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ring growth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금제연안에 서식하는 바지락 , Ruditapes philippinarum ( Pelecypoda : Veneridae ) 의 생식소발달과 연령 및 성장 (Gonadal Development, Age and Growth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Pelecypoda : Veneridae ), on the Coast of Kimje, Korea ))

  • Chung, Ee-Yung;Ryou, Dong-Ki;Lee, Ju-H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8-48
    • /
    • 1994
  • Gonadal developmint, age and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from the intertidal zone of Simpo on the coast of Kimje, Korea, which were collected onthly for one year from Februaty 1993 to January 1994.Ruditapes philippinarum is diecious in sex. The gonads are located between the subregion of the midintestinal glands and reticular connective tissue of the foot. The ovary is composed of a number of ovarian sacs, and the testis is composed of numerous seminiferous tubules. The clam spawns once a year from early June to darly Octo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the water temperature went above 23$^{\circ}C$. Ripe oocytes are about 65-70${\mu}{\textrm}{m}$ in diameter. Gonadal phases of this species can be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multiplicative(February to March), growing (April to May), mature(Aprilto Septimber), spent(June to October), and degenerative and resting(july to March). Spaw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sea water temperature.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s of marginal index (MI')of the shell, it was suggested that the annual ring mark formation occurred in March once a year and took approximately 8 months (0.67 year) for first ring to be formed on the she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SL) and the total weight (TW) was represented by nonlinear equation; TW=1.208 x 10/ sup -4/ S $L^{3.158}$, and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the shell length (SL) and the shell height(SH), the shell length and the shell width (SW) were represented by the linear equations; SH=0.726 SL-0.483, SW=0.542 SL-0.803.Growth curves for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fitted to von Bertalanffs equation were expressed as: S $L_{t}$ =68.34(1- $e^{0.221}$(t+0.418)) T $W_{t}$ =75.16(1- $e^{0.221}$(t=0.418))$^{3.158/3.158}$

  • PDF

한국산의 죽류에 관한 연구 (제5보) Phyllotachys reticulata(참대)의 연령식별법에 대하여

  • 정현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2호
    • /
    • pp.13-16
    • /
    • 1962
  • Without annual ring, the bamboo can not measured by ordinary mensuration method. Other methods yet tried failed to prove the reliability. That means, as often pointed out, that the bamboo lumbering (including forest management) is not free from being precarious. Noting the fact, this author performed a serieds of comparative observations on a group of bamboos in different stages of growth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is any surer mensurability. A conclusion has been reached that the external feature of joints of branch has close connection with the age of bamboo, that the joints of the third major branch counting from the ground have, as shown in the first table, the most probability, its mean being 94.3 per cent, and that those in ages of 3 to 5 have the probability of 100 per cent, showing the far greater accuracy as compared with those in older ages. The above conclusion needs to be adjusted with the following findings; 1) When observed disregarding the joint-tongue(the remainder of the preceeding year's sheath), the major branches show no better probability than the minor ones. 54 to 78 per cent of them shows no difference between them. Probability is averaged by 60 per cent. 2) When in spring the old sheaths drop away from the joints, the new ones sprout out in their places and consequently the joints present an appearance of a kind of joint-ring. But since this joint-ring does not always exactly represent the plant age, some other method must be sought after to count the age. This author noticed what is called "joint-tongue" the tongue-like part of triangle shape which remains at the base of the sheath of the fallen leaf. A fact was ascertained that when the number of the joint-ring coincides with that of the remaining joint-tongue, it exactly indicates the age of the plant.the plant.

  • PDF

레지스토그래피를 이용한 수령조사 가능성 검토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Investigating Tree Ages Using Resistograph)

  • Oh, Jung-ae;Seo, Jeong-Wook;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90-100
    • /
    • 2019
  • 본 연구는 수목의 수령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레지스토그래피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수종별로 가장 적합한 삽입속도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회전속도는 1,500 r/min로 고정하였다. 수종은 낙엽송, 더글라스 퍼, 잣나무, 전나무, 느티나무이다. 실험결과 수종에 따른 적합한 삽입속도는 느티나무 75 cm/min, 낙엽송과 더글라스 퍼 100 cm/min, 전나무 150 cm/min, 잣나무 175 cm/min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서 연륜폭이 1 mm이하일 경우 연륜경계 확인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륜폭이 1 mm이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륜폭측정기와 레지스토그래피의 연륜폭그래프는 매우 일치하였다. 향후 연륜폭이 1mm 이하인 미세연륜 확인이 가능한 레지스토그래피가 개발된다면 레지스토그래피가 수령조사를 위해 전통적으로 활용되는 생장편의 연륜관찰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지스토그래피의 연륜폭그래프는 생장량 조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완도 영흥지선 연안의 천연 바지락 자원에 대한 연구 (Study on natural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tocks in Yeongheung coast of Wando Island, Korea)

  • 조상만;이종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6
    • /
    • 2012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troduction of oyster rack culture on natural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tock,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natural clam stock prior to introduction of oyster rack culture at Yeongheung Coast of Wando Island. The growth equation of the clam was estimated as: $L_t=61.46{\cdot}(1-e^{-0.172(t+0.155)})$ from ring radius composition of shell.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and natural mortality were calculated as: 2.4087/year and 0.478/year, respectively. The age at first capture was estimated to be 2.55 year. The total biomass was estimated to 3.23 ton in the bed (0.8 ha). Applied by these parameters, the annual recruit biomass and the current yield per recruit (Y/R) was corresponded to $114.7individuals/m^2$ and $92.0g/m^2$, respectively.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was estimated 0.77 ton/year which was close to annual catches, 0.74 ton/year, in the area.

