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ring width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7초

편백(Chamaecyparis obtusa E.) 수간내에서의 결정상태의 변이성 (Variation of Crystalline State in a Stem of Chamaecyparis obtusa E.)

  • 김남훈;이기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20-25
    • /
    • 1998
  • Radial variation of crystalline state in a stem of Chamaecyparis obtusa E. was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analyses. Relative crystallinity and degree of crystallite orien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venile and adult wood. That is, Relative crystallin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ge from pith to about 20th annual ring, after which it reached a more or less constant value. On the other hand, degree of crystallite orientation decreased outward from pith to about 10 years and presented almost a constant value thereafter. Crystal width by Scherrer's equ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venile and adult wood.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crystallinity index and degree of crystallite orientation by x-ray diffraction method could be used for evaluating wood quality.

  • PDF

잣나무 생장과 목질부내의 전질소,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 조성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Growth Performance with Total Nitrogen, Carbon and Nitrogen Isotope Compositions in the Xylem of Pinus koraiensis)

  • 이위영;박응준;한상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53-358
    • /
    • 2010
  • 잣나무 목질부의 전질소 함량, 질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와 생장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목편을 채취, 목질부의 질소 함량, 질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를 측정하여 목편의 연륜 폭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목편의 연륜 폭과 ${\delta}^{13}C$ 및 전질소 함량과는 각각 p=0.003, p=0.024로 유의적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질소 함량과 ${\delta}^{13}C$값과도 정의 상관관계(p=0.038)가 있어 목질부의 $^{13}C$량이 높고 또한 전질소 함량이 높을수록 잣나무 생장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질부의 ${\delta}^{15}N$값과 C/N율이 낮을수록 연륜 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 가계간의 비교에서 생장이 우수한 가계일수록 그 목질부의 ${\delta}^{13}C$값이 큰 것으로 나타나 잣나무의 ${\delta}^{13}C$값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생장도 우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로 잣나무 목질부내의 ${\delta}^{13}C$값 및 전질소 함량은 생장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자로 추정된다.

나이테 분석법을 이용한 월악산 소나무 송진채취 시기 및 상처회복능력 조사 (Dating of Resin Collection from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at Mt. Worak and Investigation on the Tree' s Healing Ability using the Tree-ring Analysis Method)

  • 이요섭;서정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242-250
    • /
    • 2022
  • 나이테 분석법을 이용하여 과거 월악산에서 송진채취가 수행된 연도 및 계절을 밝혀 송진채취에 대한 정확한 역사를 밝히고, 송진채취로 생긴 상처의 자연 회복능력을 조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송진채취 시기는 송진채취 상처부에서 획득된 나이테와 반대쪽 정상부에서 획득한 나이테로 작성된 연륜폭연대기를 상호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송진채취 상처를 가지고 있는 소나무 13본을 선발하였다. 상처회복능력 조사를 위해 선발된 13본 중 3본은 고사목이며, 송진채취 상처 피복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디스크 형태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표준연륜폭연대기와 상처부 나이테를 이용하여 작성된 개체별 연륜폭연대기들을 비교하고, 최외곽 나이테에서 관찰되는 목재세포를 실체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송진채취는 1962년 봄부터 1975년 가을 사이에 수행되었다. 송진채취에 의한 상처는 42년 동안 접선방향으로 평균 15.8 cm 피복되었으며, 매년 평균 0.38 cm가 피복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록되지 않은 송진채취에 관한 정확한 시대정보와 소나무의 상처치유 능력이 확인되었다.

The Effects of CO2 Enrichment on the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 En-Bi CHOI;Hyemin LIM;Jeong-Wook SE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289-299
    • /
    • 2024
  •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2 enrichment on the width of annual tree rings, earlywood and latewood, and the area of annu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grown in open-top chamber (OTC). To this end, two CO2 enrichment cases were considered, namely 1.4 × increment (560 ppm in OTC-II) and 1.8 × (720 ppm in OTC-III)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atmosphere (400 ppm in OTC-I). The CO2 enrichment conditions for a period of 12 years (2010-2021) were considered, and all measurements were done through image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the increment in CO2 concentrations positively affected the tree growth. The measurement data from the trees in OTC-III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from OTC-I, whereas those from OTC-II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from OTC-I. Decreasing patterns of the measured widths and area in 6-7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CO2 enrichment was found for all the OTCs. These patterns were possibly due to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features, such as aging.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have potential uses as fundamental data for forest management considering CO2 concentrations.

