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tuberculosi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기관지 결핵 환자에서 부산피질 스테로이드 투여가 기관지 협착의 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ticosteroid on the Treatment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 모은경;김호중;김동규;최정은;박명재;현인규;이명구;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409-418
    • /
    • 1997
  • 배 경 : 기관지 결핵은 임상적으로 진단이 쉽지 않아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기도협착 및 이에 수반된 원위부 폐의 허탈로 합병증을 남길 수 있다. 기관지 협착을 방지 또는 치료하기 위해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병행투여되기도하나 3세 이상의 항결핵 화학요법만으로도 기관지 결핵의 치료가 충분하며, 스테로이드 병용군과 비교할 때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 결핵 환자에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병용 치료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기관지 협착이 있는 초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로 스테로이드 투여군과 비투여군으로 나누어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여 기관지 세척액 항산균 도말과 배양검사, 기관지 병변의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isoniazid 400mg, rifampin 450mg, ethambutol 800mg, pyrazinamide 1500mg을 경구로 투약하고 40mg을 2개월간 병용 투여후 1개월에 걸쳐 감량하였다. 치료 후 2개월째와 9개월째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여 기관지 결핵병변의 위치, 육안적 분류의 형태, 협착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25명이었으며 이들에서 관찰된 병변은 모두 47병변이 있었다. 이중 부신피질스테로이드 투여 군은 27병변이 있었고 비투여 군운 20병변이 있었다. 스테로이드 투여군에서는 호전이 없었던 경우가 10개 병변이었으며 25%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5개, 50%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3개, 75%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2개병변에서 있었고,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투여군에서는 호전이 없었던 경우가 3개 병변이었으며 25%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3개, 50%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9개, 75%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2개 병변에서 있었고, 100%의 호전을 보인 경우도 2개에서 있었다.(p < 0.05) 육안적 분류에 따른 아형별로 살펴보면 부종형인 경우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비투여 군에서는 호전이 없었던 경우가 6개 병변이었으며 25%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1개병변에서 있었고,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투여군에서는 호전이 없었던 경우가 1개 병변이었으며 25%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2개, 50%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5개에서 었었다.(p<0.05) 결 론 : 기관지 결핵의 육안적 분류상 침윤형의 형태보다는 부종형 기관지결핵의 기관지협착을 완화시키는 데에 부신피질스테로이드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적절한 스테로이드 용량 및 투여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ifampicin 투여 폐결핵 환자의 T-임파구 저하증에 대한 Tuberactin-3 의 효과 (Effects of Tubercin-3 on Rifampicin Induced T-Lymphocytopenia in Tuberculosis Patients)

  • 정태호;김송명;이성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12-17
    • /
    • 1978
  • Rifampicin has been widely hailed as the most effective antituberculosis antibiotics since the clinical use of streptomycin, but its immunosuppressive side effect was still annoying problem to be excluded.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uberein-3, tuberculous bacilli extraction with water, on Rifampicin induced T-lymphocytopenia in 5 cases of pulmonary tuberculosis who have never exposed to antimetabolites or steroid compounds. After 2 weeks treatment of Rifampicin, all cases showed T-lymphocytopenia, active $13.0{\pm}2.3$ % and total $43.1{\pm}4.4$%. Followed by another 2 weeks treatment with Rifampicin combined with Tuberein-3, T-lymphocytes in peripheral blood returned to the normal limit, active $21.6{\pm}3.3$% and total $56.3{\pm}1.7$%. Tubercin-3 revealed the restoring activity of suppression of T-lymphocyte rosettes by Rifampicin.

  • PDF

항 결핵제, 리팜피신에 내성인 유산균의 개발 (Development of Lactobacillus casei Resistant to Rifampicin, an Antituberculosis Agent)

  • 이승희;최응칠;김병각
    • 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94-401
    • /
    • 1988
  • Lactobacillus casei was treated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NTG) to obtain resistant mutants to rifampicin. Freshly grown cells of the strain suspended in tris-maleic acid buffer were exposed to NTG of $50{\mu}g/ml$ for 30min. Five colonies of the NTG-induced mutants showed distinct resistance to rifampicin. They also exhibited identical characteristics with the original Lactobacillus casei when they were tested for growth, titrable acidity and sugar ferment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efficieient starter cultures for fermented milk.

