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reproductive cycl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9초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Coastal Waters of Korea)

  •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7-35
    • /
    • 2020
  •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has seen a sharp decline in their catch, we must strive for continuous resource management. We investigated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T. modestus by trawl net and set net from January 2018 to November 2019, off Jeju Is. and in coastal waters of North Gyeongsang Province's Korea. We analyzed monthly change total length (cm), gonadosomatic index (GSI) and maturity stages, egg diameter (mm), the relations fecundity and total length. GSI for Jeju Is. was the highest in April (3.17, 2.43), and decreased from July to 1.73 in August and GyeongBuk's GSI was the highest in Apri l (1.86, 2.58), followed by the high in May and the sharp decline in September, which is 0.23. Using a histological method,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 modestus can be divided into 5stage in females; the early growing stage (Jan.-Mar.), late growing stage (Apr.-May), Mature stage, spent stage (Oct.), Recover and resting stage (Nov.-Jan.).We estimate the TL at 50% maturity as 24.1cm for female, fecundity ranged from 560,044 eggs at 23.4cm total length to 1,580,387 eggs at 36.6.cm TL.

Maturity and Spawning of Snailfish, Liparis ochotensis (Schmidt), in the East Sea

  • Yang, Jae-Hyeong;Lee, Sung-Il;Yoon, Sang-Chul;Kim, Jong-Bin;Chun, Young-Yul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32-339
    • /
    • 2010
  •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snailfish, Liparis ochotensis was investigated based on samples collected by gill net in the East Sea of Korea from December 2008 to December 2009. The average total length of L. ochotensis was 63.4 cm and 64.1 cm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Gonadosomatic index (GSI) began to increase in July, reaching a maximum in November, then began to decrease in December. Monthly changes in the GSI values of L. ochotensis were similar for females and males.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in females: early growing stage (May), late growing stage (June to July), mature stage (August to September), ripe and spent stage (September to December), and recovery and resting stage (January to April). Males show four successive stages; growing stage (May to July), mature stage (August to September), ripe and spent stage (September to December), and recovery and resting stage (January to April).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TL) and fecundity (F) was F=$0.00003TL^{4.002}$ ($R^2$ = 0.703), and F increased with TL. Total length at 50% group maturity was estimated to be 55.8 cm.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pawning period takes place from September to December, with the main spawning period occurring from October to December.

제주도 함덕 연안에 서식하는 구멍연잎성게, Astriclypeus manni (VERRIL 1867)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Sand Dollar, Astriclypeus manni (VERRIL 1867), in Hamdock, Cheju Korea)

  • 강도형;최광식;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5-352
    • /
    • 1999
  • 이 연구는 제주도 함덕연안에 분포하는 구멍연잎성게의 생태 및 번식생활사에 관한 연구보고서이다. 시료는 북제주군 함덕에서 SCUBA를 통하여 채집하였으며, 실험실로 옮긴 뒤, 크기 및 생식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멍연잎성게의 크기는 각장 80$\~$200mm 이었으며, 각장 140$\~$170mm 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N=129). 구멍연잎성게는 세립질 또는 미립질 ($125\~250\mu$m ($2\~3\phi$))의 사질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퇴적물내의 유기물을 섭취하는 퇴적물식자로 확인되었다. 성숙한 암컷의 생식소는 보라색을 띠며, 수컷은 짙은 노란색을 띤다. 암, 수 모두 11$\~$3월 사이 휴지기를 거쳐 6월경에 성숙하며, 주 방란 방정은 7$\~$10월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암컷의 경우 성숙한 난은 그 직경이 평균 381$\mu$m이었다.