연륜 변화를 이용한 의성지역 주요 조림수종의 생장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the Main Afforestation Species Using the Change of the Annual Ring in Uiseong Area)

  • 이동섭;김동근;배관호;서형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4-281
    • /
    • 2005
  • 의성군의 기후특성은 여름 고온과 강우집중이 높으며, 이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겨울에 저온과 건조가 심하고, 점진적으로 저온일이 증가하고, 강-우량이 감소하는 지역이다. 또한 의성군 조림지의 토양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전형인 pH $4.5\~5.6$사이의 산성토양으로 나타났으며, 부식층의 두께는 조림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A층의 두께는 평균 $10\~20cm$ 정도로 비교적 얕은 편이었다. 또한 전형적인 갈색 산림토양을 나타내고 있고 일부 아카시나무 조림지는 층위의 구분이 불분명한 미숙 토양으로 나타났다. 의성군 지역의 임지환경에 따른 주요조림 수종의 생장특성은 낙엽송의 경우 성재재적이 가능한 흉고직경 6cm에 도달하는 기간이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7년에서 19년 사이에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사면에서 동사면이나 북동사면에 비하여 연륜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서사면과 동북사면에서 연륜폭의 변화가 적고 고른 반면 남사면과 동사면에서는 연륜의 변화폭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비슷한 수령과 토양에서 사면방향이 다른 차이만으로도 연륜폭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7\~9$년 정도에 가능하며 연년생장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도 19년 내외가 되면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에 있어서 연륜폭은 전체적으로 사면 특성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현재 까지 특별한 간벌이 없는 관계로 점진적으로 연년생장량이 감소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북동사면과 남서사면간의 비교에서는 연륜폭 변화가 서사면과 동사면의 비교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입지에 상관없이 6년 정도 소요되면 연년생장량은 약 19년 전후에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져서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리나무에 있어서는 임지내에서 계곡부와 산록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상수리나무 또한 토양이 비교적 비옥하고 보습성이 높은 계곡부에서 연륜의 변화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 또한 비교적 시계열적으로 떨어지면 조림 후 17년 전후해서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카시나무는 사면방향에 따른 변이보다는 기후 등의 영향으로 연륜폭 변화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북서사면과 북동사면 사이에 연륜폭 변화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요 조림수종은 성재재적이 되는 흉고직경 6cm에 이르는 시기가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며,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3년에서 19년 사이에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송의 경우 사면방위에 따라 조림의 성공과 생육이 결정되며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는 사면방위, 기후가 영향을 미치며, 조림 후 임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수리나무, 아카시나무 등의 활엽수종에서도 자연발생적인 임지라 하더라도 임지의 관리를 통한 충분한 보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Philippi)의 자원관리I. 연령과 성장 (Management of the Hen Clam, Mactra chinensis Philippi, on the Coast of Kunsan. I. Age and Growth)

  • 류동기;김용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2001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전라북도 군산시 하제 연안에 서식하는 개량조개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개량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 1 회 형성되며 주 윤문 형성시기는 8월에서 9월로 조사되었다. 초륜 형성기간은 15 개월 (1.25년)로 나타났다. 각장 (SL) 과 전중 (TW) 간의 관계는 TW = 2.2476 $\times$ $10^{-5}$ SL$^{3.536}$ 이었으며, 각장 (SL) 과 각고 (SH) 간의 관계는 SH = 0.7545 SL - 0.0145 이고, 각장 (SL) 과 각폭 (SW) 간의 관계는 SW = 0.5336 SL - 2.4253 였다. 연령 (t) 에 대한 각장 (SL$_{t}$ ) 과 전중(TW$_{t}$ )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L$_{t}$ =60.02[1 - e$^{-0.6458(t-0.3895)}$ ], 이고 Twt = 43.63[1 - e$^{0.6458(t-0.3895)}$ ]$^{3.536}$ 였다.

