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primary productio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강하류수역의 기초생산과 식물플랭크톤 색소량의 년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Primary Productivity and Pigments of Downstream Water of the Han River)

  • 최상;정태화;곽희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5
    • /
    • 1968
  • 천연하천수는 다면적인 용도를 지니는 귀중한 천연자원이다. 선진국가에서의 예를 들지않드라도 우리의 사회생활이 발전함에 따라 물의 용도는 너무나 다양하게 요구되는 것이며, 이로 인한 수많은 오염요소는 물과 그 속의 천연자원을 파괴하는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천연자원은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속성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이용해야 할것이고 또 그 자원은 항구적인 보존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적지않은 하천수계가 있으나 그 활용은 아직은 미미한 상태에 있다. 하천수를 포함한 내수면의 수산업적이용도 그 중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니, 각하천수계의 어업생물학적조사, 수질조사를 비롯하여 식용어, 유어자원 또는 유용생물자원의 함양은 시급하게 착수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

  • PDF

서해 경기만의 기초생산력 및 질소계 영양염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 (Primary Production and Nitrogen Regeneration by Macrozooplankton in the Kyunggi Bay, Yellow Sea)

  • 정경호;박용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4-206
    • /
    • 1989
  • 1986년 2월부터 1987년 11월까지 한국 서해 경기만에서 영양염(암모니아염 질소, 아질산염 질소, 질산염 질소, 인산염, 규산염)의 분포양상과 식물성부유생물의 기초생산력 및 동물성부유생물의 영양염 재생산율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해역의 식물성부유생물의 현존량(chlorophyll-a)은 1.20-5.78 ${\mu}g$ chl-a/l의 변화폭을 보였으며 무기영양염의 계절변화는 통계에 증가하고 하계에 감소되나 홍수 등의 강우량이 영향을 크게 미치는 9월에는 일시적인 대량의 담수유업으로 인해 고농도현상이 나타났다. 식물성부유생물의 일일 기초생산력은 동계에 30.3 mgC/$m^2$/day로 최소를 나타냈으며 하계에 3580.0 mgC/$m^2$/day로 최대를 보였다. 월평균 일일 기초생산력은 883.9mgC/$m^2$/day로 나타났으며 년간 기초생산력은 320.0 gC/$m^2$/year로 일반적인 연안해역에 비해 높은값을 보였다. 세포의 크기가 20 ${\mu}m$ 이하인 미세식물성부유생물의 기초생산력은 총기초생산력의 38.0-85.0%의 점유율을 보였다. Carbon assimilation number(chlorophyll-a당 기초생산력)은 2.9-19.4mgC/mg chl-a/hour의 변화폭을 보였으며 하계에 증가하고 동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성부유생물의 질소요구량은 동계의 0.4에서 하계의 45.0mg at-N/$m^2$/day로 증가하였고 질소계 영양염에 대한 turnover time은 동계의 122.7일에서 하계의 2.4일로 질소이용 회전율이 매우 빨라지는 것을 보였다. 동물성부유생물(300 ${\mu}m$ 이상)에 의한 질소계 영양염 재생산율은 0.02-1.34 mg at-N/$m^2$/day의 변화폭을 나타냈으며 식물성부유생물의 질소요구량에 대해 연간 14.9%의 기여를 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 PDF

Nutrients and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I.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C, N, and P in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Bay Systems

  • Kang, Chang-Keun;Kim, Pyoung-Joong;Lee, Won-Chan;Lee, Pil-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2호
    • /
    • pp.86-94
    • /
    • 1999
  •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limiting nutrients in the bay systems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C, N, and P i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was monitored nearly monthly in Chinhae and Koje Bays and seasonally in Deukryang Bay for 2 years. Atomic C:N ratio in particulate matter ranges from 4.3 to 9.6, typical of marine phytoplankton. C:P and N:P ratios vary from the Redfield ratio to 229 (C:P) and 37 (N:P). A constant C:N ratio of 6.87 from regression of particulate C and N concentrations demonstrates that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systems originates from primary production. C:P and N:P ratios from regression of C on P and N on P are well associated with changes in salinity. The low N:P ratio of 13.1 implies N limitation in the environments of the systems.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low N:P ratio of nutrients released across sediment-water interface. Phytoplankton response, expressed here as the increase of chlorophyll a, to N addition also verifies N limitation for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heavy rainfall season (from June to September), the addition of excessive N via streams into the stratified coastal water proliferates phytoplankton greatly. During the phytoplankton blooms, C:P and N:P ratios are much higher than the Redfield ratio, implying P limitation. This results from the high N:P ratio in nutrients supplied from stream waters. Strong stratification during the blooms also interrupts the supply of nutrients, particularly p, from bottom waters. Dependent upon precipitation, this tendency shows great inter-annual variation.