  • PDF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생식기구 및 개체군 동태 1. 생식기구 (Reproduc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3. Reproduction)

  • 이택열;강용주;이병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3-261
    • /
    • 1985
  • 부산근해산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를 대상으로 1983년 12월부터 1984년 11월까 주년에 걸쳐 생식소숙도지수(GSI)의 연간변화를 비롯하여 배우자형성과정 및 생식연주기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난경조성에 의한 산란기간에 개체당 산란회수, 생식주기와 관련하여 간숙도지수(HSI)와 비만도변화 등을 조사함으로써 생식주기성립기구를 고찰하였다. GSI는 일장이 단일화되며 수온이 하강되는 추계에 상승하기 시작하여 연중 최저수온과 최단일인 12월에 최대치를 나타낸다. 배우자는 6월부터 생식소가 활성화되어 난원세포 및 정원세포의 활발한 분열증식이 일어나며, 10월에 성숙기에 이르고, 12월에 완숙되어 12월하순부터 1월에 걸쳐 산란기를 가진다. 산란후 2월부터 5월까지 생식소는 퇴화${\cdot}$위축된 상태로 휴지기를 갖는다. 한 산란기동안 개체들은 1회 산란을 한다. 난모세포가 난황을 활발하게 축적하기 시작하는 난황구기부터는 간으로 부터 합성된 Vitellogenin을 공급받는 것으로 간주되며, 방란${\cdot}$방정에 의한 체력소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문치가자미는 전형적인 동계산란종으로 단일광주기와 저수온이 생식세포형성 및 난모세포의 성숙촉진에 직접 관여하며, 배란 역시 이들 환경요인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성성숙에 따른 간세포의 활성변화 (Changes of the Activity of the Liver Cells Accompanied with the Reproductive Cycle of Greenling, Agrammus agrammus(Temminck et Schlegel))

  • 정의영;김형배;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91
    • /
    • 1986
  • 1983년 9월부터 1984년 8월까지 부산시 해운대 동백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노래미. Agrammus agrammus를 대상으로 생식소의 발달과 간의 활성변화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간숙도지수(HSI)의 연간변화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생식주기에 따른 간세포의 활성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간숙도지수(HSI)의 연간변화는 수컷의 경우 뚜렸하지 않으나 암컷의 경우는 추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소가 성숙하는 동계에 최대에 이른다. 암컷에 있어서 난모세포들이 난황물질을 축적하는 시기에는 간세포들의 크기는 점차로 커지며 핵과 인도 역시 커진다. 이때에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의 양은 점차로 감소되나 호염기성의 핵산물질(RNA)은 증가된다. 또한 간세포질내에는 조면소포체들이 발달 증가하는데 이들은 단백질합성과 vitellogenin 축적에 관여하고 핵근처에 나타나는 골지체는 lipoprotein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방난 직전의 암컷의 간세포질내에는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이 급격히 감소되나 호염기성물질(RNA)은 세포질의 주변구역에서 특히 고농도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방난 이후에는 이와 반대의 현상이 관찰된다. 수컷의 경우는 성적으로 성숙해 감에 따라 간세포질내에 호염기성물질이 점차로 증가하며, 암컷과 달리 글리코겐과 지방적의 양도 다량으로 관찰된다. 반면, 방정기 이후에는 간세포질내의 호염기성물질은 감소된다.

  • PDF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성 성숙 (Sexual maturation of the bluespotted mud hopper,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

  • 정의영;안철민;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7-176
    • /
    • 1991
  • 1988년 4월부터 10월까지, 1989년 6월부터 8월까지 전북 옥구군 회현면 월연리 앞바다에서 채집된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외부 형태, 생식소숙도지수(GSI)와 생식소의 조직학적 방법에 의한 생식주기, 산난기 난소내 난경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는 경골어류의 전형적인 낭상형이고, 정소는 가느다란 관상형이다. 2.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수컷과 암컷이 각각 6, 7월에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며, 수컷이 한달 빨리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들 생식소는 수온상승과 함께 활성화 되어 최고 수온기전에 산난기를 마친다. 3. 산난기를 마친 개체의 난소내에는 잔존하는 난모세포중 여포형성을 하지 못한 초기난모세포들은 퇴화하지 않고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성장에 참여하고 있다. 4. 생식주기는 수온이 상승되는 4월부터 활성화되어 5월 성장기, 6월에서 7월초순 성숙기 그리고 6월말에서 8월초까지 완숙 및 산난기, 9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퇴화 및 휴지기 상태를 나타낸다. 5. 짱둥어의 산란기동안 난소내 난경조성 및 생식소숙도지수를 조사한 결과 적어도 2회이상 산란하는 종으로 밝혀졌다.

