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arent fruit qualit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Different Rootstocks on Fruit Quality of Grafted Pepper (Capsicum annuum L.)

  • Jang, Yoonah;Moon, Ji-Hye;Lee, Ji-Weon;Lee, Sang Gyu;Kim, Seung Yu;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687-69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grafted peppers (Capsicum annuum) on different rootstocks on fruit quality. Three pepper cultivars, 'Nokkwang', 'Saengsaeng Matkkwari', and 'Shinhong' were grafted onto five commercial rootstocks that are known to be resistant to Phytophtora blight. Non-grafted or auto-grafted peppers were used as controls. Grafted plants were grown during two consecutive harvest periods by semi-forcing culture (April to August) and retarding culture (September to March the subsequent year). Full size green fruits were harvested and weighed weekly from June to August (Semi-forcing culture) and from December to March of the subsequent year (Retarding culture). The fruit size, weight, flesh thickness, and firmness were measured every month. Total marketable yield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ither auto-graft of 'Nokkwang', 'Saengsaeng Matkkwari', and 'Shinhong' of pepper or grafted with the five commercial rootsctocks. By contrast, grafting influenced the apparent fruit quality of peppers. Fruit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 rootstock cultivars. However, the fruit characteristics of rootstock did not affect the fruit characteristics of scion grafted onto that rootstock. Fruit characteristics in each treatment differed among harvest time (first, second, and third harvest). Fruit quality parameters were also different as affected by the harvest period. In conclusion, apparent quality and textural property of pepper fruits were influenced by not only grafting with different rootstocks but also by the harvest period and harvest time. Accordingly, rootstock/scion combination, the scion variety and the harvest period must be carefully chosen to get the desired optimal fruit quality.

유기질비료 및 수종의 성장조절제처리가 토마토 수량 구성요소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and Several Plant Growth Regulators on Yield Components and Quality of Tomato under the Plastic Film House Condition)

  • 심재성;김영칠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
    • /
    • pp.161-177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nd plant growth regulators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omat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lant height of tomato was recorded highest when chemical fertilizer plus organic fertilizer was applied, and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in number of leaf. But stem diameter was positively effected by chemical plus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than chemical fertilizer alone. 2. Flower formation, flower weight, anther weight and ovary weight were generally increas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3. Fruit-set and number of flow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4. Deformity fruit was the lowest rate at chemical plus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when it was 14.7 percent, and it was increased by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5. Days of ripening was slightly delay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nd also flowering date shortened by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6. Plant growth regulators had positive effects on number of flower, flower weight, anther weight, and ovary weight, and variations of their effect by cluster were apparent. 7. Fruit-set was increased by 2,4-D 10ppm and BA 20ppm treatments but was decreased by treatments of Ethephon 10ppm and control. 8. By the BA 20ppm and 2,4-D 10ppm treatments, the rate of deformity fruit was decreased and fruit ripening date was also shortened.

  • PD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Treatment Delays Leaf Senescence and Improve Fruit Storability in Melon (Cucumis melo L.)

  • Hong, Ji-H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58-161
    • /
    • 2012
  • The influence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on anti-senescence of melon leaves and the change in fruit quality during the storage at low temperature were studied. In most of the crops, freshness of leaves is important factor for characteristics of fruits, such as sugar contents, color, and firmness. Melon ($Cucumis$ $melo$ L. cv. Prince) plants were sprayed with LPE at 5 and 3 weeks before commercial harvest. In upper part, LPE treatment showed slight high number of fresh leaf compared to no treatment (None). However, in lower part, LPE resulted in apparent inhibition effect on senescence, showing that lower side of melon plant kept fresh upon LPE application up to about 30%. The SSC of melon treated with LPE was similar to that of fruit from None at harvest. There was no change in soluble solids content (SSC) for all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at $7^{\circ}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rmness of mesocarp from melons given different treatments at harvest. The firmness of mesocarp from melon treated with LPE was higher than none after 2 weeks storage. The electrolyte leakage means for melon treated with LP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means at initial storage after 2 weeks storage among the treatments. None increased 57% from its initial electrolyte leakage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LPE may have potential to inhibit senescence of leaves and maintain fruit quality during the storage in melon.