  • PDF

Synthesis and evaluation of antimicrobial-antitumor activities of methylthiosemi-carbazones and thiocarbohydrazones

  • Rhee, Shang-Hi
    • 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62-175
    • /
    • 1972
  • Fifty six compounds of 4-methylthiosemicarbazone and thiorcarbohydrazone derivatives were prepared and subjected to biological tests. The following five compounds, 2-hydroxybenzaldehyde monothiocarbohydrazone (2),4-methylbenzaldehyde monothiocarbohydrazone (8), 1-(2-hydroxybenzaldehyde)-5(4-hydroxy-3-methoxybenz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45), 1-(2-hydroxybenzaldehyde)-5-furfural dithiocarbohydrazone (46) and 1-benzaldehyde-5-cinnam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49) exhibited mark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oli, St. aureus and P. chrysogenum. In addition to these compounds, 3-methoxybenzaldehyde monothiocarbohydrazone (12) and 4-methylbenz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29) showed marked inhibition of HeLa cell growth at the concentration of 10 ${\nu}$g/ml. It was generally observed that most compounds demonstra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 chrysongenum but only one compound, 3-hydroxy-4-methoxybenz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39), exerted antituberculosis activity against M. tuberculosis H$_{37}$ RV at the concentration of 10 ${\nu}$g/ml.

  • PDF

규폐증환자의 신기능 평가를 위한 요중 N-acetyl-$\beta$-D-glucosaminidase활성치 측정의 의의 (Assessment of Renal Function in Silicobis with Urinary N-acetyl-$\beta$-D-glucosaminidase Activity)

  • 이후락;김돈균;이수일;조병만;김화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1호
    • /
    • pp.49-64
    • /
    • 1993
  • 규폐증의 신기능 장애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일부 지역의 진폐요양기관에서 규폐증으로 치료중인 환자 58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폐결핵으로 6 개월이상 치료중인 환자 40명을 결핵 대조군 그리고 일반사무직 근로자 51명을 건강대조군으로하여, 신기능 장애의 예민한 지표로 알려진 요중 N-ncetyl-$\beta$-D-glucosaminidase (NAG) 활성치를 측정하여 얻은 바를 아래와 같이 요약 한다. 1. 조사대상자 전체의 혈중 요소질소와 혈청 크레아티닌은 대상자 모두에서 참고치내에 있어 임상적으로 신장장애의 소견을 보이지 않았으나, 요중 NAG 활성치는 $7.25{\pm}7.31U/g\;creatinine$으로서 신기능 장애 선별기준 이상의 측정치를 보여 보다 민감한 검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2. 규폐증군의 요중 NAG 활성치는 $11.98{\pm}9.05U/g\;creatinine$으로서 결핵대조군($5.71{\pm}4.33U/g\;creatinine$) 및 건강대조군($3.63{\pm}1.67U/g\;creatinine$)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p<0.05), 결핵대조군과 건강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3. 결핵대조군에서 결핵의 병증에 따라 요중 NAG 활성치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지않았고(p>0.05), 치료약제중 신장애 유발 항결핵제를 사용한 대상자에서 요중 NAG 활성치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4. 규폐증군에서 결절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신장애 유발 항결핵제를 사용한 자 및 발병기간이 짧았던 자의 경우 요중 NAG 활성치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5. 신독성 항결핵제 사용자를 제외한 요중 NAG 활성치는 건강대조군과 결핵대조군에서 각각 3.63U/g creatinine, 3.60U/g creatinine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규폐증군에서는 10.90U/g creatinine 으로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규폐증에서는 일반적인 건강진단 항목상의 신기능 검사에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은 경우라도 신장기능의 변화가 동반될 수 있으며, 요중 NAG 활성치를 분진 폭로 근로자에게 적용하면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Mycobacterium abscessus 폐질환 환자 12명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 (Clinical and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of 12 Patients with Mycobacterium abscessus Pulmonary Disease)

