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besity agen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3T3-L1세포에서 흑효모 SM-2001 추출물(Polycan®)의 항비만 효과 (The Anti-obesity Effe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Extract (Polycan®) on 3T3-L1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 김영숙;임종민;구본화;문승배;조형래;이선민;권정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35-843
    • /
    • 2020
  • 비만은 이제 선진국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대사성 질환이다. 최근 치료보다는 예방에 중점을 두는 예방의학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비만과 당뇨병 등의 대사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천연물들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베타글루칸은 면역계와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에 이로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β-1,3/1,6-glucan의 함량이 전체 글루칸 함량의 90% 이상 되는 자체 개발 흑효모 균주 SM-2001 추출물(폴리칸)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폴리칸은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축적과 GPDH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폴리칸이 세포 내에서 지방의 축적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하향조절과 세포 내 에너지 센서 역할을 하는 AMPK 효소의 인산화를 유도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폴리칸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비만과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의약 소재로써 그 활용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패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마우스의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obesity Effects of Ishige okamurae Extract in C57BL/6J mice Fed High-fat Diet)

  • 박세진;전유진;김학주;한지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9-205
    • /
    • 2013
  • 본 연구는 패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C57BL/6J mice에 4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에, 6주간 패 추출물을 첨가한 고지방 사료를 섭취시키고 체중, 간, 신장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혈액과 간의 지질 농도 및 혈중 렙틴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HFD군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HFDIO군에서는 HFD군보다 체중의 증가가 유의하게 적었으며,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도 HFDIO군이 HFD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고지방식이로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HFD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HFDIO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반면에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HFDIO군이 HF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질환위험도가 HFD군에 비해 HFDIO군에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혈중 렙틴의 양도 HFDIO군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간 기능의 지표가 되는 ALT, AST, ${\gamma}$-GTP는 HFD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지만 모두 정상범위 내의 값을 나타내었고, 혈중 BUN과 혈중 Creatinine의 농도도 정상 범위 내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식이와 함께 급여한 패 추출물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장 및 간의 지질농도 개선과 혈장 렙틴 농도를 감소시키는 유용한 항비만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패의 어떠한 성분이 이러한 작용을 하는 지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에서 berberine과 silibinin 복합투여를 통한 지질대사 개선과 항비만 효능 증진 (Combination of berberine and silibinin improves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icacy in high-fat diet-fed obese mice)

  • 이진형;최영훈;윤영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91-29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HFD)를 급식하여 제조한 비만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berberine (BBR)과 silibinin (SBN) 복합투여가 혈중 지질대사 및 항비만 개선 효능에 유의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HFD로 유도된 비만마우스를 8 주 동안 HFD의 지속적인 제공와 함께 BBR 및 SBN (BBR-SBN) 조합을 투여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체중과 식이량을 측정하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HDL 콜레스테롤 수준을 분석하였다. HFD를 제공한 마우스는 정상 대조군(NC) 그룹에 비해 체중과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가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마우스에 BBR-SBN조합을 투여하였을 때 체중 증가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는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HFD그룹의 복부지방 무게는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부고환 지방조직 내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NC 그룹에 비해 크게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BBR-SBN 그룹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NC 그룹의 크기와 비슷했으며 복부지방 무게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더불어, HFD 그룹에서 보이는 간 조직의 거대 소포성 지방구의 축적은 BBR-SBN 그룹에서 크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BBR-SBN 조합이 HFD 유발 비만마우스에서 체중 및 복부 지방 증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혈청 내의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을 낮추어 항비만 효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항비만 치료 및 개선제제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금화규(Abelmoschus manihot) 뿌리 추출물의 면역증진 및 항비만효과 (Immuno-enhancing and Anti-obesity Effect of Abelmoschus manihot Root Extracts)

  • 유주형;금나경;여주호;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11-419
    • /
    • 2021
  • 본 연구에서 금화규 뿌리 추출물(AMR)이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의 활성화 유도를 통한 면역증진 활성과 마우스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의 지질축적억제를 통한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금화규 뿌리 추출물(AMR)은 전반적으로 RAW264.7 세포에서 TLR2/TLR4의 자극을 통해 p38과 JNK를 활성화시켜 NO, iNOS, IL-1𝛽, IL-6, TNF-𝛼와 같은 면역증진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IL-6의 경우, p38과 JNK 활성화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TLR2/4에 의한 다른 신호전달이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금화규 뿌리 추출물(AMR)은 PPAR𝛾의 과대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CEBP𝛼, PPAR𝛾, perilipin-1, FABP4, adiponectin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 내 지질 형성 및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구명된 결과들은 금화규 뿌리 추출물(AMR)이 향후 면역증진 및 항비만을 위한 보조제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과 의약품으로의 개발 및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nthocyanins Isolated from the Fruit of Vitis coignetiae Pulliat is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of AMPK Signaling Pathway

  • Han, Min Ho;Kim, Hong Jae;Jeong, Jin-Woo;Park, Cheol;Kim, Byung Woo;Choi, Yung Hy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13-21
    • /
    • 2018
  • Anthocyanins are naturally occurring water-soluble polyphenolic pigments in plants that have been shown to protect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ertain cancers, as well as other chronic human disorders. However, the anti-obesity effects of anthocyanin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hocyanins isolated from the fruit of Vitis coignetiae Pulliat on the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Our data indicated that anthocyanins attenuated the terminal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s confirmed by a decrease in the number of lipid droplets, lipid content, and triglyceride production. During this process, anthocyanins effectively enhanced the activation of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however, this phenomenon was inhibited by the co-treatment of compound C, an inhibitor of AMPK. Anthocyanins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 and b,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In addition, anthocyanins were found to potently inhibit the expression of adipocyte-specific genes, including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leptin, and fatty acid synth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hocyanins have potent anti-obesity effects due to the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and thus may have applications as a potential source for an anti-obesity functional food agent.