  • PDF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Temminck et Schlegel)의 성성숙과 산란 (On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reenling, Hexagrammos grammus(Temminck et Schlegel))

  • 정의영;김성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2-236
    • /
    • 1994
  • 1991년 7월부터 1992년 7월까지 부산시 해운대 동백섬 조간대에서 채집된 노래미, Hexagram mosagrammus를 대상으로 성성숙에 관련된 제반 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추계인 9월부터 증가하여 11월에 년중 최고값인 암 4.31, 수 1.61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12월부터 감소하여 춘하계 동안 낮은값을 유지하였다. 2. 간숙도지수(HSI)는 수컷의 경우 뚜렷하지는 않으나, 암컷은 생식소숙도지수와 동일하게 변화하여 생식소가 활성화되는 9월부터 중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2.32의 년중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3. 군성숙도는 암수 모두에서 표준체장 11.0~11.9 cm에서 50 % 이상, 13.0~13.9 cm에서 100 %로 전 개체가 생식에 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성숙 및 산란기인 9월에서 12윌사이 난소내 난경조성의 결과에서 노래미는 한 산란기에 3회 이상의 산란을 행하는 다회 산란종으로 밝혀졌다. 5.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체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전중과의 관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비만도는 성장기인 9월에 암수 각각 15.32, 15.14로 최고값을 보인 후 산란기를 지나며 크게 감소하였으며, 3월부터는 다시 서서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만도의 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막만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생식소 발달과 체성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biochemical composition and gonadal development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Bivalvia: Arcidae) from Gamag bay of Southern coast, Korea)

  • 신윤경;임재현;손맹현;김응오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3-79
    • /
    • 2012
  • 전남 여수시 가막만에서 양식되고 있는 피조개를 대상으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 동안 근육, 내장낭 및 몸체의 생화학적 체성분의 변동과 생식주기간의 관계를 계절적인 변동과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피조개 양식장의 월별 평균 수온은 겨울에 $7-12^{\circ}C$, 여름에 $20-25^{\circ}C$였으며, 염분은 평균 30.1-33.8‰에서 변화하였다. 영양염의 계절적 변화는 9월에 최대 ($13.04{\mu}g/L$) 를 보였으며, 연 평균농도는 $4.6{\mu}g/L$였다. 피조개의 주산란기는 7-8월이었으며, 겨울동안 생식소는 불활성기를 나타내었다. 단백질함량은 내장낭에서 낮았다. 체성분 가운데 가장 큰 변화는 내장낭내 지질과 탄수화물이었으며, 기관별 단백질은 연중 비교적 일정하였다. 내장낭은 생식주기 동안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내장낭내 수분과 지방의 함량은 다소 역관계를 보였다. 지방함량의 최대시기인 불활성기에 수분이 최소였으며, 산란 직후 지방함항은 가장 낮았으며, 지방이 소모되면서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내장낭내 단백질 량은 근육에 비해 낮았다. 내장낭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생식소 발달과정동안 에너지원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하며,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 기초대사유지를 위해 이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2. 성숙과 산난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2. Gonadal Maturation and Spawning)