칼슘제 및 IBA 처리가 '부유' 단감과실의 칼슘함량 및 과정부 갈변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and Indole-3-butyric acid Treatments on Calcium Concentration and Stem-End Browning in 'Fuyu' Sweet Persimmons)

  • 김영;김월수;최현석;구멍멍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9-462
    • /
    • 2009
  • 단감 '부유' 품종은 저장 단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저장중 발생하는 과정부갈변 현상과 과피흑변 현상은 과일의 상품성 저하의 주 원인이 되고 있으며, 과실내에서 칼슘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위에서 단감의 갈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재배 중 토양관주 및 엽면시비가 토양 수체 및 과실내 칼슘 함량과 갈변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과실중 칼슘 함량은 Ca 엽면시비에서 칼슘 함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Ca + IBA 처리구와 Ca 관주 처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관주처리에 의한 흡수가 일정부분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과일부위별 칼슘 함량은 경와부>적도면>과정부 순으로 나타나, 갈변이 주로 발생하는 부위인 과정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일 특성 조사에서 당도, 경도, 중량은 처리간 뚜렷한 경향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후 저온 저장 후 상온 보관에서 1주일이 지났을 때 과정부갈변과 발생이 Ca 엽면시비에서 14%, Ca 관주에서 20%로 대조구의 50%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양관주처리와 엽면시비를 통해 토양, 엽 및 과실내 칼슘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특히 과실 과정부의 칼슘 함량의 증가로 저장중 과정부갈변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Ultrasonic Parameters and Elastic Modulus of Apple

  • Kim, Ghi-Seok;Kim, Ki-Bok;Park, Jeong-Gil;Lee, Sang-Dae;Jung, Hyun-Mo;Kim, Man-Soo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9-284
    • /
    • 2008
  • The firmness of fru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s and is highly correlated to the elastic modulus. In this study, the ultrasonic transmission method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lastic modulus of the apple.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the ultrasonic wave through the whole apple, the ultrasonic measurement setup consisted of ultrasonic pulser, two specially fabricated ultrasonic transducers for fruit and digital storage oscilloscope. Ultrasonic parameters such as ultrasonic wave velocity, apparent attenuation, and peak frequencies were analyzed. The elastic modulus of apple was measured by using compression test apparatus. The correlations between ultrasonic parameters and elastic modulus were analyz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astic modulus and ultrasonic parameters was proposed.

사과 및 배의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Apple and Pear)

  • 김만수;정현모;박종민;이영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3호
    • /
    • pp.243-252
    • /
    • 1999
  • The damage caused in the processes and distributions after harvesting the fruits and vegetables is attributed to the mechanical factors such as compressive and impact forces. Compression tests of biological materials provide an objective method for determining the apparent modulus of elastic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which are significant in quality evaluation and control, and them maximum allowable compressive forces for minimizing mechanical dam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pple and pear, and to investigate effect of specimen shap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m. A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measurement. Compression tests on the sample were performed with then replications at each treatment and at 25 mm/min loading rat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pple was generally shown the higher value than those of the pear, and it was though that data obtained form the cylindrical specimen removed from the sample was more reliable than from the specimen cut in half.

  • PDF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가 오이의 신선도 유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1-MCP) on the Postharvest Life and Fruit Quality of Cucumber)

  • 양용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82-1888
    • /
    • 2008
  • 1-MCP(1-methylcyclopropene) 처리에 의한 오이 'Baekdadaki'의 수확 후 품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MCP의 농도별 250ppb, 500ppb, 1,000ppb 처리 후 상온과 저온($10^{\circ}C$)으로 나누어 저장하면서 생리적 특성변화 및 호흡율, 에틸렌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로 생체중과 경도는 상온, 저온 모두 저장 중 감소하였고 1-MCP 처리중에는 저온의 500ppb 에서 가장 적은 감소율을 보였다. 노화의 지표인 과피 b값은 상온괴 저온 모두 1-MCP 250, 1,000ppb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저온저장 15일째에 황화와 함께 과실 무름 현상이 나타났다. 오이의 저온저장 15일 동안 1-MCP 500ppb 처리에서 가장 낮은 부패율을 나타내어 상품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하였다. 호흡율은 1-MCP 250ppb 처리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에틸렌 발생량은 상온 저장된 1,000ppb 에서 저장 6일 동안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오이 'Baekdadaki' 품종의 수확 후 품질은 1-MCP 500ppb 농도에서 가장 좋은 품질을 유지하였고 여러 농도의 1-MCP 처리에서 에틸렌 생성이 억제되지는 않았다.

