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riori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2초

복합 해쉬트리를 이용한 효율적인 연관규칙 탐사 알고리즘 (An Efficient Algorithm for Mining Association Rules using a Compound Hash Tree)

  • 이재문;박종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3호
    • /
    • pp.343-35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연관 규칙 탐사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복합 해쉬 트리를 사용하여 해쉬 트리 탐색 비용과 데이터베이스 스캔 비용을 동시에 줄임으로서 성능을 향상시켰다. 복합 해쉬 트리는 같은 크기의 항목집합들 대신에 크기가 다른 여러 항목집합을 하나의 해쉬 트리로 구성한다. 복합 해쉬 트리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은 잘 알려져 있는 Apriori, DHP 방밥과 수행 시간 측면에서 성능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최소 지지도에서제안한 알고리즘이 Apriori, DHP 방법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최소 지지도가 0.5% 이하인 경우 DHP 방법에 비하여 약 30%의 이득 향상이 있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연관규칙과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상품그룹추천 (Product-group Recommendation based on Association Rule Mining and Collaborative Filtering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김재경;오희영;권오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3-123
    • /
    • 2007
  •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such as ubiquitous marketplace (u-market), there is a need of providing context-based personalization service while considering the nomadic user preference and corresponding requirements. To do so, the recommendation systems should deal with the tremendous amount of context data.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ovel recommendation method which provides the products-group list of the customers in u-market based on the shopping intention and preferences. We have developed FREPIRS(FREquent Purchased Item-sets Recommendation Service), which makes recommendation listof product-group, not individual product. Collaborative filtering and apriori algorithm are adopted in FREPIRS to build product-group.

점진적인 순차 패턴 갱신 알고리즘 (An Incremental Updating Algorithm of Sequential Patterns)

  • 김학자;황환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3권5호
    • /
    • pp.17-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트랜잭션이 추가되었을 때 순차 패턴을 갱신하는 문제를 연구하였다. 트랜잭션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환경에서 기존에 발견된 빈발 시퀸스를 재사용하여 순차패턴을 갱신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후보 집합의 개수를 효율적으로 줄임으로써 AprioriAll이나 PrefixSpan 알고리즘보다 좋은 성능을 보임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사용자 웹 사이트 방문 시간을 고려한 연관 규칙 (Association Rule by Considering Users Web Site Visiting Time)

  • 강형창;김철수;이동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4-109
    • /
    • 2006
  • We can offer suitable information to users analyzing the pattern of users. An association rule is one of data mining techniques which can discover the pattern. We use an association rule which considers the web page visiting time and we should the pattern analyse of users. The offered method puts the weights in Web page visiting time of the user and produces an association rule. Weight is web page visiting time unit divide to total of web page visiting time. We offer rather meaningful result the association rule by Apriori algorithm. This method that proposes in the paper offers rather meaningful result Apriori algorithm

Big Data Analysis in School Adjustment Factors using Data Mining

  • Ko, Su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1호
    • /
    • pp.87-97
    • /
    • 2019
  • Data mining technology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because it is a technique for analyzing vast amount of data and finding usefu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big data analysis method that uses Apriori algorithm, which is a data mining technique, to find the related factors that have negative and positive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related to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data showing parental inclina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of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freshman students, respectively and we have mapped the useful association rules among them. As a result,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growth process, we were able to find interesting rules by looking for connections between rule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verall, they were associated with positive variables.

서픽스 검사를 이용한 단계적 순차패턴 분할 탐사 방법 (A Partition Mining Method of Sequential Patterns using Suffix Checking)

  • 허용도;조동영;박두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590-598
    • /
    • 2002
  • 효율적인 순차패턴 마이닝을 위해서는 후보패턴의 생성 비용을 줄이고 동시에 생성된 후보패턴에 대한 탐색공간을 줄여야 한다. 그러나 이전에 개발된 알고리즘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Apriori-like 방법들은 알고리즘은 단순하지만 많은 크기의 후보패턴 집합생성, 대용량 데이터 베이스의 반복적인 탐사 등의 문제점이 있고, PrefixSpan[2]은 단계별로 분할된 프레픽스 프로젝티드(prefix projected) 데이터 베이스들을 구성 하여 후보패턴의 지지도 계산을 위한 탐색 공간을 줄이지만 프로젝티드 데이타베이스들의 구성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순차패턴 마이닝 방법인 Suffixspan(Suffix Checked Sequential Pattern mining)을 제 안한다. Suffixspan은 순차패턴 집합의 단계별 분할특성과 서픽스(suffix) 특성을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작은 크기의 후보패턴 집합을 생성하고, 1-프레픽스 프로젝티드 데이타베이스를 구성하여 후보패턴 검사를 위한 탐색공간을 줄인다.