항비산을 함유한 고지방식이가 흰쥐의 체중증가 및 혈중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Fat Diet Containing Hangbisan on the Body Weight and Blood Lipid Composition in the Rats)

  • 채명희;노진구;전덕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16-421
    • /
    • 2006
  • 한약에서 사용하는 유황은 인체에서 열을 발생하는 물질로서 에너지 소모를 일으킨다. 청피,시호, 지실 등의 한약재는 이기(理氣), 조습건비(燥濕健脾), 이수삼습(利水渗濕), 활혈거어 (活血祛瘀)의 효능이 있어서 비만을 치료하는 약물로 한의학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황을 함유하는 항비산이 실험동물의 체중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가정하고 항비산을 흰쥐에 투여한 후 체중감량 및 혈액지질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4주령의 SD계 흰쥐에 9주 동안 10% 항비산이 함유된 고지방식이와 대조군으로서 10% cellulose가 함유된 식이를 공급하였다. 유황이 주로 함유된 한약재인 항비산을 섭취하는 동안 흰쥐의 건강상태는 양호하였다. 항비산은 흰쥐를 생육하는 동안 고지방식이와 병행 공급 시 10% cellulose가 갖는 정도의 체중감소효과를 나타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은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여 혈중지질 조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이 있었다. 또한 흰쥐의 간 기능에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연구를 포함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상의 결과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항비산은 혈액지방 조성을 개선하여 비만인의 체중감량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Improv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and anti-obesity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 Kim, Bora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74-681
    • /
    • 2020
  • The root of Codonopsis lanceolata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mparative effect of ethanol solvent extraction (CLE)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CLS) of C. lanceolata roots. CLS had higher antioxidant than CLE. For supercritical co-solvent modified carbon dioxide extraction (CLS), it were extracted at 250 bar 50℃ 150 min at a flow rate of ethyl alcohol 3 mL/min for 90min. In addition, CLS inhibited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When treated with the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the Wnt/β-catenin pathway reporter luciferase activity of HEK 293-TOP cells increased approximately by 3-folds compared to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lso, the treatment by CLS (50 ㎍/mL)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involucrin ex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of C. lanceolatamay serve as a cosmeceutical agent for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and the treatment of obesity.

먹물버섯(Coprinus comatus )의 항산화 활성 및 Zucker rat에 대한 항비만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besity effect of Coprinus comatus in Zucker rat (fa/fa))

  • 이수정;박형준;송윤오;장선희;구애진;고응규;조재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58
    • /
    • 2014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Coprinus comatus (CC) in high-fat diet-fed Zucker rat (fa/fa). Obesity was induced by feeding on high-fat diet (HFD) containing 60% kcal fat for 10 weeks, in which CC extracts were administrated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at a concentration of 200 mg/kg BW/day for 10 week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CC extracts were found to be $18.5{\pm}1.1mg$ of catechin equivalent/g, and $5.24{\pm}0.54mg$ of quercetin equivalent/g extract, respectively. The DPPH, ABTS,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C extracts were 15.34 %, 17.25%, and 16.18%, respectively. In animal study, CC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body weigh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ily food intake between the HFD-fed Zucker rats and HFD plus CC-fed rats. CC treatment decreased epididymal and perirenal fat weights in HFD-fed Zucker rats.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the serum and liver were observed in the CC-treated group compared with HFD-fed Zucker rats. Serum HDL-cholesterol levels in the CC-treated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HFD-fed groups. Serum AST and ALT activities in the CC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HFD-fed group.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CC has potential in preventing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and is a good candidate for an anti-obesity agent.

백출 및 발효백출의 장점막 투과성 개선 효과 및 항염증효과 (Effect of Unfermented and Fermented Atractylodes macrocephalae on Gut Permeability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 한경선;김기철;왕경화;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32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ti-imflammatory and protective effect for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ith Atractylodes macrocephae (AM),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and fermented Atractylodes macrocephae (FAM)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Methods: HCT-116 and Raw 264.7 cells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NO assay, we measur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anti-inflammatory effect. We measured permeabil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ith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and horseradish peroxide flux assay.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 assay was used to see cell proliferation. All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 used Student's t-test for analyzing significance of results. Results: In Raw 264.7 cells NO production decreased 22.4% with pre-treatment of AM and FAM, especially with FAM in high concentration. In HCT-116 cells LPS-induced intestinal permeability had a protective effect with both AM and FAM, which was also tend to b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Cell viability increased up to 135.52% after treatment of high concentration of FAM in HCT-116,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Raw 264.7 cells with herb treatmen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evidence that AM, especially fermented ones, significantly reduced intestinal membrane permeability. They also had a protective effect as well as an anti-inflammation effect for HCT-116 and Raw 264.7 cells. This suggest that FAM may be a therapeutic agent for Leaky gut syndrome by reducing intestinal permeability.

Inhibitory effect of Taemyeongcheong on allergic reactions

  • Ryu, Ka-Jung;Yoou, Myeong-Sook;Park, Kun-Young
    • 셀메드
    • /
    • 제6권2호
    • /
    • pp.14.1-14.5
    • /
    • 2016
  • Taemyeongcheong (TMC) is Korean traditional extracted drink with various health ingredients. TMC has been used to treat hepatic damage, obesity, gastritis, and colitis. However, the role of TMC on allergic reaction has not been studied ye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allergic effects of TMC against a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ctic reaction and Ig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TMC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ctic reaction and IgE-mediated PCA reaction. Furthermore, TMC reduced the levels of interleukin (IL)-1β, IL-4, IL-13,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the serum of mice under PCA reac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MC can play a useful role as an anti-allergic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