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als of Sunjo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순조(純祖)-순종실록(純宗實錄)에 나타난 포백척(布帛尺)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Pobeckchuck in the History from the Sunjo to the Sunjong Dynasty)

  • 이은경
    • 복식
    • /
    • 제58권3호
    • /
    • pp.116-122
    • /
    • 2008
  • This study aims at defining the meaning of Pobeckchuck in the historical view-point, which appeared i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regarding the periods from the ruling period of Sunjo to that of Sunjong as the latter part of history. Pobeckchuck used in King Sejong was red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ment in the Kyeonggukdadejeon(code), in which time one Pobeckchuck was 46.80cm long. It is known that Juchuck, Hwangjongchuck, Youngjochuck, Joraegichuck etc. which had been used in the ruling period of Sejong Dynasty, were used till the period of Youngjo. Also, the document shows that in the 12th ruling period of Sunjo, Pobeckchuck was used for measurement, and in the 20th ruling period of Sunjo, newly-made ruler was only used for the measurement of fields, but no more details about how long it was. But according to the document complied at that time, one Pobeckchuck was 46.80cm long, which fact reveals that the same measurement was used as in the ruling period of Sunjo. When all the measurement laws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3rd year of Junghee, the 6th year of Kwangmu were abolished, Pobeckchuck was solely banned from its use, which fact offers a glimpse of how confusing at that period was. The comparison and examination among many document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show the differences within about 4cm that one Pobeckchuck ranged from 44.80cm to 48.80cm long. But no other document on measurement appeared i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except for the 46.80cm. Thus, the 46.80cm corrected in the ruling period of Sunjo proves that one chuck in Pobeckchuck adopted by the dynasty was used as the measurement of length till the ruling period of Sunjong.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표지 및 내지의 비파괴적 특성 연구 (Non-Constructive analysis for the cover and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of Joseon Dynasty annals)

  • 조정혜;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3호
    • /
    • pp.28-36
    • /
    • 2010
  • Today We have three full series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aebaeksan volume which is one of them shows comparatively good maintenance but Taebaeksan volume also decomposed in patches. The size of cover and inner paper were increased in late Joseon Dynasty, but the weight, thickness and basis weight bears no relation to each other. The oxidation index of paper in annals of pre-periods of King Sunjo shows very high value. After the annals of King Sunjo, the oxidation index of paper is very similar to today's Hanji. L.a.b values of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are similar generally. The average length of fiber using image analysis soft ware is 8.08~9.92 mm, that like immediate value of measurement. The air fraction of fiber's range is 1.20~2.12%. It lower than today's Hanji. After considering the factors of the length of fiber, air fraction and FE-SEM, we reached that no difference between raw material of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 연구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Royal Wedding Ceremony - Focu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

  • 하수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222-239
    • /
    • 2019
  •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조선왕실의 부용향을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한국에서 향은 삼국시대부터 불교문화와 함께 전래되었다. 부용향은 조선시대 왕실을 상징하던 향이며 왕실의 각종 의례에 사용되었다. 민가에서도 혼인할 때 신부의 가마 앞에서 부용향을 태우기도 했다. 부용향은 의례, 방향, 방충, 의료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부용향은 침속향과 백단향을 주 향재로 하여 모향, 백급, 영릉향, 감송향, 팔각향, 삼내자, 정향, 소뇌, 비초 등 10가지 향재를 혼합해 만든 합향이다. "탁지준절"과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향재의 수급 방법을 추적했다. 각 향재의 특성을 파악하고 "제중신편", "동의보감" 등의 의서를 통해 제조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통해 부용향을 제작한 향장의 협업과 처우를 살펴보았다. 가례에서 부용향이 사용된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에 향이 갖던 의의를 알아보았다. 가례는 이전의 가례도감의궤에 비하여 그 체제가 잘 정비된 것으로 평가받는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참고했다. 궁에서는 의례를 진행하는 동안 항상 향을 사용했다. 반면 신부의 집에서 진행된 경우 오로지 비수책의에서만 향로 차비 등의 향과 관련된 차비가 동원되어 이 시기에만 향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책봉 후에야 비로소 향을 사용하게 됨을 통해 부용향은 왕실 사람만이 사용했으며 왕실을 상징하는 향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역사문헌 고찰을 통한 조선시대 산불특성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 Survey)

  • 김동현;강영호;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8-21
    • /
    • 2011
  • 본 연구는 역사기록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518년 동안 산불발생 및 특성에 관한 기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역사기록서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국역비변사 등록, 각부청의서존안, 철종행장 등으로 조선시대 왕조별로 산불이 기록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역사기록문헌에서 기록된 산불 내용은 발생 개요, 산불 종류, 산불피해 등에 관한 사항과 함께 송전(松田)의 산불예방 조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시대 역사기록서를 분석한 결과, 산불발생건수가 많았던 왕조는 현종(14건)과 순조(13건)로 강풍으로 인한 산불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기록되었고 최대 산불피해는 순조 4년(1804)에 발생한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사망자 61명, 민가 2,600호가 소실되었다. 또한 최대 인명피해가 발생한 산불은 현종 13년(1672)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65명이 사망하였다. 조선시대 산불 발생 원인은 원인미상(42건)>실화(10건)>방화, 낙뢰(3건)>수렵입화(2건)>어린이 불장난, 논밭두렁소각, 가옥화재(각 1건)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산불발생은 동해안 지역이 39건(56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산불발생은 봄철기간 산불이 46건(73 %)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중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기간은 4~5월로 현재의 산불위험시기와 유사하다. 산불관련자에 대한 처벌의 경우, 방화자 및 실화자에 대해서는 유배, 관직박탈, 효시 등의 처벌기록과 관리지역 책임자에 대한 문책이 기록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시대의 경우에도 산불 위험성과 심각성에 대해 여러 문헌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현재 우리나라 산불발생 기간 및 지역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