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ssay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3초

백화사설초 메탄올 추출물이 acetaminophen으로 유도된 생쥐의 급성 간손상에 대한 효능 연구 (Effects of Oldenlandiae Diffusae Herba Methanol Extract on Acetaminophen 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Mice)

  • 김종대;문진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5-366
    • /
    • 2001
  • Objectives : Oldenlandiae Diffusae herba has been used as a natural drug for tumor, inflammation and liver disease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ldenlandiae Diffusae herba methanol extract(ODHM) on acetaminophen 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mice. Method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ODHM on acute hepatic injury in vivo, ICR mice were pretreated with ODHM, and then treated with acetaminophen(500mg/kg). And the levels of LPO and glutathione(GSH),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levels of LPO were measured by TBA method. And catalase activity was measured as the decrease in hydrogen peroxide absorbance at 240nm on spectrophotometer using 30mM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dismutase(SOD) was assayed by recording the inhibition of nitro blue tetrazolium reduction with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Glutathione peroxidase(GPX) activity was determined by the modified coupled assay developed by Paglia and Lawrence. The reaction was started by addition of 2.2mM hydrogen peroxide as substrate. The change in absorbance at 340nm was measured for 1min on spectrophotometer. Glutathione-S-transferase(GST) activity was assayed with CDNB as substrate and enzyme activity of GST towards the glutathione conjugation of CDNB. And Total SH and GSH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 In vivo study, LPO levels of acetaminophen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This increased level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ODHM pretreatment. The acetaminophen treatment resulted in a decrease of catalase, GPX, SOD and GST activities. By contrast, ODHM pretreatment markedly increased compare to those of untreated groups. Total SH and GSH levels were reduced by of acetaminophen treatment, and ODHM pre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GSH levels.

  • PDF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인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3,4-Dihydroxybenzoic acid from Black Onion)

  • 양아여;조정용;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4
    • /
    • 2012
  •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흑양파가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어서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중 EtOAc층이 높은 DPPH와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그래서 EtOAc층을 silica gel과 Sephadex LH-20 등의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단리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ESI-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3,4-dihydroxybenzoic acid (1)와 quercetin (2)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ABTS^+$ 및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으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에 비해 더 높은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신선초에 함유된 항산화활성물질 Psoralen 유도체들의 단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Psoralen Derivatives as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 김소중;조정용;위지향;장미영;임요섭;김철;신수철;문제학;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6-659
    • /
    • 2005
  • 신선초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성분 탐색연구의 일환으로 신선초 지상부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해석하였다. 신선초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hyl acetate 가용 중성획분을 얻었다. 이를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와 HPLC로 정제하여 항산화활성물질 2종을 단리하고, 그들 각각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FAB-MS와 NMR 분석을 실시한 결과, pseudoisopsoralen과 8-methoxypsoralen(xanthotoxin)으로 동정하였다.

숙성 마늘 유래 S-allylmercaptocysteine의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allylmercaptocysteine Derived from Aged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712-1717
    • /
    • 2012
  •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는 동맥경화의 유발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숙성 마늘 유래 유황화합물인 S-allylmercaptocysteine의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S-allylmercaptocysteine의 항산화 효과는 $Cu^{2+}$ 유도 LDL에 대하여 thiobarturic acid substance (TBARS)와 전기영동 이동거리, 공액 이중결합으로 측정하였다. 사람 LDL을 $Cu^{2+}$ 유도로 산화시킬 때 S-allylmercaptocysteine은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20{\mu}g/ml$ 일 때 거의 완전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allylmercaptocysteine에 대한 전기영동 이동거리로 $20{\mu}g/ml$ 일 때 가장 낮았으며 공액 2중결합 형성도 $20{\mu}g/ml$ 일 때 거의 억제되었다. 한편 S-allylmercaptocysteine을 항산화제인 $d{\ell}-{\alpha}$-tocopherol과 LDL에 대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같은 농도에서 S-allylmercaptocysteine이 약간 높았다. 따라서 S-allylmercaptocysteine이 동맥경화의 발병과 진행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Anti-oxidative effects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sprout extract in RAW 264.7 cell and cisplatin-induced testicular damage

  • Won-Young Lee;Hyun-Woo Shim;Hyun-Jung Park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89-198
    • /
    • 2023
  • Background: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broccoli), a rich source of antioxidants, can prevent various diseases and improve human healt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broccoli sprout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and cisplatin in cell and organ tissue models. Methods: Antioxidative effect of BSE was evaluated using DPPH and ABTS in RAW 364.7 cells, and effects of BSE on testes were investigated using Cisplatin-induced testicular damage model with an in vitro organ culture system. Results: The DPPH assay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lcoholic broccoli sprout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Additionally, the expression levels of antioxidation-related genes, Nrf2, Gsr, HO-1, and catal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roccoli sprout extract-treated RAW 264.7 cells, and the extract suppressed lipopolysaccharide-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in the RAW 264.7 cell cultur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s were investigated in a mouse testis fragment culture. The expression of Nrf2, HO-1, and Ddx4 was clearly decreased in cisplatin-treated mouse testis fragments and not in both broccoli sprout extract- and cisplatin-treated mouse testis fragments. In addition, the oxidative marker O-HdG was strongly detected in cisplatin-treated mouse testis fragments, and these signals were reduced by broccoli sprout extract treat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roccoli sprout extracts could serve as potential nutraceutical agents as they possess antioxidant effects in the testes.