  • PDF

Cutting Frequency Effects on For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Fertilized with Dairy Slurry

  • Min, D.H.;Vough, L.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630-635
    • /
    • 2000
  • Previous research has not evaluated the effects of various rates and frequencies of manure application and frequencies of cutting on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cool-season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utting management systems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and an alfalfa (Medicago sativa L.)-orchardgrass mixture from various rates and frequencies of dairy slurry applicatio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reatments in a sub-sub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es was used. The main plot consisted of 2 cutting management systems (4 and 5 annual cuttings). The subplots were 9 fertility treatments: 7 slurry rate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treatments, on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an unfertilized control. The split-split-plots were the two forage species: orcha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mixture. The study was initiated after 1st cutting in 1995. Cumulative yields of the 2nd and subsequent cuttings of both orcha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in 1995 were higher for the 5-cutting system than the 4-cutting system. The 1995 growing season was abnormally dry. In 1996, an abnormally wet year, the reverse was true, total herbage yields being higher for the 4-cutting system than the 5-cutting system. Species response to fertility rate/frequency treatments was different in both years. Higher application rates early in the season and carryover of nutrients from late season applications the previous year appear to be responsible for the yield increases of those fertility treatments having significant yield differences between the cutting management systems. The stand ratings of orchardgrass were not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the spring of 1997, however, the stand ratings of alfalfa-orchardgrass in the 4-cutting management system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5-cutting management system. The very high manure application rate significantly reduced the stand ratings of alfalfa-orchardgrass in the 5-cutting system.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관한 硏究 (On the Phyr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Kwangyang Bay)

  • 심재형;신윤근;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186
    • /
    • 1984
  •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의 分布와 環境과의 관계에 대한 硏究가 1982년 3월 에서 12월까지 4회에 걸쳐 계절별로 이루어졌다. 本 硏究에서 總 211種이 同定 되었는데 이들은 67屬 196種 14變種 1品種으로 構成되었다. 季節別 우점종은 春季 Rhiwosolenia deiicatula, Chroomonas sp, 夏季 Chroomonas sp. 秋季 Chaetoceros debilis, C. socialis, 冬季 Skeletonema costatum, Chroomonas sp.로 季節에 따른 우점종의 遷移현상이 뚜렷하였다. 식물 플랑크톤 現在量의 時間的 變化는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 동물 플랑크톤에 의한 攝食壓力, 水溫의 變化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特히 春季 硅藻類의 大發生은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와 높은 相關性을 보였다. 種 多樣性指數는 비교적 낮다. 전 群集內에서 nanoplankron 의 年 평균 비율은 36.5%로 光陽灣 일차생산과 먹이망에서 중요한 位置를 占 하였다. 植物 플랑크톤의 空間分析에 의하여 硏究水域은 대체로 淡水 流入이 많은 蟾津강 河口域, 外洋水의 영향이 적은 灣 右側域, 外洋水의 영향이 큰 灣 右側域 등 3個의 특징적인 水域으로 區分된다. 공장 폐수도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입량변화에 의한 소수력발전소의 수문학적 성능특성 변화 (Hydrolog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Small Scale Hydro Power Plant with Variation of Inflow)

