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ssay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9초

쑥부쟁이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Determin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ter yomena (Kitam.) Honda)

  • 김민정;김지현;이상현;조은주;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02-4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그리고 superoxide radical ($O_2{^-}$) 소거능 실험을 통해 쑥부쟁이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쑥부쟁이는 에탄올로 추출한 뒤,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_2Cl_2$), ethylacetate (EtOAc), 그리고 n-butanol (n-BuOH)로 분획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모든 추출 및 분획물이 $10-100{\mu}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가장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쑥부쟁이는 $50{\mu}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cdot}OH$ 라디칼 소거율을 보였다. 특히 EtOAc 분획물은 $0.03{\mu}g/mL$에서 IC50 값을 나타내어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강한 $^{\cdot}O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은 $O_2{^-}$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가장 강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쑥부쟁이가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의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 홍정희;전정란;이주현;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57-662
    • /
    • 2007
  • 본 연구는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고자, 약쑥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을 관찰하였다. 약쑥의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OAc층에서 각각 $311.35{\mu}g/mg$$92.73{\mu}g/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52.71{\mu}g/mg$으로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Superoxideanion의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26.47{\mu}g/mg$으로, 합성항산화제인 BHA($IC_{50}:\;49.78{\mu}g/mg)$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n-BuOH층의 $IC_{50}$$166.44{\mu}g/mg$으로, BHA의 소거활성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도 EtOAc층의 $IC_{50}$값이 $58.92{\mu}g/mg$으로, BHA($IC_{50}:\;80.85{\mu}g/mg)$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NO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65.94{\mu}g/mg$으로, BHA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 microsome에서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EtOAc층이 분획물 중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약쑥 분획물의 EtOAc층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관찰할 수 있었다.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 Kil, D.Y.;Ryu, S.N.;Piao, L.G.;Kong, C.S.;Han, S.J.;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90-1798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In Exp. I, a total of fifteen pigs (19.91${\pm}$1.80 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assay of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measurements. All pigs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with 3 replicates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in an individual metabolic crate.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2) BRB-2: basal+brown rice bran 2%, 3) BRB-4: basal+brown rice bran 4%, 4) CRB-2: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2% and 5) CRB-4: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4%.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CF), crude ash (CA) and crude fiber (CF)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Serum triglyceride (TG)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addition of C3G high black rice bran. However, at the end of experiment, pigs fed rice bran showed decreased tendency i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Especially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significant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compared to pigs fed brown rice bran (p<0.03). There was numerical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ith increasing levels of black rice bran in the diet. In terms of seru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even though pigs fed CRB-4 showed the lowest GOT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pigs. In Exp. II, sixteen finishing pigs (average initial body weight 89.96${\pm}$0.35 kg)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among the treatments.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numerical decrease in ADG and increase in FCR while not effecting feed in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 weight, carcass weight, carcass rate, backfat thickness and carcass grade. However,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tended to show lower backfat thickness than pigs fed basal diet.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a tendency of decreased TBA value than pigs fed basal diet, although there was no overall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to pigs. However, C3G high black rice bran might have an effect on lowering serum total cholesterol and decrease the TBA value in pork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se effects might be due to high concentr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C3G high black rice bran.

음나무 잎 및 수피의 진통소염효과 및 아주반트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 (In vivo Antinociceptive Antiinfla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Leaf and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in Rats)

  • 박희준;남정환;정현주;김원배;박광균;정원윤;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36권4호통권143호
    • /
    • pp.318-323
    • /
    • 2005
  • The leaves (KPL) of Kalopanax pictus (KP) are used as a vegetable or a functional food in Korean society. The stem bark (Kalopanacis Cortex, KPS)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neurotic pain, rheumatoid arthritis and diabetic disease.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demonstrate that the leaf extract of KP (KPL) has also the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like the extract (KPS) of Kalopanacis Cortex and to compare the activity levels of several extracts obtained from KP.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measured against the extracts described as followings; KPL-1 (the MeOH extract obtained from the leaf shoot of KP collected on May), KPL-2 (the MeOH extract from KP collected on June), KPL-3 (the MeOH ectract from KP with no thorns), KPS-1 (MeOH extract from KPS of a Korean habitat), KPS-2 (MeOH extract from KPS of a Chinese habitat). The antimociceptive test undertaken by acetic acid-induced writhing, hot plate-, and tail-flick methods using mice. The anti-inflammatory test was also undertaken by measuring the edema in the carrageenan-induced test. The order of activity potency in the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ssays was commonly shown as followings: KPL-3>KPS>1>KPS-2>KPL-1>KPL-2. This order was also observed in acetic acid-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tes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carrageenan-induced assay was also observed as the following order: KPL-3>KPS- 1>PS-2>KPL-1>KPL-2. In addition, adjuvant-induced rats were used for a model to assess the oxidative stress. Treatment of the rat with the extracts reduced serum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hydroxy radical(OH) and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caused by FCA together together with the inhibition of hepatic TBARS level and lipofuscin content. The above finding suggests that the leaf extract has the antinociceptive and antinflammatory activity. It is also suggested that KPL-3 with more potent activity than other tested extracts could be developed for a new available biomaterial.

