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caffeine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27초

카페인 경구투여가 운동강도 차이에 따른 당뇨유발 흰쥐 가자미근의 GLUT4 및 GRP78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on GLUT-4 and GRP-78 Protein Expression in Soleus Muscle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ith Caffeine Oral Administration)

  • Yoon, Jae-Suk;Yoon, Jin-Hwan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41-746
    • /
    • 2004
  • 본 연구는 운동강도 차이에 따른 카페인 구강 투여가 STZ-유발 당뇨 쥐 가자미근에서 GLUT-4와 GRP-78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F344계 수컷 횐쥐를 무작위 표본추출에 의하여 당뇨유발군(n=6), 당뇨유발-카페인 투여군(n=6),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저강도운동군(n=6),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중강도운동군(n=6), 그리고 당뇨유발-카페인투여 고강도 운동군(n=6)으로 분류하였다. 저강도 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8 m/min 속도로, 중강도 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16 m/min 속도로, 고강도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25 m/min속도로 30분간 1회 운동을 실시하였다. GLUT4단백질 발현은 당뇨군에 비해서 당뇨유발군-카페인 투여군과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저강도 운동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당뇨유발-카페인투석 중강도 운동군에서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당뇨유발-카페인투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GRP-78 단백질 발현은 당뇨군에 비해서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저강도 운동군,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중강도 운동군, 그리고 당뇨유발-카페인투석 고강도 운동군에서 감소하였으나, 당뇨유발-카페인 투여군에서는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일회성 운동이 인슐린 민감도를 개선시켜 인슐린 요구량을 낮추는데 이러한 효과는 내형질세망에서 세포막으로의 GLUT-4 단백질의 전이와 GLUT-4 단백질 양의 증가 때문이다. 운동군에서의 GRP-78 단백질이 감소된 기전은 정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카페인으로 인한 지질 동원이 운동 시 작업근의 세포에 많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세포가 받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Expression of pro-opiomelanocortin and agouti-related protein in the hypothalamus of caffeine-administered rats

  • Jeong, Joo-Yeon;Ku, Bo-Mi;Lee, Yeon-Kyung;Ryu, Jin-Hyun;Choi, Jung-Il;Kim, Joon-Soo;Cho, Yong-Woon;Roh, Gu-Seob;Kim, Hyun-Joon;Cho, Gyeong-Jae;Choi, Wan-Sung;Kang, Sang-So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203-210
    • /
    • 2011
  •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caffeine o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and pro-opiomelanocortin (POMC) and agouti-related protein (AgRP) expression in the hypothalamus. Rats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with 100 mg/kg caffeine (a high, non-toxic dose) or saline during the light phas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caffeine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12 hr after treatment. In addition, POMC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gRP expression was decreased in the arcuate nucleus (Arc) after caffeine treat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dministration of caffeine up-regulates POMC expression and down-regulates AgRP expression in the Arc, suggesting that the activation of the hypothalamic POMC neurons and inhibition of the AgRP neurons might play a role in the regulation of food intake and body weight by caffeine.

단거리 육상선수들의 고강도 훈련 시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이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ing the Functional Taping Applied Caffeine on Fatigue Substance during High-Intensity Training in Sprint Runners)

  • 김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91-500
    • /
    • 2014
  • 본 연구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유 무에 따른 고강도 훈련 시 피로물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운동 수행시의 피로 및 경기 수행력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남자 대학생 육상 단거리 선수 10명을 대상으로, 피로물질인 젖산, 혈중젖산탈수소효소(LDH), 무기인산의 3가지 혈중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이 고강도 훈련그룹에 비해 젖산은 훈련 직후에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이 고강도 훈련그룹에 비해 혈중젖산탈수소효소(LDH)는 훈련 직후에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셋째,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이 고강도 훈련그룹에 비해 무기인산은 훈련 직후에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육상단거리 선수들에게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과 고강도훈련이 피로물질인 젖산, 혈중젖산탈수소효소(LDH), 무기인산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ady-to-drink (RTD) 커피 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표시사항의 적합성 (Conformance of Caffeine Content and Labeling of Ready-to-drink Coffee)

