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feedan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님, 제충국, 고삼 추출물의 응애류 방제와 천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Control of Mites Using Neem, Chrysanthemum, Shrubby Sophora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Natural Enemies)

  • 김효정;김도익;한송희;김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3-205
    • /
    • 2023
  • 식물추출물은 작물 해충에 대해 기피, 섭식저해, 해충 효소활성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해충 방제제로 활용되고 있다. 응애는 원예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고, 실제 포장에서 방제 방법도 화학적 살비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효과적이지 않다. 포장에서 응애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짧은 세대수, 많은 산란수와 번식력 등으로 인해 약제저항성 개체가 증가하는 것이 원인이다. 친환경자재로 님, 멀구슬, 제충국,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포장에서 살비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적에 대한 낮은 독성으로 식물추출물과 천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응애의 종합 방제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은 이들 식물추출물의 해충 방제에 대한 리뷰가 있지만, 포장에서 효율적인 이들 추출물의 종합적인 측면에서 활용이나, 응애별 살충 스펙트럼, 반수 치사농도와 치사시간, 살충기작별로 응애 생활사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리뷰는 제한적이다. 본 리뷰는 이들 식물추출물을 포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식물추출물별 사용 가능 시기, 방법, 응애 생활사, 천적 활용 등의 종합적인 응애 방제를 목표로 하였다.

Anti-Termite Activity of Azadirachta excelsa Seed Kernel and Its Isolated Compound against Coptotermes curvignathus

  • Morina ADFA;Khafit WIRADIMAFAN;Ricky Febri PRATAMA;Angga SANJAYA;Deni Agus TRIAWAN;Salprima YUDHA S.;Masayuki NINOMIYA;Mohamad RAFI;Mamoru KOKETS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157-172
    • /
    • 2023
  • Azadirachta excelsa, is a plant belonging to the same genus as Indian neem (Azadirachta indica), and its use as a pesticide is reported by few studies. Despite being a different species, it is expected to have the same biopesticide potential as A. indic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ti-termite activity of n-hexane and methanol extracts of A. excelsa seed kernel at various concentrations against Coptotermes curvignathus. The methanol extract demonstrated greater termicidal activity than n-hexane at doses test of 2%, 4%, and 8%. It also showed 100% termite mortality on the third day of administering the 8% dose. According to the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ry data, the putative main components of the n-hexane extract were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 (18.99%), 9,12-octadecadienoic acid (Z,Z)- (16.31%), and 9-octadecenal (16.23%). In contrast, the principal constituents of methanol extract were patchouli alcohol (28.1%), delta-guaiene (15.15%), and alpha-guaiene (11.93%). Furthermore, limonoids profiling of A. excelsa methanol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quadrupole-Orbitrap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The number of limonoids identified tentatively was fifteen, such as 6-deacetylnimbin, nimbolidin C, nimbolide, 6-acetylnimbandiol, 6-deacetyl-nimbinene, salannol, 28-deoxonimbolide, gedunin, nimbandiol, epoxyazadiradione, azadirone, 2',3'-dihydrosalannin, marrangin, nimbocinol, and azadirachtin. They were the same as those reported in the seed and leaves of A. indica, but its largest component in A. excelsa was 6-deacetylnimbin. As a result, the presence of these compounds may be responsible for the anti-termite activity of A. excelsa seed kernel extract. Additionally, column chromatography of methanol extract yielded 6-deacetylnimbin, which was found to be antifeedant and termiticide against C. curvignathus.

식물유래 2차 대사물질의 병충해 및 잡초 방제효과 (Pathogen, Insect and Weed Contro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 김종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15
    • /
    • 2005
  • 농작물이 병해충 및 잡초 등에 의하여 피해를 받게 되면 농업생산성은 상당히 저하된다. 따라서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합성농약을 과용해 왔고, 이로 인하여 토양의 질과 농업환경이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농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오늘날의 농업은 농업환경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해야하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한편, 식물은 일반적으로 생존하기 위하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며 다양한 종류의 2차대사물질을 생산하고 방출한다.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식물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인 phytoalexin으로는 화본과 식물의 경우 flavonoid계와 diterpenoid계의 물질을 생성하고, 쌍자엽 식물은 감염된 병원균의 종류에 상관없이 Leguminosae과는 flavonoids계, Cruciferae과는 indole 유도체, Solanaceae과는 sesquiterpenoid계, Umbelliferae과는 coumarin계 물질들을 생성하여 병원균에 저항성을 가진다. 곤충의 생리작용을 저해하거나 섭생을 싫어하게 하는 기능의 물질로는 terpene계의 pyrethrin, azadirachtin, limonin, cedrelanoid, toosendanin, fraxinellone/dictamnine 등이 있으며, alkaloid계로서는 terpenoid와 alkaloid가 결합된 sesquiterpene pyridine 및 norditerpenoids alkaloids와 azepine계, amide계, loline계, stemofoline계, pyrrolizidine계 alkaloids 등이 있다. 식물은 또한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terpene계의 essential oil 및 sesquiterpene lactone과 이외에 benzoxazinoids, glucosinolate, quassinoid, cyanogenic glycoside, saponin, sorgolennone, juglone 등 다수의 2차 대사물질들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의 2차 대사물질을 병해충 및 잡초 방제에 직, 간접으로 이용하는 것은 친환경농업의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천연물질들은 자연계에서 쉽게 분해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식물을 통하여 생산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2차 대사물질을 찾아내는 연구와 아울러 방제기능이 있는 물질의 생합성경로를 구명하고 대사공학적으로 이용하므로 병해충에 저항성이 있고 잡초 방제효과를 갖는 형질전환 식물을 육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