  • 박완순;이철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393-398
    • /
    • 2010
  • 하천의 유입량 변화와 이로 인한 소수력발전소의 수문학적 성능변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천에서의 유입량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유량지속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소수력발전소의 수문학적 성능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동댐에서 32년간 측정된 월유입량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안동댐 상류에 위치한 소수력발전소를 대상으로 하여 수문학적 성능특성을 분석하였다. 안동댐에서의 장기유입량과 기존의 소수력발전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모델로부터 획득한 결과가 실측자료와 잘 일치하였다. 최근 유입량증가로 인하여 소수력가용량을 증가하였으나 기존의 소수력발전소의 가동률을 증가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소수력발전소의 초기설계제원과 유입량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제주 바다목장 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Jeju Marine Ranching Area (JMRA))

  • 윤양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761-7772
    • /
    • 2015
  •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8개 정점의 표층과 10m 수심에서 2008년 4월부터 11월까지 4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63속 106종으로 다양하였다. 분류군별은 규조류가 61.3%, 와편모조류가 34.9%를 차지하였고, 시간적으로는 가을에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여름 $0.6cells{\cdot}mL^{-1}$에서 봄 $64.0cells{\cdot}mL^{-1}$의 범위로 매우 낮았다. 평균 세포밀도에 의한 연변동은 연평균 최저 11월 $0.9cells{\cdot}mL^{-1}$에서 최고 4월 $37.0cells{\cdot}mL^{-1}$로 변화하여 연평균 $11.7cells{\cdot}mL^{-1}$의 낮은 세포밀도를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4월에 Skeletonema costatum-like species(ls)에 의해 극우점되었다. 6월은 Torodinium teredo, Cylindrotheca closterium, Scrippsiella trochoidea, 9월은 S. costatum-l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Pseudo-nitzschia pungens, Ebria tripartita 그리고 11월은 Corethron pennatum, Dictyocha fibura, Neoceratium teres가 우점 출현하여, 기존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태지수 중에 종 다양성 지수는 4월과 9월에 낮고 6월과 11월에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으로 본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생물해양학적 특성은 연간 크기가 작은 나노플랑크톤에 의한 점유률이 높았고, 특정 종에 의해 극우점되는 외부 영양염류 유입보다는 생태내의 물질순환에 따른 재생산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씨감자 생산을 위한 매개 진딧물 조사 - 전북 김제군 광활면의 진딧물 분포상 - (Population density of potato virus vectors In the Kwanghwal Area, Kimje-gun, Cholla-Pukto, on the western coast)

  • 백운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5-13
    • /
    • 1969
  • 본 보고에서 서해안 개소의 매개 진딧물 밀도가 대관령에서의 밀도보다 대체로 낮았으나 장소에 따라서는 상당히 높은 사실을 밝힌바 있다. 새 감자의 평지생산방식이 현행방식보다 합리적이어서 유리하므로 그 생산휴계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조사에 착수하였다. 서해안 답작물지대에서의 진딧물 발생원은 부락이므로 여기서 얼마나 떨어진 곳이라야 안전하게 씨감자를 재배할 수 있을 까를 위하여 전북 김제군 광활면 옥포리를 택하여 이곳을 중심으로 1.5km 평방지구내 13개소에 동서남북으로 250m 거리를 두고 진딧물 채집기을 설치하여 1968년 7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집된 진딧물을 매일아침에 채집하여 종명을 밝혔다. 감자바이러스 매개 진딧물이 세계적으로 20종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 있는 것은 10종이며 이 지역에서 발견된 것은 복숭아 흑진딧물(Myzus persicae),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ni), 무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및 국화꼬마수염진딧물 (Macrosiphoniella sanborni)의 5종이었다. 중락중심지에서의 매개진딧물 밀도는 내릉의 수원에서의 그것 보다도 높았으나 여기서 불과 250m만 떨어져도 대관령에서의 밀도 보다 낮아졌다. 그러나 조사지점의 환경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매개 진딧물의 기주식물이 있는 인가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추작용 씨감자의 현재산지인 전남의 일모, 경남의 락은 내륙의 부락근방이라서 매개진딧물 관계로 부적당하다고 본다. 전문가의 식물역학적 진단에 의해 서해안 답작지대중 매개 진딧물이 적은 곳을 택해서 씨감자를 생산한다면 우수한 씨감자를 양산할 수 있다. 씨감자 부족량 60,000톤을 충족시킨다면 $50\%$ 증수(년간 250만톤)할 수 있어 농가소득증대는 물론 남는 감자는 전분원료로서 단경기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일부를 사료화할 수 있고 우수한 씨감자는 외국에 수출할 수 도 있으며 전북 서해안의 광대한 일모작지대를 이모작지대로 만들 수 있다.