딸기 과즙의 수율과 딸기 발효주의 품질에 대한 pectinase 처리의 영향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Extraction Yield of the Juice of Fragaria ananassa Duc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Wine during Ethanolic Fermentation)

  • 정은정;김민화;김용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2-78
    • /
    • 2010
  • 저에탄올 딸기 발효주 제조를 위한 딸기 과즙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종의 pectinase를 이용하여 효소처리시 최적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발효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에탄올함량, anthocyanin 색소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4종의 pectinase를 1,000 ppm의 농도로 30, 60분간 처리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 Viscozyme L 효소를 1,000 ppm에서 30분간 처리시 수율이 81.7%로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수율이 18.9% 증가하였다. 에탄올 발효시 효소처리에 따른 이화학적인 특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에탄올함량의 경우도 pectinase 처리에 의한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 과즙의 주요 색소는 cyanidin-3-glucoside와 pelargonidin-3-glucoside로 검출되었으며, 발효기간 중 효소처리구의 색소 함량이 대조구보다 약간 낮았고, 두 처리구 모두 발효 기간에 따라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딸기발효주의 색도 유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칼륨 시비량에 따른 감나무 유목의 수체 부위별 무기원소 농도 및 과실 특성 (Inorganic Eleme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Organs of Young Persimmon Trees Received Different Levels of K Fertiliz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Fruit aracteristics)

  • 최성태;박두상;손지영;박여옥;홍광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6-170
    • /
    • 2013
  • 단감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칼륨 시비방법이 감 재배 농업인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본 시험은 칼륨 시비량이 단감나무의 부위별 무기원소 농도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0 L 용기에서 재배한 6년생 '부유' 감나무에 7월부터 9월까지 3-4일 간격으로 염화칼륨을 사용하여 주당 K를 0(무시비구), 12, 25, 37, 66 g씩 관주하였는데, 무시비구는 시험 전 2년간도 K 비료를 공급하지 않았다. 11월에 잎, 과실, 신초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잎과 신초의 K 농도는 시비량 증가로 높아졌으며, 잎에서 변화가 특히 뚜렷하여 무시비구에서 0.49%였으나 37 g과 66 g 시비구에서 각각 3.09%과 3.11%로 높아졌다. 과실의 K 농도는 무시비구에서 현저히 낮았고 12 g 이상의 시비구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무시비구의 나무는 6월부터 가장자리부터 잎맥이 검게 괴사하는 잎들이 나타났고 8월에는 일부 잎이 가장자리부터 말라서 말리기도 하였다. 과실 특성에 미치는 K 시비량의 가장 큰 효과는 과중에서 나타났는데, 무시비구에서 150 g이었으나 12 g 시비구에서 181g, 37 g 시비구에서는 203 g, 66 g 시비구에서는 206 g으로 증가하였다. 과실의 경도, 당도는 K 시비량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무시비구는 적색도가 특이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 K 시비량에 대한 수체 부위별 반응이 다르며, K 시비량은 품질 요소 중 과실 크기에 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름철 수경재배 시 포그 분무와 차광에 의한 하우스 내부 온도 및 광 환경 변화 (Changes in Greenhouse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by Fogging and Shading During Hydroponics in Summer Season)

  • 임미영;정호정;노미영;최경이;김소희;최수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0-236
    • /
    • 2021
  • 여름철 수경재배 시 포그 분무와 차광 처리에 의한 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광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시험 1은 2019년 8월 맑은 날을 기준으로 무처리, 차광, 포그, 포그 + 차광 등 각각 4처리 하였다. 시험 2는 시험 1에서 온도 저감 효과가 가장 좋았던 포그 + 차광 처리를 이용하여 멜론 '달고나', '소풍가자' 2품종에 대해 2020년 여름 기간에 실증 재배를 실시 하였다. 시험 1의 결과 포그 + 차광 혼합처리 시 온도 저감 효과가 뚜렷하여 하우스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가장 낮은 경우 약4℃ 정도 낮게 나타났다. 하우스 내부와 외부의 온도 편차를 살펴보면 포그와 차광 혼합처리에서는 평균 2-4℃ 더 낮아졌고, 포그 또는 차광 단일 처리구는 하우스 내부 및 외부 간의 온도 편차가 거의 없었으며, 무처리는 하우스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평균 3-4℃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우스 내외부 일사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무처리구와 포그 단일 처리의 하우스 내부 일사량 변화가 비슷하였고, 차광 단일 처리와 포그와 차광 혼합처리의 하우스 내부 일사량 변화가 서로 비슷하였다. 무처리와 비슷한 포그만 처리한 경우 일반적인 비닐 피복재에 의한 하우스 내부 일사량 저하의 영향만 관찰되었다. 특히 포그 + 차광 처리의 경우 차광 단일 처리와 매우 유사한 일사량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0년 여름에 실증 재배를 한 결과, 8월 외부 기온 최대 36.3℃일 때 냉방 처리 하우스 내부 기온은 32.4℃ 정도 유지되었으며, 약3.9℃ 정도 온도 저감 효과가 있었다. 생산된 멜론의 과중은 1.3-1.5kg 다소 작았으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12.6-13.3°Brix로 단맛은 양호한 편이었다. 포그와 차광 혼합 냉방처리를 이용 할 경우 여름철 고온기 온도 저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고 멜론의 정상적인 생육과 과실 수확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