한국 서해산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지현;김종식;김용호;정의영;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32
    • /
    • 2003
  •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충남 보령연안에 서식하는 살조개 총 2,591 개체를 채집하여 연령과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살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연 1회 형성되었으며, 윤문형성 시기는 2-3월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고(SH)에 대한 각장 (SL), 각폭 (SW) 및 총중량 (TW) 사이의 상대성장 관계는 각각 SL = 1.1067 SH + 1.778, SW = 0.6758 SH - 0.9824, TW = 0.0007 SH$^{2.8919}$이었고, 연령 (t) 에 대한 각고와 총중량으로부터 구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SH$_t$ = 81.546(1-e$^{-0.176(t+0.381)}$), $_t$ = 81.546(1-e$^{-0.176(t+0.381)}$)이었다.

  • PDF

Comparing NDVI to maximum latewood density of annual tree rings in a boreal coniferous forest in North China

  • He, Jicheng;Shao, Xuemei;Wang, Lil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34-36
    • /
    • 2003
  • In boreal conifers in China's Northeast area, maximum latewood density (MXD) of tree-ring varies in response to growing season temperature. Forest net productivity can be estimated using the Normalized-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calculated from satellite sensor data. MXD from the Mohe site in this area was compared with estimates of NPP for 1982-1999 produced by the NDVI model, which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leaf area index (LAI) and NDVI. The result shows that the MXD seri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NDVI model estimates series, suggesting that MXD appeared to be an appropriate index for productivity or canopy growth in region where forest productivity is strongly temperature-related.

  • PDF

아한대 침엽수류 연륜연대기를 이용한 중부산간지역의 고기후복원 (Paleoclimate Reconstruction for Chungbu Mountainous Region Using Tree-ring Chronology)

  • 최종남;유근배;박원규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32
    • /
    • 1992
  • The paleoclimate of the Chungbu Mountainous Region, Mts. Seorak and Sobaek, was estimated by means of dendroclimatic methodology, The annual growth value of tree-rings is deeply interrelated with the mean temperature of April-May and July-August. The mean temperature of April-May of the reconstruction period(1635-1911), observation period(1912-1989), and the whole period(1635-1989) is 13.58$^{\circ}C$, 13.69$^{\circ}C$, and 13.6$0^{\circ}C$, respectively. That of July-August is $24.50^{\circ}C$, $24.62^{\circ}C$, and $24.58^{\circ}C$ respectively. The reconstructed mean temperature data for April-May and for July-August reveal 13.2 and 12.9 year cycles.

  • PDF

해안 곰솔림 내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 (Inhibitory Factor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 정성철;구교상;김경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17-724
    • /
    • 2011
  • 본 연구는 해안 곰솔림에 생육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까시나무의 생장특성과 임내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다. 해안 곰솔림 내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을 분석한 결과, 염분농도가 높은 0m 지점에서 잎의 갈변, 위조, 조기낙엽 현상이 나타나 염분이 아까시나무의 생장억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토양특성과 광환경은 식재지점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생장에 있어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해안측에 생장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수평근 연륜분석 결과, 2년생 개체의 근주에서 0.1~0.2m 떨어진 수평근 연륜에서도 1년 밖에 형성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수평근으로 영양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평근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수평근의 신장과 개체의 신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안측으로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Windows용 수간석해(樹幹析解) 프로그램(Stemwin1.0)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Stem Analysis Program(Stemwin1.0) for Windows)

  • 이준학;이우균;서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31-33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C기반의 Windows운영체제에서 운용될 수 있는 수간석해 프로그램(Stemwin1.0)을 개발하였다. Stemwin1.0에서는 연륜측정기에서 1/100mm 단위로 측정된 l년 단위의 연륜폭 자료를 입력받아 흉고직경 및 단면적, 수고, 재적 등 각종 생장량을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수령별 평균 흉고직경 및 단면적은 산술 및 단면적 평균법을 적용해 계산할 수 있으며, 수고생장은 평행선법, 직선연장법, 수고곡선법 등에 의해 다양하게 추정할 수 있다. 재적은 Huber식, Smalian식, Spline식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해 추정할 수 있다. 선택된 계산방법에 따라 상가 각 생장인자의 총, 평균 및 연년 생장량 뿐만 아니라 이용재적 및 수고, 형수, 생장률 이용률 등의 생장 관련 정보가 1년 단위로 자동 계산된다. 또한, 1년 단위의 정밀한 간곡선도를 다양한 축척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간곡선식 유도를 위한 통계분석용 자료(단판 높이별 직경)도 제시된다. Stemwin1.0에서는 계산결과를 MS-Excel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Purple Sea Urchin, Anthocidaris crassispina in Cheju Island)

  • 홍성완;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2-308
    • /
    • 1998
  • 1995년 8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제주도 남제주군 대포리 연안에서 채집한 보라성게의 연령형질 (생식판)로서 성장을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판 (madreporite)에 나타나는 윤문은 2세에서 6세군까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2. 각장 (test diameter : TD)과 생식판경 (radius : R)과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TD= 22.58R-6.01 (r=0.960) 3. 월별 연변성장율 ($MGR\;:\;(R-r_n)/(r_n-r_{n-1})$)조사에서 추정한 윤문형성시기는 3월에서 5월 사이였다. 4. 각장조성의 월별 성장 경향은 12월에서 이듬해 3월 사이가 주 성장기였고, 4월에서 6월 사이는 성장의 휴지기, 그 외의 기간은 아주 완만한 성장을 하였다. 5. Bertalanffy식이 Gompertz식과 Logistic식보다 잔차 평방합이 적었고, 그 성장식은 다음과 같았다. $$L_t=46.65 (1-e^{-0.283(t+9.210)})$$, $$W_t=44.90 (1-e^{-0.283(t+9.210)})^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