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er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1초

녹색꽃양배추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의 약배양 효율증진과 약유래 계통의 특성 (Factors Affecting Efficiency of Anther Culture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Anther -derived Progeny in Broccoli)

  • 남시춘;윤광현;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9-195
    • /
    • 1999
  • 녹색꽃양배추의 약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제 조건을 규명하고 다양한 유전적인 특성을 가진 품종들을 대상으로 다수의 계통을 유기하여 신품종 육성 소재로 이용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시험 결과 B5배지에 NAA 0.1 mg/L + 2.4-D 0.1mg/L + 당 10% 처리구에서 배상체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액체배지가 고체배지보다 5배 정도 배발생에 효과적이었다. 약접종 직후 35$^{\circ}C$ 고온처리 일수에 따른 시험에서는 1일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시일이 경과할수록 배상체 발생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품종간 배상체 유기율은 Green valient 2.8%에서 Haisi의 21%까지 차이가 심하였으나 이배체율은 62~74%로 품종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Rokguray와 Haisi두 품종 약유래 계통의 포장특성 검정결과 초장, 엽수, 측지수, 화뢰의 지름은 다양한 변이를 보였으며 두 품종에서 유기된 계통들 중 조숙이며 초장이 크고 화뢰의 지름이 큰 계통과 중만생이며 엽수가 많고 화뢰의 지름이 작은 계통을 각각 5계통, 7계통을 선발하여 F$_1$육성 소재로 이용하였다.

  • PDF

인삼 약 배양을 통한 배 발생과 식물 재분화 및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배수성 검정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of Panax ginseng Meyer via anther culture and ploidy assessment using flow cytometry)

  • 이정우;방경환;김동휘;김장욱;김영창;조익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9-26
    • /
    • 2023
  • 이번 연구에서 인삼의 약 배양을 통한 배 형성과 식물체의 재분화가 확인되었다. 인삼의 약 배양에서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기본 배지는 MS 배지였고 sucrose 농도는 3%였으며, 배 형성에 적합한 호르몬 농도는 2,4-D 1.0 mg/L 또는 3.0 mg/L이었다. 저온 전처리에 의한 인삼 약 배양의 캘러스 유도와 배 형성의 효율성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인삼의 품종별 약 배양의 효율성을 검정한 결과, 청선 품종의 배 형성률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선운 품종은 배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약 배양으로 유도된 캘러스의 배수성을 검정한 결과, 반수체 캘러스가 확인되었지만 이 캘러스에서 배는 형성되지 않았다. 약 배양 유래의 배를 발아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식물체가 재분화 하였으며, 이 식물체의 배수성을 검정한 결과, 모두 2배체로 확인되었다. 추후 DNA 마커를 이용한 약 배양 유래 식물체의 동형접합성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삼 약 배양을 통하여 동형접합성 식물체를 생산할 수 있다면 인삼 육종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election of Herbicide Tolerant Cell lines from $\gamma$-ray-Irradiated Cell Cultures in Rice (Oryza sativa L. cv. Ilpumbyeo)

  • Bae, Chang-Hyu;Lee, Young-Ill;Lim, Yong-Pyo;Seo, Yong-Won;Lee, Do-Jin;Yang, Deuk-Chun;Lee, Hyo-Ye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23-127
    • /
    • 2002
  • Herbicide tolerant rice (Oryza sativa L. cv. Ilpumbyeo) cell lines were selected from $\gamma$-ray-irradiated anther-derived cell cultures. The anther-derived cell clusters were small (300 to 400 ${\mu}{\textrm}{m}$ in diameter) and uniform ones that were screened by miracloth filtering. The cell suspensions were very efficient to plate one layer onto agar medium and to screen target cell lines. Herbicide tolerant cell lines were selected by 5 mg/L cyhalofop butyl (CHB) treatment by using the small cell suspensions on agar N6 medium containing 1 mg/L 2,4-D and 0.2 mg/L kinetin. Of the cell lines, one line (CHB-1) showed stable tolerance at 10 mg/L concentration after 6-month culture without herbicide suspension. Growth stability of CHB-1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cell line on 10 mg/L CHB containing medium. In this experiment we established herbicide tolerant cell line selection system by using anther-derived uniform-cell suspensions with $\gamma$-ray-irradiation.