  • PDF

U-마켓에서의 매장 추천방법 (A Store Recommendation Procedure in Ubiquitous Market)

  • 김재경;채경희;김민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45-63
    • /
    • 2007
  •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한 시장, 즉 U-마켓에서는 고객이 제품을 구매함과 동시에 고객의 정보가 u-마켓 서버시스템에 저장되어 인터넷 쇼핑몰과 같이 다양한 분석과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물리적인 공간과 가상 공간이 결합된 유비쿼터스 기반의 시장 환경에서는 고객이 오프라인에서 다양한 매장을 방문하면서 쇼핑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여러 매장에 동일한 제품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매장의 위치, 매장 분위기,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 등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고객 개개인에게 적절한 매장을 추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한 시장에서 고객의 쇼핑 상황을 고려하여 고객의 선호를 반영할 수 있는 매장 추천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매장 추천방법은 협업 필터링과, Aprior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 쇼핑몰과는 다르게 U-마켓에서는 고객 개개인의 구매목록과 고객의 선호도를 반영한 매장 추천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매장 추천방법은 고객의 쇼핑경험을 극대화 하고 쇼핑 효율성을 제고시킬 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출증대를 통해 U-마켓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priori 알고리즘 기반의 중소 베이커리 기업의 대응 전략 (SME Bakery's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Apriori Algorithm)

  • 김도훈;이현준;이봉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28-337
    • /
    • 2022
  • COVID-19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의 활성화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를 촉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량이 부족하고 COVID-19로 수입 감소를 겪고 있는 중소 베이커리 기업의 10년간 매출 데이터로 Aprior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연관규칙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오프라인 마켓 중심에서 온·오프라인 B2B, B2C 시장으로 전환하고, 다품종 소량 판매에서 소품종 대량판매 전략을 취하는 것이 경영 개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각화된 마케팅 전략에 따른 다양한 채널의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습하면 많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략 대응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라벨 트리 데이터의 빈번하게 발생하는 정보 추출 (Frequently Occurred Information Extraction from a Collection of Labeled Trees)

  • 백주련;남정현;안성준;김응모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65-78
    • /
    • 2009
  • 트리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들을 추출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빈번하게 자주 발생하는 서브트리 패턴들을 얻는 것이다. XML 마이닝, 웹 사용 마이닝, 바이오인포매틱스, 네트워크 멀티캐스트 라우팅 등 빈번 트리 패턴 마이닝은 여러 다양한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패턴들을 추출하기 위한 많은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트리 마이닝 알고리즘들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는 특히 대량의 트리 데이터 집합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더 심각해진다. 주요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들로는, (1) 계층적 트리 구조의 데이터 모델링, (2) 후보군 유지를 위한 고비용 계산, (3) 반복적인 입력 데이터 집합 스캔, (4) 높은 메모리 의존성이 대표적이다. 이런 문제점들을 발생하게 하는 주요 원인은, 대부분의 기존 알고리즘들이 apriori 방식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과 후보군 생성과 빈발 횟수 집계에 anti-monotone 원리를 적용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저자들은 apriori 방식 대신 pattern-growth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빈번 서브트리 추출 대신 최대 빈번 서브트리 추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제안된 방법은, 빈번하지 않은 서브트리들을 제거하는 과정 자체를 배제할 뿐만 아니라, 후보군 트리들을 생성하는 과정 또한 전혀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전체 마이닝 과정을 상당히 개선한다.

  • PDF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에서 빈번한 최대길이 연속 서열 마이닝 (Mining Maximal Frequent Contiguous Sequences in Biological Data Sequences)

  • 강태호;유재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2호
    • /
    • pp.155-162
    • /
    • 2008
  • DNA 염기 서열이나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과 같은 생물학적 서열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항목들을 가지고 있다.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에는 보통 빈번하게 발생하는 수 백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연속된 서열들이 존재한다. 이들 서열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연속 서열을 검색하는 것은 생물학적 서열 분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전에는 순차 패턴을 효과적으로 발견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대부분의 기존 순차패턴 마이닝 기법들은 Aprior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PrefixSpan 알고리즘은 Apriori 기반의 가장 효율적인 순차패턴 마이닝 기법이다. 하지만 이 알고리즘은 길이-1인 빈발 패턴들로 부터 서열 패턴을 확장해나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길이가 긴 연속 서열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데이터서열들에 대한 검색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최근에는 기존의 PrefixSpan방식을 이용하면서도 반복적인 처리과정을 줄인 MacosVSpan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알고리즘 또한 길이가 긴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로부터 빈번하게 발생하는 연속 서열들을 검색하기에는 효율적이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양의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로부터 빈번한 연속서열을 고정길이 확장 트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식이 MacosVSpan알고리즘에 비해 검색성능이 보다 우수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