  • 고원중;권오정;강은해;전익수;편유장;함형석;서지영;정만표;김호중;한대희;김태성;이경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1호
    • /
    • pp.45-56
    • /
    • 2003
  • 배경 : M. abscessus는 rapidly growing mycobacteria에 의한 폐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기존의 항결핵제에 대한 치료반응이 매우 낮아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M. abscessus 폐질환 12례의 임상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5.5년간 진단된 12명의 M. abscessus 폐질환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는 1997년 미국흉부학회 진단기준을 만족하였다. 결과 : 12명의 환자 중 여자가 11명(92%)이었다. 진단시 연령의 중앙값은 49세(범위 22-73세)였다. 모든 환자가 비흡연자였다. Anti-HIV 항체 양성자는 없었다. 증상은 기침(83%), 객담(83%), 객혈(83%)이 흔하였으며, 방문전 증상기간은 3.5년(2개월-10년)이었다.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 6.5년(14개월-11년)이 소요되었다. 11명(92%)의 환자는 과거 폐결핵 치료력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환자가 방문 후 객담 도말 양성을 보여 초기에는 폐결핵을 의심하고 일차 항결핵치료를 시행받았고, 항결핵치료 이후에도 지속적인 객담도말 양성을 보여 다제내성 폐결핵을 의심하고 2차 항결핵치료를 시행받은 환자가 6명(50%)이었다. 단순흉부방사선촬영에서 망상결절성 병변(11/12, 92%)이 가장 흔히 관찰되었으며, 공동은 5명(42%)에서 관찰되었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중심소엽성 결절과 tree-in-bud 소견을 보이는 세기관지염(9/10, 90%) 그리고 기관지확장증(9/10, 90%), 소결절(7/10, 70%) 등이 흔히 관찰되었다. 결론 : M. abscessus 폐질환은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에 의한 만성 폐질환으로 기저질환이 없는 중년여성에서 흔히 발생하며,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폐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M. abscessus가 분리되었을 때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한 세심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핵환자에서 NAD Glycohydrolase Activity에 관한 연구 (NAD Glycohydrolase Activity in Patients of Tuberculosis)

  • 서재석;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89-493
    • /
    • 1994
  • 연구배경: NAD glycohydrolase(NADase)는 세포 표면에 위치하며 glycosylphatidylinositol(GPI)로 세포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bacterial PI-specific phospholipase C(PI-PLC)에 의해 분리된다. 최근 결핵환자에서 NADase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결핵균자체가 NADase가 높기 때문에 절대적인 NADase치가 증가했는 지는 확실치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정상 대조군과 결핵환자의 적혈구에서 순수한 NAD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방법: 19명의 정상 건강 대조군과 16명의 과거 결핵의 진단 및 치료를 받지 않은 결핵환자를 대상으로하여 NADase activity를 측정하였고 결핵환자는 결핵치료 3개월후 재 검사하였다. NADase activity는 [carbonyl-$^3H$] nicotinamide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건강 대조군에서 $2031{\pm}824.0pmol/min/10^6$ erythrocytes, 결핵 감염군에서 $3339{\pm}1568.0$, 그리고 isoniazide와 rifampin으로 치료한 3개월 후 $2238.6{\pm}1013.1$을 얻어 결핵 감염시 NADase activity가 유의한 차이를 가지고 증가하며(p<0.05), 치료전에 비하여 치료후 유의있게 감소하였다. 결론: 결핵감염시 NADase activity가 올라가고 결핵 치료시 NADase activity가 정상화 되어 NADase activity가 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새로운 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성 심막염으로 항결핵약을 복용하던 중 발생한 혈구 탐식증후군 1예 (A Case of Tuberculosis-associated Hemophagocytic Syndrome during Antituberculosis Medication for Tuberculous Pericarditis)