Varietal Difference Based on Efficiency of Rice Anther Floating Culture

  • Kang, Hyeon-Jung;Lee, Seong-Yeob;Kim, Hyun-Soon;Lee, Jae-G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35-340
    • /
    • 2002
  •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anther floating culture according to the maturing group, the varietal difference and classification of fifty varieties was conducted in N6 liquid medium containing 1mg $l^{-1}$ NAA, 0.25 mg $l^{-1}$ kinetin. The efficiency of callus induction was widely ranged from 0 to 113.4%, but the mean callus in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maturing groups. The efficiency of anther floating culture showed the highest variation in early-maturing group among three maturing groups. The varieties with the best callus induction were Sambaegbyeo and Jinbuolbyeo, while the recalcitrant variety was Obongbyeo in early-maturing group. The efficiency of plant re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trends in late-maturing group among three maturing groups. The fifty varie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distance=0.78)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Group including only two varieties, Shinunbongbyeo and Sambaegbyeo had the excellent androgenic efficiency, and the medium efficiency of Group was included thirty-six varieties. Whereas twelve varieties, including three Tongil varieties were fell into the bad efficiency of Group. Especially, Tongil varieties containing Japonica rice, Obongbyeo were the recalcitrant genotypes for the anther floating culture.

벼 배양약에서 약의 활력 연구 I. 품종 및 저온 전처리에 따른 호흡활성의 변화 (Studies on the Viability of Cultured Anther in Rice Anther Culture I. Changes of Respiratory Activity by Genotype and Cold-pretreatment)

  • Seung Yeob, Lee;Seon Yong, Lee;Jang Soo, Cho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8-253
    • /
    • 1988
  • 벼 약배양에 있어서 배양약의 viability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밀양 2003, 대청벼, 치악벼를 재료로 품종 및 저온전처리, 약의 갈변에 따른 호흡율의 변화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화분의 발육시기에 따른 배양전 약의 호흡활성은 개화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배양적기인 stage 3~4에서의 호흡율은 12.46 $O_2$ n mode/ml/h/another이었다. 배양약의 호흡활성의 변화는 3~9일경에 1차 정점을, 9~11일경에 2차 정점을 나타냈으며, Callus 형성능이 높은 대청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온전처리는 배양 초기의 호흡활성을 저하시켰으나 15일경부터는 무처리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저온전처리는 약의 갈변을 촉진하였으며, 갈변약에서 호흡활성이 높았다.

  • PDF

쌀보리 약배양을 위한 약치상 방법별 배양효율 (Anther Culture Efficiency According to Plating Method in Naked Barley)

  • 박태일;정선옥;김영진;김현순;서재환;박기훈;김정곤;윤성중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237-242
    • /
    • 2007
  • Barley anther culture is hard working to plating picking out anther from the glume and demand long time comparing to be short available development stage for effective culture. Also, it has been treatment massive materials due to low plantlet comparing to get desirable plants intensively. Consequently,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rying to be more high barley anther culture effectively in terms of save plating effort. Plating materials and culture temperature affected anther culture efficiency are among the inoculation tissues or organs such as anthers, spikelets and whole panicles, culture efficiency was higher with spikelets in two-rowed than six-rowed barley due primarily to a lower contamination, and calli were induced within 30 to 50 days.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rates were higher in cultures at $25^{\circ}C$ than at $15^{\circ}C$ and $20^{\circ}C$. Days to callus induction were 25 to 50 days at $25^{\circ}C$ and 50 to 60 days at $20^{\circ}C$.