솔잎착즙액을 첨가한 설기떡의 가열조리에 따른 항산화 및 항유전독성 효능 검증 (Changes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s After the Cooking Process of Sulgidduk Containing Pine Needle Juice)

  • 이현정;김소윤;박재희;김래영;정현숙;박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53-462
    • /
    • 2013
  • Recently, two formulas of sulgidduk added to pine needle juice (PNJ) with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developed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in our lab.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ooking may alter antioxidant properties by initiating destruction, release or transform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contained in foo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genotixic effects of sulgidduk with/without PNJ and to note changes in these activities after cooking. The ingredients of sulgidduk was added on the basis of 100% rice flour as follows: conventional sulgidduk (S): 1.5% salt, 30.0% sugar; PNJ added to sulgidduk A (PS-A): 1.4% salt, 30.0% sugar, and 1.0% PNJ; PNJ added to sulgidduk B (PS-B): 1.5% salt, 21.4% sugar, and 1.4% PNJ.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sulgidduk were analyzed for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SA),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antigenotoxic effect by comet assay. The ethanol extracts PS-A and PS-B showed higher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SA, TRAP, and ORAC) than did the S ethanol extract before cooking. The more PNJ was added, the higher TPC and anitoxidant activities were observed in sulgidduk (PS-A$200{\mu}M$ of $H_2O_2$.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sulgidduk added to 1.44% of pine needle juice may be a good option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source.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MG-63 조골세포 증식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Antioxidant and Cell Proliferation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 Extract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 임소영;임재윤;이충수;장여정;박정우;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94-7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부위, 추출 용매, 산 가수분해 전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FRAP assay를 실시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물 처리가 조골세포 증식률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시오가피의 골다공증 예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과 FRAP법으로 측정된 항산화 활성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은 함유된 폴리페놀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산 처리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오가피의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하여 조골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오가피의 물 추출물은 조골세포에서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는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전처리 과정에 따라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결과는 가시오가피의 가공법을 선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과 조골세포 증식 효과가 제시되었다. 한국산 가시오가피를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동물 실험과 인체 시험을 통한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커피와 작두콩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 mixture of coffee and sword bean extracts)

  • 배훈천;박정업;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7-243
    • /
    • 2020
  • 커피에 작두콩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 커피 추출물과 작두콩 추출물을 1:1, 1:2, 1:3, 1:4, 1:5 (v/v)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대상으로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평가와 세포독성 평가 및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매개물질인 NO, 염증성 cytokine인 TNF-α와 IL-6의 생성 및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은 작두콩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와 작두콩 1:4 (v/v)의 혼합 비율에서 대략 80%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보였다. MTS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커피와 작두콩 1:1, 1:2, 1:3, 1:4, 1:5(v/v) 혼합 추출물 모두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TNF-α의 발현 저해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iNOS 단백질 발현과 그에 따른 NO와 IL-6의 생성은 효과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특히, 커피와 작두콩 1:2 (v/v) 혼합 비율에서 IL-6와 iNOS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작두콩을 커피의 블렌딩 소재로 이용함으로써 항산화와 항염증 기능이 향상된 커피음료의 제조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되었다.

산화된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손상에 대한 마늘 대사산물인 allylmercaptan의 보호 효과 (Protection Effects of Allylmercaptan, Metabolite of Garlic on Endothelial Cell Injury Induced by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595-1602
    • /
    • 2010
  •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는 동맥경화의 유발과 진행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주요 대사산물인 allylmercaptan의 산화 low density lipoprotein에 의해 손상된 내피세포의 보호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Allylmercaptan의 항산화 활성은 thiobarbituric acid substance (TBARS)로 측정하였다. Allylmercaptan은 0.1, 1 및 10 mM의 농도에서 $Cu^{2+}$에 의해 유도된 LDL의 산화를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폐동맥 내피세포를 $37^{\circ}C$, 5% $CO_2$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미리 배양시킨 후 세측한 다음 다시 24시간 동안 0.1 mg/ml oxidized LDL (ox-LDL)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이 때 ox-LDL이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방출과 glutathione (GSH)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세포막 손상의 지표로 LDH와 GSH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 결과 allylmercaptan을 일정 농도 별로 endothelial cell에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 LDH의 방출과 GSH의 감소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Peroxide를 형광분석법으로 24 well plate에서 직접 측정한 결과 allylmercaptan이 폐동맥 내피세포 내에서 ox-LDL 유도 peroxide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allylmercaptan은 과산화수소의 소거능도 있었다. 본 실험결과 allylmercaptan은 ox-LDL 유도 폐동맥 내피세포를 보호할 수 있었으므로 allylmercaptan은 동맥경화의 예방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Medicinal Plant Extracts)

  • 김정희;이은주;신동오;홍성언;김진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 추출물울 대상으로 하여 산화적 스트얘스에 대한 방어효과를 검색하였다.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보고된 총 48 종의 약용식물에서 메탄올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고 1차적으로 이들의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활성을 검색하였다. 이들 중 33 시료에서 다양한 정도의 활성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감초의 메탄올 추출물 시료가 $100{\mu}g/m{\ell}$의 농도에서 25.9% 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 외 $100{\mu}g/m{\ell}$의 농도에서 20% 이상의 방어 활성이 나타난 시료는 감인, 단삼, 두충, 목단피, 부평초, 연자육 등이었다. 우수한 활성이 검색된 시료에 대하여 감마선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활성을 검색한 결과 양강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17.8% (at $20{\mu}gm{\ell}$)의 가장 높은 활성이 검색되었다. 방어 활성이 우수한 10개의 시료에 대하여 각각 5개의 분획시료률 제조하여 방어활성을 검색하였다. 이 들 분획시료 중 빈랑자 및 부평초의 butanol 분획이 각각 78.8% 및 77.2% 로 가장 우수한 방어 활성이 검색되었다.

  • PDF

구절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obesity Activity of Chrysanthemum zawadskii Methanol Extract)

  • 박정애;진경숙;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06
    • /
    • 2015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항산 화, 항염증, 항균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으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 메탄올 추출물(CZM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Z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insulin, 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이러한 구절초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α, C/EBPβ, 그리고 PPARγ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에서 생성된 지방의 분해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억제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