  • 서예은;이유정;김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37-54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형마트, 편의점 및 온라인 마켓에서 수집한 조제커피 제품의 카페인 함량을 모니터링하고 표시사항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함량은 HPLC을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콜드브루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0.31-1.04 mg이었으며 평균 0.55 mg으로 나타났다. 제품 1개당 평균 함량은 147.27 mg/bottle로 나타나, 일일 권장섭취량을 감안하였을 때 성인 1인당 2.7병을 섭취할 수 있다. 아메리카노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0.15-0.38 mg이었으며 평균 함량은 0.28 mg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품 1개당 평균 함량은 110.42 mg/bottle로 나타나, 일일 권장섭취량을 감안하였을 때 성인 1인당 3.6병을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카페인 콜드브루 제품의 카페인 평균 함량은 5.14 mg/bottle로 나타났으며 일반 아메리카노 제품에 비해 약 95%이상 카페인이 제거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디카페인 제품 기준에 충족하였다. 또한, 총 카페인 함량의 허용오차인 120%를 초과하지 않아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카페인 섭취와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lntake and Stress on Sleep Quality in University Students)

  • 김상현;권수아;권유진;김세인;김예진;오혜란;하수영;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61-169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카페인 섭취와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2월 14일부터 3월 13일까지 구글(Google) 설문지를 통해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통계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여 t-test, one way ANOVA 및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1일 카페인 권장섭취량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나, 대부분의 대학생이 한국 성인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수면의 질은 스트레스(r =.32, p=<.001)와 카페인 섭취(r =.24,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질량 지수와(β=.19, p<.001) 스트레스(β=.37 p<.001), 흡연(β=-.18, p=.001), 카페인 섭취(β=.15, p=.005) 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24.8%이었다.

인삼(人蔘) Butanol 분획(分劃)이 중추작용(中樞作用) 약물(藥物)에 의한 Mouse의 자발(自發) 운동(運動)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硏究) (The Effects of the Ginseng Butanol Fraction which Influences Spontaneous Activity by CNS Drugs in Mice)

  • 고건일;김재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9권4호
    • /
    • pp.13-22
    • /
    • 1979
  • Panax Ginseng C. A. Meyer which has been known for more than 2000 years, occupies a particular place in folk medicine as so called tonic remedy. The brief pharmacological action of Ginseng complied from the numerous reports can be summarized as adaptogenic effect to be increased nonspecific resistance.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of Ginseng, the effective components has been known Ginseng butanol fraction as so called Ginseng saponin. In order to study on the effect of the Ginseng butanol fraction which influences spontaneous activity by CNS drugs in mice. Experiment of response was measured the change of spontaneous activity by CNS drugs in which mice were treated Ginseng butanol fraction. A method of measuring spontaneous activity in mice us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which were interrupted a beam of light. Results of experi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ase of administrating Ginseng butanol fraction for 1 day, stimulating effect of Ginseng was observed in spontaneous activity by caffein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the first, but after 45 minutes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2. In case of administrating Ginseng butanol, fraction for 5days, decreasing tendency was observed in spontaneous activity by caffeine. 3. In case of administrating Ginseng butanol fraction for 10days, marked decrease was observed in spontaneous activity by caffein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From the experiment on the increased dose of caffeine, non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comparison with caffeine and sodium benzoate 25mg/kg group. 4. A state of increased resistance was lasted until 5 days, and after 10 days it was disappeared. 5. Otherwise, non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for chlorpromazin HCl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6. From this result, 10 days administrating of ginseng butanol fraction appeared to have increased resistance in mice against caffeine.

  • PDF

$Ca^{2+}$-induced $Ca^{2+}$ Release from Internal Stores in INS-1 Rat Insulinoma Cells