오크라(Abelmoschus esculentus) 추출물의 항염증 및 보습 효과 연구 (Study on Anti-Inflammatory and Moisturizing Effect of Extracts from Abelmoschus esculentus)

  • 유단희;이인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5-23
    • /
    • 2024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anti-inflammator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Abelmoschus esculentus extracts by hot water (AEW) and 70% ethanol (AEE) and confirm the possibility to use it as a natural ingredient. For this study measure the antioxidative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measured, and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assays were conducte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AEW and AEE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126.76 mg TAE/100 g and 144.21 mg TAE/100 g, respectivel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in both extracts concentration-dependently. The moisturizing effect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hyaluronic acid (HA) produced within HaCaT cell using the ELISA kit. AEW and AEE increased the amount of HA pro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order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EW and AEE, the NO assay was conducted, and the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to be 11.46% and 25.28%, respectively in 100 ㎍/ml. In order to measur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nitric oxide (NO)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and the inhibition of expression of iNOS, COX-2 proteins was measured and shown. Furthermore, inhibition of expression was found in inflammatory inducing factors iNOS and COX-2 proteins showing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This study found the excellent effects of antioxidative, moisturizing effec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belmoschus esculentus extracts, which indicates that can be used as functional materials for aesthetics, food and functional cosmetics.

비파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방사선 조사 효과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and Its Irradiation Effect)

  • 김희정;조철훈;김태훈;김동섭;박문영;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84-69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파의 산업적 이용 평가를 목적으로 하여 부위별 비파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감마선 조사효과를 평가하였다. 비파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색도변화에서 명도 및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여 더 밝은 색을 띄었다. 총 페놀 함량은 비파 잎에서 94.1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씨, 과육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사후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항산화 효과로서는 electron donation ability, ${\beta}-carotene$ blcaching assay, FRAP assay 및 reducing power을 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항산화 관련 실험에서 비파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 중 잎이 씨와 과육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감마선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본 실험에서의 결과로서 비파에서는 총 페놀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 비례 증가함을 시사하는 자료가 얻어졌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비파 잎이 39.6%, 씨가 35.4%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과육은 20.2%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조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부위별 비파 추출물의 항간효과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10에서 14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대장균에 대해서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유의적 변화 없이 가장 강한 항균 활성 나타냈었다. Ames test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는 $10,000\;{\mu}g/plate$이하 일 때 부위별 비파 메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비파의 생활 습관성병 예방 및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의 개발이 기대되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파 성분의 화학적 변형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조리에 따른 미더덕의 생리기능성 효과 변화 (Changes of Biological Activites of Two Ascidians,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by Cooking)

  • 차용준;이희영;정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9-113
    • /
    • 2008
  • 본 연구는 미더덕류의 새로운 가공제품 개발에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미더덕과 흰멍게 생시료 및 가열조리 후의 생리기능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DPPH소거능으로서의 항산화능($EDA_{50}$)은 생시료에서는 미더덕(8.46 mg/ml)이 흰멍게(12.05 mg/ml) 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나, 가열조리 후에는 흰멍게는 생시료보다 오히려 1.3배 활성이 증가하였고, 미더덕에서는 70%의 잔존활성을 보였다. 생 미더덕은 B. subtilis, B. cereus 및 E. coli에서 항균활성 이 나타났으며, 가열조리 후에는 E. coli를 제외하고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흰멍게는 가열 후에도 생시료와 마찬가지로 S. typhimurium 균을 제외한 모든 균에 활성이 있었으며, 농도 (1,000-1,500 ppm)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ACE저해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전용해능은 항산화능과 마찬가지로 생시료는 미더덕이 활성이 높았고, 가열 조리후에는 흰멍게의 경우 1.4배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방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 지옥화;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57-1163
    • /
    • 1996
  • 방아의 ether추출물을 중성, 페놀성, 산성 및 염기성 획분으로 분획한 다음 그들의 항산화 활성을 수소 공여능, 과산화물가, TBA가 및 흰쥐 간 microsome을 이용한 비효소적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등으로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페놀성 획분과 중성 획분을 다시 소획분으로 분획한 다음 그중에서 항산화 활성이 강한 소획분성분을 GC/MS 및 NMR로 분석, 동정하였다. 페놀성 획분은 DPPH에 의한 수소 공여능, POV, TBA가 및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등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중성 획분은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페놀성 획분을 소획분으로 분획하였을 때 소획분 P-1, P-2 및 P-3에서 항산화 활성이 강하였으며, 특히 P-2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나 천연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caffeic acid보다도 강하였다. 소획분 P-2를 TMS 유도체로 만들어 GC로 분석하였을 때 major peak 성분인 Peak I, II, III 및 IV 모두 TMS m/z 73를 base peak로 가지고 있어 4개의 peak 모두 -OH, -COOH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중성 획분의 소획분 중에는 N-2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소획분 N-2의 주성분을GC/MS 및 NMR로 분석 한 결과 estragole로 확인되었다. Estragole의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50% 억제 농도는 $20{\sim}50\;{\mu}g/ml$로서 BHT보다는 약하였으니 caffeic acid, gallic acid와는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복분자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동정 및 활성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 윤인;조정용;국주희;위지향;장미영;안태회;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98-904
    • /
    • 2002
  • 복분자를 착즙하여 착즙액과 잔사로 나누고, 각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각 획분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였더니, 각 추출물의 EtOAc 가용산성획분에서 비교적 강한 활성이 나타났다. 이들 획분에 함유된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활성획분을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분자 착즙액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and 3,4-dihydroxycinnamic acid 등이 동정되었고, 잔사 MeOH 추출물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succin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citr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가 동정되었다.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과 hydroxyl radical에 의한 malonaldehyde 생성억제 효과활성 등의 방법으로 동정된 물질의 항산화 활성이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