  • PDF

옥수수 개체군의 일차생산성과 물질경제. 3. 건물생산과 인경제 (Primary Productivity and Matter Economy of a Maize Plant Population. III. Phosphorus Economy in Relation to Dry Matter Production)

  • Huque, M. Anwarul;Seung-Dal S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1호
    • /
    • pp.1-12
    • /
    • 1981
  • 옥수수개체군의 생장기간중 생산구조의 발달과 건물생산과정에 따른 인의 동태, 즉 토양으로부터 흡수준, 동화율, 회전율, 수요공급의 수지 및 이용효율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의 흡수율(최대 2.4mgPg$^{-1}$day$^{-1}$) 및 흡수효율(0.03)은 개체군의 상대생장률과 밀접한 상관을 보였고, 생육기간중 총 동화율은 3.41gPm$^{-2}$ 로서 월 최대 동화율은 2.99mgPg$^{-2}$ month$^{-1}$ (7월)였다. 한편 개체군의 인현존량의 변화는 최대치 1.4mgPg$^{-2}$ 였고, 최대 회전율은 178%를 나타내었다. 생육기간중 개체군의 각 기관별 인의 수요량은 엽 24.4%, 경 22.5%, 근 3.5% 및 종실 49.6% 였으며, 총 인요구량의 81.8%는 토양으로부터 흡수되였고 나머지 18.2%는 개체군내의 전류에 의해 공급되였다. 옥수수개체군의 인이용지수는 최대치가 6월에 1,091이며 평균지수는 655였다.

  • PDF

BIOME-BGC 모형을 이용한 국내 소나무 고사의 기후 및 토심 영향 분석 (Modelling Analysis of Climate and Soil Depth Effects on Pine Tree Dieback in Korea Using BIOME-BGC)

  • 강신규;임종환;김은숙;조낭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2-252
    • /
    • 2016
  • 생태계 과정 모형인 BIOME-BGC를 이용해 국내 상록침엽수림의 탄소-물 순환 과정의 계절 및 연간 변화를 모의하여 국내의 소나무 고사 현상의 기후-토심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지로 2009년과 2014년 각각 소나무 대량 고사가 발생한 밀양과 울진을 선정하였다. 두 지역의 표준강수지수를 산정한 결과 약 5년 내외의 주기의 가뭄현상을 판별하였다. 2000년 중반 이후 가뭄은 고온 건조 기후 특성을 보였다. 모형의 여러 변수를 조사한 결과, 임시탄소저장소인 Cpool 변수가 탄소기아에 의한 소나무고사 현상과 개연성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Cpool의 감소는 총일차생산성(GPP) 감소 혹은 유지호흡(Rm) 증가의 결과로 발생하였고, 연구기간 중 Cpool이 최저값을 보인 해는 각 연구지역에서 소나무 대량 고사가 발생한 해와 잘 일치하였다. 두 지역 모두 가뭄에 의한 GPP 감소와 고온에 의한 Rm 증가가 Cpool의 감소를 초래하였는데, GPP와 Rm의 상대적 기여도는 지역별로 상이하였다. 특히 저온다습한 울진의 경우 Rm 증가 영향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한편 낮은 토심에서 생산성, 생체량, 증산량, Cpool 등 제반 탄소-물 관련 변수가 감소하였고 연간 변동폭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0.5 m 이하 토심에서는 Cpool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일정 수준 이하의 토심에서 생체량-생산성-유지호흡 간의 균형에 따라 Cpool이 유지되는 적응 메커니즘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 소나무 고사와 관련한 고온건조-탄소 기아 가설을 제안하였고, 보다 현실적 분석을 위한 향후 모형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