  • PDF

가야금(伽倻琴) 향판재(響板材)의 개선(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mprovements for GAYAKUM Sounding Boards)

  • 홍병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65-78
    • /
    • 1990
  •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ounding boards for the conventional GAYAKUM, I was making approximately 202 specimens of radial board, 371 specimens of tangential board by cutting along the grain and the part of stem and 31 specimens of the disjointed traditional GAYAKUM made in Paulownia coreana. And it was conducted to measure specific gravity, dynamic Young's modulus, internal friction, resonant frequency, velosity of sound and width of annual ring by the method of the frexural vibration in a free-free bar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And it confirmed the juvenile wood by measuring wood fiber length of specimens. It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dynamic properties and moisture absorption by various heat-treatment and to test dynamic Young's modulus and internal friction for the disjointed conventional GAYAKUM.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Juvenile wood is located within about 7 annual rings from the pith in Paulownia coreana. 2. As increased with the specific gravity, the dynamic Young's modulus had more and more increased, but the internal friction had slightly decreased. 3. I think that radial board would be good for sounding board wood. because radial board is higher than tangential board in dynamic Young's mudulus and internal friction is lower than tangential board. 4. The value of mean dynamic Young's modulus on the conventional GAYAKUM, radial board and tangential board of 604 samples is $0.4283\pm0.037(\times10^{11}dyne/cm^2)$, $0.4316\pm(\times10^{11}dyne/cm^2)$ and $0.4234\pm0.112(\times10^{11}dyne/cm^2)$ respectively. The value of the radial board showed little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GAYAKUM, but It had a similar tendency between conventional GAYAKUM and tangential board. 5. The annual ring width by four aspect is more narrow in north and west than that of others. 6. The values of specific gravity and dynamic Young's modulus in the mature wood showed higher than those of juvenile wood. 7. As the grain angle in the butt wood more increased to bark from pith, the dynamic Young's modulus were low. Then it was not good for sounding board. 8. It appeared that the heat-treatment for sounding board wood had a more effect to do the treatment of hotiron on surface after heat-treatment during 24 hours in $60^{\circ}C$ temperature. 9. As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 the rate of moisture absorption of heat-treatment wood had decreased. In conclusion, I thought that the sounding board wood for GAYAKUM would had the most effect to do the treatment of hotiron on surface after heat-treatment during 24 hours in $60^{\circ}C$ temperature using the radial board of mature wood.

  • PDF

노거수 수령 추정을 위한 지역별 연륜연대기 구축 및 활용 (Establishing Local Master Ring-Width Chronologies and Their Utilization for Estimating The Age of Big Old Trees)

  • 오정애;서정욱;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85-95
    • /
    • 2017
  •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노거수 수령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청북도 괴산군(CBGS), 전라남도 구례군(JNGR), 경상북도 울진군(GBUJ)이며, 수종은 각 지역의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와 소나무로 하였다. CBGS, JNGR, GBUJ에서 채취한 느티나무는 각각 12, 8, 6본이며, 소나무는 각각 10, 3, 9본이다. 시료(생장편)는 생장추(직경 5.2 mm)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정확한 연륜측정을 위해 느티나무는 활주식 마이크로톰으로 횡단면을 절삭하였으며, 소나무는 사포를 이용하여 횡단면을 연마하였다. 연륜폭은 이용하여 0.01 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느티나무의 경우 CBGS와 GBUJ에서 203 (1813~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작성되었으며, JNGR에서는 175 (1841~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소나무의 경우 CBGS, JNGR, GBUJ에서 각각 154(1862~2015)년, 175 (1841~2015)년, 250 (1776~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느티나무와 소나무의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를 상호 비교한 결과 대부분 낮은 t 값과 Glk 값을 보여 대표연륜연대기 상호간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50년 평균 기온과 강수량 분포도를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와 비교한 결과, 지역별 대표 연륜연대기 패턴은 온도보다 강수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한 정확한 수령추정을 위해선 강수량이 고려된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월악산에 식재된 잣나무와 화백나무의 형성층 활동과 기후인자와의 관계 (The Association of Intra-Annual Cambial Activities of Pinus koraiensis and Chamaecyparis pisifera planted in Mt. Worak with Climatic Factors)