  • 노진희;강지영;이보희;김윤지;이정은;민진수;강민규;김경희;윤형규;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522-526
    • /
    • 2008
  • 결핵과 연관된 혈구 탐식 증후군은 매우 드물며 사망률이 50% 정도로 높은 질환이다. 저자들은 결핵성 심막염 진단 후 2달간 항결핵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지속적인 혈소판 감소증을 보이고 골수검사에서 혈구탐식증을 보였으나 이전에 보고된 증례와는 다르게 경한 임상증상을 보이면서 항결핵약제 및 스테로이드와 etoposide의 병합 항암 치료에 빠른 호전을 보인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재치료실패 폐결핵환자의 임상 양태 (The Clinical Aspects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 Failed in Retreatment)

  • 임영재;송주영;정재만;김영준;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404-409
    • /
    • 1993
  • 연구배경 : 많은 재치료실패 환자들이 국립공주결핵병원에 입원해 있다. 그렇지만 이들에 대한 만족할만한 치료법이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들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적극적 대책이 필요하겠다. 방법 : 1992년 4월부터 1993년 2월까지 국립공주결핵병원에 입원하였던 재치료실패 환자 50명에 대하여 성별 및 연령별 분포, 질병기간, 항결핵제의 과거력, 약제내성, 병변의 크기, 조기중단 및 불규칙 복용의 이유 그리고 학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1) 남녀의 비는 3:2였고 연령분포는 21~40세가 62%를 차지했다. 2) 28명(56%)이 10년이상의 질병기간을 가지고 있었다. 3) 모든 환자가 대부분의 항결핵제를 사용하였던 경험이 있었다. 4) RMP에 대한 내성은 96%에서, INH는 83%에서 나타났고 그밖의 항결핵제에 대한 내성은 6~67%에서 나타났다. 5) 48명(96%)이 중증으로 나타났다. 6) 초치료시는 28명(56%), 재치료시는 21명(42%)이 조기중단 및 불규칙 복용을 하였던 경험이 있었는데 그 이유는 초치료시는 '증상이 없어서'가 21명(75%) 이었고 재치료시는 '증상이 없어서'가 6명(29%), '생활이 바빠서'가 6명(29%) 그리고 '경제적 이유'가 3명(14%) 이었다. 7) 27(54%)이 고졸이상의 학력소유자이었다. 결론 : 치료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관리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전염방지와 적절한 치료를 위하여 재치료실패 환자들에 대한 더 많은 지원과 입원치료가 필요하겠다.

  • PDF

공동 성형술에 대한 임상적 검토 (A Clinical Study of Cavernoplasty)

  • 우종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147-152
    • /
    • 1978
  • Six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with cavity had cavernoplast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last 4 years and 9 months, from October 1973 to April 1978, were studied in order to assess the clinical values of cavernoplasty. 2] All the cases were male, and the mean age was 31.5 years. 2] All the patients had combined therapy with more than two antituberculosis drugs preoperatively, its minimum duration being 8 months and maximum duration 5 years. 2] Nonspecific symptoms were predominant just prior to admission, weight loss being in 50% and loss of appetite in 50% of cases, respectively. The preoperative cavity size on plain film was minimum 2.5cm by 3.5cm and maximum 6.0cm by 4.0cm with the mean of 4. 4cm by 3.4cm. The cavity size was reduced postoperatively to 1/3-1/4 of preoperative size with the mean of 1.15cm by 1.59cm. 2] Sputum smear for acid fast bacilli was converted to negative postoperatively in two cases. 2] Complications occurred in two cases. One was postoperative pleural effusion and the other was recurrence of symptoms 2 years after surgery. 2] Of the 3 cases able to follow, 2 stopped antituberculous medication after one year. The third case was still on medication because of bronchiectasis due to tuberculous inf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