  • 이택열;진종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66-280
    • /
    • 1989
  • 1987년 1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2년간 제주도 서남해역 및 동지나해역에서 어획된 덕대, Pampus echinogaster와 병어, Pampus argenteus를 부산공동어시장에서 구입하여 성성숙 및 생식주기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덕대와 병어의 생식소의 외부형태 및 구조는 암$\cdot$수 모두 좌우비상칭이며 난소는 낭상형, 정소는 엽상형 이다. 2. 생식소숙도지수는 덕대는 3월부터 증가하여 $5\~6$월에 최대치를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여 8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연중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병어도 연중경향은 유사하였으나 다만 4월에 덕대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3. 간숙도지수는 생식소숙도지수와 비례적으로 변화하여 덕대의 경우 $4\~6$월, 병어는 $4\~8$월에 높게 나타났다. 4. 비만도값은 덕대와 병어 모두 생식시기인 하계에 낮았고, 휴지기인 동계에 높게 나타났다. 5. 난소는 2월부터 난소소낭상피에서 $100\mu$전후의 초기난모세포들이 활발히 성장하며, $3\~4$월에는 이들 난모세포들의 세포질속 난황구가 축적되면서 $400\~500\mu$크기의 성숙난모세포로 된다. 5월 이후부터는 $650\~850\mu$크기의 완숙난모세포로 되어 방란되기 시작하고 소수의 미방출 완숙란들은 자체퇴화흡수된다. 정소 역시 2월부터 정소소엽상피에서 활발히 분열증식된 정원세포들이 정모세포로성장하며, 5월을 전후로 소엽내강에 변태된 정자들이 출현한다. 방정후 정소소엽상피는 비후되고 잔존정자들이 퇴화흡수된다. 6. 덕대와 병어는 거의 유사한 연속된 생식주기를 나타냈는데 즉 성장기 (3월$\~$4월), 성숙기 (4월$\~$5월), 완숙 및 방란기($6\~7$월), 회복 및 휴지기(8월$\~$1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7 한 산란기동안 덕대는 2회 이상을, 병어는 3회 이상을 산란하는 다회산란종이다. 덕대의 절대포란수는 최대 135,294개, 최소 9,441개로 나타났으며, 병어는 18.6cm 이상의 체장에서 최대 221,894개, 최소 50,678개로 나타났다. 덕대와 병어의 절대포란수는 체장과 전중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상대포란수는 체장에 비례, 전중에 반비례하였다. 8. 덕대의 $50\%$ 군성숙체장은 암컷에서는 체장 15.40cm, 수컷은 12.47cm 이상이었고, $100\%$ 군성숙 체장은 암컷은 18.0cm 이상, 수컷은 21.0cm 이상이었다. 그리고 덕대의 생물학적최소형은 암컷은 체장 9.87cm, 수컷은 9.65cm이었다. 병어는 채집된 최소체장인 암컷 18.6cm, 수컷 16.7cm 이상에서 $100\%$ 전개체가 재생산에 참여하였다.

  • PDF

붕어 난모세포의 성숙과 배란 과정에서 cyclic AMP와 protein kinase C의 역할 (Roles of Cyclic AMP and Protein Kinase C in the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in Crucian Carp, Carusius auratus)

  • 이원교;양석우;황세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1-181
    • /
    • 1995
  • 붕어의 년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해 1993년 2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gonadosomatic index (GSI)를 조사하였다. GSI는 4월부터 7월까지는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개체간에 편차가 큰 것으로 보아 이 기간이 산란기임을 보여준다. 8월부터 9월까지는 년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며 이때 난소내 여포는 퇴화가 진행 중이었다 10월부터 GSI 값은 증가하여 이듬해 3월에 최대치를 보였다.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10 lU), $17\alpha$, 20\beta-dihydroxyprogesterone\;(1-100{\mu}g/ml)$ 및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TPA, protein kinase C activator, 0.1-10${\mu}M$)는 인공배양 시 난모세포의 성숙을 유도하였으나 $4\alpha-phorbol$ 12, 13-didicanoate ($4\alpha-PDD$, phorbol ester analogue, $(25{\mu}M$)는 성숙을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HCG (10 IU), prostaglandin $F_{2\alpha}$ (0.1-10${\mu}g/ml$) 및 TPA (0.1-10${\mu}M$)는 난모세포의 배란을 유도하였으나 $4\alpha-PDD$$(25\;{\mu}M)$에 의해서는 배란이 일어나지 않았다. 여포세포의 $17\alpha-hydroxyprogesterone$은 HCG (1 IU, 10 IU) 및 forskolin (adenylate cyclase activator, 0.1-10 ${\mu}M$)에 의해 생성이 촉진되었으며 HCG (10 IU) 및 forskolin $(10 {\mu}M)$에 의한 time course 는 3시간 내에 생성량이 증가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cyclic AMP와 protein kinase C 는 어류의 난모세포의 성숙과 배란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