments relative to ATY Nozzle Diameter)

  • 최라희;김현아;김승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37-443
    • /
    • 201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aramid and aramid/nylon hybrid air jet textured filaments for protective garments relative to ATY nozzle diameters. Three types of para-aramids(840d, 1,000d, 1,500d) and nylon(420d) filaments were prepared; in addition, 840d aramid/420d nylon and three kinds of aramid filaments were texturized with a variation of air jet nozzle diameters(0.6, 0.75, 1 and 1.2 mm) on the AIKI air jet texturing machine. The measured physical properties of 16 specimens are as follows. The linear densities of aramid and aramid/nylon hybrid ATY increased with a larger nozzle diameter. The tenacity and initial modulus of aramid and hybrid ATY linearly decreased with a larger nozzle diameter; in addition, the breaking strain increased with the nozzle diameter. The dry and wet thermal shrinkage of hybrid ATY increased with a larger nozzle diameter from 0.6 mm to 1 mm and then decreased at a nozzle diameter of 1.2 mm (which seems to be a critical diameter). The wet and dry thermal shrinkage of aramid/nylon hybrid ATY are influenced by the nylon part of the hybrid yarns because the wet and dry thermal shrinkages of aramid ATY are less than 0.2%. The instabilities of aramid and aramid/nylon hybrid ATY were not influenced by the air jet nozzle diameter; however, they increased with the linear density of ATY.

Nylon/아라미드 원사특성이 방호의류용 에어텍스쳐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ylon/Aramid Filaments Characteristics on the Physical Property of Air Textured Yarns for Protective Garment)

  • 김현아
    • 감성과학
    • /
    • 제17권3호
    • /
    • pp.75-82
    • /
    • 2014
  • 본 연구는 에어제트텍스쳐링 장치에서 공급되는 코어사와 이펙트사인 아라미드와 나일론의 구성이 방호의류용 아라미드/나일론 ATY와 아라미드 ATY의 물성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아라미드 필라멘트 표면의 매끄러움 때문에 아라미드 ATY의 강도 저하는 나일론 ATY에 비해 훨씬 높았다. 아라미드/나일론 ATY 강도는 ATY의 이펙트사인 나일론의 강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다. 나일론 ATY의 절단신도는 에어제트텍스쳐링 이전의 나일론에 비해 두 배정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아라미드 ATY와 아라미드/나일론 ATY는 에어제트텍스쳐링 이전에 비해 5.9~6.7배 정도로 높았다. 아라미드 ATY의 초기탄성률은 아라미드의 에어제트텍스쳐링 이전에 비해 86.5%정도 감소하였으며, 아라미드/나일론 ATY의 초기탄성률은 아라미드 ATY와 나일론 ATY 초기탄성률의 산술평균치를 나타내었다. 아라미드/나일론 하이브리드 ATY의 습 건열 수축률은 나일론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ATY Nozzle 직경변화에 따른 Aramid/Nylon Hybrid사의 ATY 물성 (Analysis on Physical Property of Para-aramid/Nylon Hybrid filaments according to the ATY nozzle Diameter)

  • 박미라;최라희;마혜영;박성우;김승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64-64
    • /
    • 2012
  • 아라미드는 일반적인 유기섬유와는 다른 우수한 역학적 성질을 바탕으로 보호의류 중에서 방탄방호 및 방검보호 의류에 사용되는 고부가 소재이다. 현재까지 ATY기계에서 사의 구조와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Nozzle의 구조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이 발표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소방방화방 검용 보호의류에 많이 사용되는 아라미드사에 ATY 공정 중에서 Nozzle의 직경이 ATY사의 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발표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ra-aramid/Nylon hybrid사를 이용하여 ATY로 제조할 경우, 표면에 생기는 loop로 인하여 타 소재와 접착시, 접착제 담지 성능이 향상되어 접착력이 상승되는 반면 아라미드 Hybrid사의 역학물성은 ATY가 가공되기 전의 물성보다 저하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TY 제조공정에서 Nozzle의 직경을 달리할 때 Aramid/Nylon Hybrid ATY사의 물성변화를 분석함으로서 방화복과 방검용 보호의류에 적합한 아라미드 ATY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ATY 제조공정 중 다른 공정조건은 동일하게 하고 Nozzle의 직경을 0.6, 0.75, 1, 1.2mm로 변경하여 4가지 시료를 준비하고 물성분석을 위하여 제조된 시료의 강신도, 초기탄성률을 각각 측정하여 인장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건열수축률과 습열수축률을 측정하여 시료의 열 수축률을 측정 분석하였다. 표면의 루프 발현 정도를 보기위하여 형태 불안정성을 측정 평가하였으며 영상현미경시스템을 사용하여 표면특성을 측정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Nozzle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절단강도는 30% 감소하였고 초기탄성률은 3배 가까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절단신도는 2배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Nozzle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ATY hybrid사의 건 습열수축률이 증가하다가 직경이 1.2mm일 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직경 변화에 따라 4~6%의 열 수축률의 분포를 보였다. Para-aramid/Nylon hybrid사의 형태불안정성은 0.3~0.5%를 분포를 나타내었고 Nozzle의 직경이 0.6, 1mm일 때 상대적으로 낮은 ATY의 불안정성이 확인되었다. Nozzle의 직경이 감소할수록 loop의 엉킴이 적으며 flat하였으며 직경이 1.2mm일 때 가장 조밀하고 표면에 loop가 많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중공 복합사 특성이 고감성 의류용 직물의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llow Composite Yarn Characteristics to the Comfort Property of Fabrics for High Emotional Garment)

  • 김현아
    • 감성과학
    • /
    • 제17권4호
    • /
    • pp.71-78
    • /
    • 2014
  • PET 중공필라멘트 복합 DTY(Draw Textured Yarns)와 ATY(Air-jet Textured Yarns)는 경량의 스포츠 의류를 포함한 고감성 의류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공섬유 복합 DTY와 ATY 복합사 직물의 수분 및 열이동에 관계되는 쾌적특성에 중공 복합사 및 직물의 구조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분석이다. 기공의 크기가 큰 중공 복합 직물의 흡수성이 우수하였고 커버팩터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ATY사 직물이 DTY사 직물에 비해 흡수성이 우수하였다. 반면, 건조특성은 기공 사이즈가 미세한 직물이 기공사이즈가 큰 직물보다 건조시간이 짧았으며 낮은 커버팩터와 기공 사이즈가 작은 하이멀티사 직물이 중공 복합직물에 비해 건조 특성이 우수하였다. 직물의 기공 사이즈는 공기투과도와 열전도도 특성에 가장 중요한 인자였다. 직물의 큰 기공도는 중공 복합 직물의 기공도와 열전도도에 비선형적인 반비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