Petunia hybrida의 약배양(約培養)으로부터 callus 형성(形成)에 미치는 배양조건(培養條件)의 영향(影響) (Effects of Culture Condition on Callus Formation from Anther Culture of Petunia hybrida)

  • 정재동;이정희;지선옥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157-164
    • /
    • 1992
  • 본 연구는 Petunia hybrida $F_1$ hybrid를 약배양(葯培養)하여 반수체(半數體)를 얻을 목적으로 약(葯)의 치상시기(置床時期)와 배지(培地)의 종류(種類),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종류와 농도, 약(葯)의 전처리(前處理)와 품종(品種)에 따른 캘러스 형성률을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약배양하기 전 0.8-1.2cm의 길이의 화뢰(花雷)가 달린 모본(母本)의 줄기를 $4^{\circ}C$에서 15일간 저온처리(低溫處理)하였다. 약을 채취하여 1/2 MS배지에 NAA 5.0mg/${\ell}$, BAP 0.5mg/${\ell}$를 첨가한 배지(sucrose 30g/${\ell}$, 2g/${\ell}$, pH 5.8)에서 배양 4주후 연녹색의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이들 캘러스로부터 배양 3주후 2ip 2.0mg/${\ell}$가 함유된 MS배지에서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 PDF

벼 약배양에서 콜히친이 식물체 배수성에 미치는 영양 (High Frequency Production of Doubled-haploid Plants by Colchicine Application in Anther Cultures of Rice)

  • 권용삼;이형규;박규환;손재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7-40
    • /
    • 2001
  • 벼의 약배양 배지 내에 콜히친 첨가에 의한 염색체 배가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콜히친의 농도를 0.001∼0.1 mg/L까지 조절하여 약배양하였을 때 콜히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캘러스 형성률과 식물체 분화율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폭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점점 커지는 경향이었다. 자포니카 3품종과 통일형 1품종을 콜히친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약배양하였을 때 반수체의 출현빈도가 50%이상 높게 나타난 반면, 이배체는 40% 이하의 낮은 발생빈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0.001 mg/L의 콜히친이 약배양 배지에 첨가될 경우 품종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반수체의 출현빈도는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이배체의 발생 비율이 54.3∼60%로 증가하였다.

  • PDF

벼 악배양 효율의 품종간 차이와 식물체 재분화 능력의 유전 (Varietal Difference and Inheritance of Plant Regenerability in Anther Culture of Rice)

  • 권용삼;손재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3-167
    • /
    • 2000
  • 벼 약배양에서 식물체 재분화 능력의 품종간 차이와 유전 양식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미벼’ 외 46품종의 녹색체 재분화율은 자포니카형이 통일형이나 인디카형보다 높게 나타났고, 동일 품종 생태형간에도 배양 효율은 다양한 변이폭을 나타내었다. 자포니카 품종중에서 ‘일미벼’와 ‘향남벼’는 각각 19.4%와 18.1%의 높은 재분화 능력을 나타내었다. ‘밀양 23호’와 ‘추청벼’가 교배된 F$_2$집단의 녹색체 재분화율은 평균 6.6%로 나타났고 0~33.3%까지 넓은 변이폭을 가지는 연속적인 빈도 분포양상을 나타내었다. 캘러스 형성률과 식물체 재분화 능력에 대해 추정된 광의의 유전력은 각각 72.8%와 82.7%로 추정되었다.

  • PDF

DNA marker를 이용한 벼의 조직배양 효율개선 (Improvement of cultural efficiency using DNA markers in anther and seed culture of rice)

  • 김홍집;김태헌;손재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7권
    • /
    • pp.21-28
    • /
    • 2009
  • 벼의 약 및 현미 배양효율과 관련된 DNA marker를 이용하여 인디카형 벼 품종인 'IR 36'의 조직배양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품종 간에 약 및 현미배양 효율을 비교한 결과 자포니카 > 통일형 > 인디카 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GRI집단의 약배양에서 식물체분화율이 높은 계통으로 선발된 'MGRI 079'와 'MGRI 036'의 약배양 효율은 각각 19.8%, 1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GRI 079'에 'IR 36'이 여교배되어 양성된 $BC_2F_4$ 90 계통에 대한 marker검정을 실시하여 positive band를 나타내는 34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다. 선발된 34계통 중 10 계통의 약배양에서 캘러스 형성률은 'IR 36' 보다 현저히 높았다. 선발된 10 계통의 현미배양에서도 캘러스형성 능력과 식물체재분화율이 'IR 36' 보다 높게 나타났다. $BC_2F_4$ 계통 중에서 식물체분화능력이 높은 계통으로 선발된 $BC_2F_4$-28은 간장이 'IR 36'보다 큰 편이었으나 출수기와 미립특성은 'IR 36'과 비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