  • 서정욱;최은비;주정덕;신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43-52
    • /
    • 2017
  • 본 연구는 월악산에 식재된 잣나무와 화백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모니터링 하여, 1) 수종에 따른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확인하고, 2) 적산온도가 형성층 활동 개시에 미치는 영향과 3) 생육기간 중 강수량이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식재연도가 동일하지만 직경생장이 다른 두 그룹(DBH 평균 30 cm (CPL)와 15 cm(CPS))의 화백나무 생장패턴도 함께 조사하였다.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을 위해 미니코어를 활용하였으며, 시료채취는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실시되었다. 형성층 활동 개시와 종료가 기대되는 4-5월과 9월 중순-10월은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연륜분석 결과 잣나무의 평균 연륜 수는 30개로 CPS와 CPL보다 7 (CPS) 또는 8 (CPL)개 적었다. 반면, 잣나무의 평균 연륜폭은 4.12 mm로 CPL (3.97 mm)과 CPS (1.84 mm)보다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백나무 상호비교에서는 CPL의 평균 연륜폭이 CPS보다 2.13 mm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최근 3년간 평균 연륜폭을 비교한 결과 CPS1 (0.83 mm)를 제외한 CPS2 (2.42 mm)와 CPS3 (2.73 mm)은 CPL (2.71 mm) 그룹과 유사하였다. PK의 형성층 활동 개시는 4월 13일과 21일 사이로 CPS1를 제외한 화백나무보다 일주일 정도 빨랐으며, 종료는 9월 1일과 22일 사이로 형성층 활동 최대기간이 157.3 (${\pm}3.3$)일이었으며, CPS ($145.7{\pm}6.6$일)와 CPL ($148.0{\pm}15.1$일)보다 길었다. 화백나무의 경우 형성층 활동 종료 시기에 차이가 많았으며, 형성층 활동기간과 연륜폭 상호간 상관분석에서는 유의수준에 근접한 결과(r = 0.69, p < 0.064)를 보였다. 잣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유도하는 적산온도는 99와 134 사이였으며, CPS1 (274)을 제외한 화백나무는 134와 200 사이었다. CPS3을 제외한 모든 수목은 7월 21일에 채취한 시료에서 위연륜(false ring)이 관찰되었으며, 그 원인이 여름철 강수량 부족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리산산(智異山産) 참나무류(類)의 목섬유(木纖維) 변이(變移)에 관(關)하여 (On the Variation of Wood Fiber Dimensions of the Oak grown in Mt. Jiri)

  • 홍병화;문창국;신동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1972
  • 지리산산(智異山産) 참나무류(類)의 목섬유(木纖維) 변이(變移)를 알고져 신갈나무, 졸참나무 및 굴참나무 3수종(樹種)에 대(對)하여 수(髓)에서 부터 2년륜(年輪)씩 28년륜(年輪)까지 취(取)하여 그 변이(變移)를 조사(調査)한바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목섬유장(木纖維長)의 범위(範圍)는 신갈나무는 $640{\sim}1,544{\mu}$(평균(平均) $1,142.3{\mu}$)이며 변이계수(變移係數)는 8~16%, 졸참나무는 $592{\sim}1,600{\mu}$(평균(平均) $1,179.6{\mu}$)이며 변이계수(變移係數)는 6~21%, 굴참나무는 $672{\sim}1,592{\mu}$ (평균(平均) $1,298.9{\mu}$)이며 변이계수(變異係數)는 2~15%으로 3 수종(樹種) 공(共)히 16년륜(年輪)까지 목섬유장(木纖維長)은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고 이후(以後)는 약간의 변동(變動)이 있으나 거의 안정상태(安定狀態)를 유지 하였다. 2. 목섬유(木纖維) 폭(幅) 및 막후(膜厚)는 폭(幅)이 $7.6{\sim}10{\mu}$(평균(平均) $9.3{\mu}$)이였으며 막후(膜厚)는 $20{\sim}3.2{\mu}$(평균(平均) $2.6{\mu}$)으로 3수종(樹種) 공(共)히 연륜(年輪)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增加)하나 목섬유장(木纖維長)에 비(比)하면 극히 완만한 안정상태(安定狀態)의 변화(變化)를 보이고 있다. 3. 수종간(樹種間) 목섬유장(木纖維長) 차(差)를 알고져 유의성(有意性)을 검정(檢定)한바 유의차(有意差)가 없으므로 수종간(樹種間) 식별(識別)의 요인(要因)으로는 의의(意義)가 없다. 4. 지질(紙質)을 좌우(左右)하는 요소(要素) 즉(卽) 목섬유결합면적(木纖維結合面積), 룬켈 계수(係數) 및 유연계수(柔軟係數)를 산출(産出)한바 펄프재(材)로도 유용(有用)하다고 인정(認定)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