  • Choi, Kyung-Jin;Cho, Dong-Su;Kim, Ju-Young;Kim, Byung-Joon;Lee, Kyung-Moo;Kim, Shin-Rye;Kim, Dong-Kwan;Kim, Se-Hoon;Park, Hyung-Se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1호
    • /
    • pp.53-59
    • /
    • 2011
  • The secretion of insulin from pancreatic ${\beta}$-cells is triggered by the influx of $Ca^{2+}$ through voltage-dependent $Ca^{2+}$ channels. The resulting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a^{2+}]_i$) triggers additional $Ca^{2+}$ release from internal stores. Less well understood are the mechanisms involved in $Ca^{2+}$ mobilization from internal stores after activation of $Ca^{2+}$ influx. The mobilization process is known as calcium-induced calcium release (CICR). In this study, our goal wa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nd the role of caffeine-sensitive ryanodine receptors (RyRs) in a rat pancreatic ${\beta}$-cell line, INS-1 cells. To measure cytosolic and stored $Ca^{2+}$, respectively, cultured INS-1 cells were loaded with fura-2/AM or furaptra/AM. $[Ca^{2+}]_i$ was repetitively increased by caffeine stimulation in normal $Ca^{2+}$ buffer. However, peak $[Ca^{2+}]_i$ was only observed after the first caffeine stimulation in $Ca^{2+}$ free buffer and this increase was markedly blocked by ruthenium red, a RyR blocker. KCl-induced elevations in $[Ca^{2+}]_i$ were reduced by pretreatment with ruthenium red, as well as by depletion of internal $Ca^{2+}$ stores using cyclopiazonic acid (CPA) or caffeine. Caffeine-induced $Ca^{2+}$ mobilization ceased after the internal stores were depleted by carbamylcholine (CCh) or CPA. In permeabilized INS-1 cells,$Ca^{2+}$ release from internal stores was activated by caffeine, $Ca^{2+}$, or ryanodine. Furthermore, ruthenium red completely blocked the CICR response in perrneabilized cells. RyRs we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intracellular compartment of INS-1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ffeine-sensitive RyRs exist and modulate the CICR response from internal stores in INS-1 pancreatic ${\beta}$-cells.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on Nerve Conduction Velocity)

  • 강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5-199
    • /
    • 2020
  •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종류는 커피를 사용하였다. 커피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 현대인들이 좋아하는 기호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커피안에 있는 특수한 성분인 카페인은 카페인은 알칼로이드계 메틸화 화합물의 하나로서 이뇨 촉진, 혈관 확장, 중추신경흥분, 골격근 강화, 기관지 확장 등의 작용이 있다. 카페인 섭취가 신경속도를 향상시켜 반응시간의 감소를 실험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 개별 집단 내에서의 사전, 사후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수치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두 곳의 측정 구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팔꿈치 위 액와 구간에서의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카페인 섭취 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을 섭취함으로 인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증가하였고, 이것은 일시적으로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동능력향상, 근력향상, 신경기능향상 등에 대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정량의 카페인섭취는 신경전도속도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향상에 대해 도움을 줌으로써 카페인이 말초신경계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기능장애, 신경기능장애 환자의 치료와 진단법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人工培養液에서 培養된 牛精子의 形態的 變化 (Morphological Changes of Bovine Epididymal Spermatozoa Incubated In Chemical Defined Medium)

  • 고대환;윤산현;엄기붕;이경광;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3-39
    • /
    • 1991
  • 본 試驗은 caffeine을 함유한 人工 培養液에서 培養한 牛精巢上體 精子의 形態的 變化를 透過 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다. 電子顯微鏡에서 관찰한 결과 채취 직후의 無培養 精子는 대부분(79.8%)에서 구조상의 變化없이 원형 그대로의 原形質膜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5 mM의 caffeine을 함유한 BO培養液에 3시간 培養한 精子는 尖體의 구조상 4가지 形態로 분류되었다. 즉 無反應, 胞狀化, 尖體離脫 및 退行으로서 각각 29.4%, 45.6%, 17.8% 및 7.2%였다. 이러한 결과는 精子膜의 胞狀化가 정상적인 尖體反應이며 尖體離脫 精子는 死滅精子라는 것과 caffeine이 牛精巢上體 精子의 尖體反應을 誘起시킬 수 있다는 것을 示唆하고 있다.

  • PDF

광주지역 일부 대학생에서 에너지음료 섭취 실태 및 섭취 관련 제요인 특성 비교 (Consumption Behaviors of Energy Drinks and Comparison of Associ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Gwangju)

  • 서다운;김복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9-301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nsumption of energy drinks among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caffeine knowledge levels, and perceived stress levels on consumption of energy drink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total of 479 college students in Gwangju,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about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behavior, caffeine knowledge, perceived stress, and energy drink consumption behaviors. Results: 69.1% of participants experienced consumption of energy drinks, and specifically 82.8% of male students and 54.1% of female students experienced consumption of energy drinks (p<0.001). The reasons for drinking energy drinks were found to be recovery from fatigue, curiosity, taste, habit, thirst relief, and stress relief. In addition, 40.7% of participants experienced drinking energy drinks mixed with alcohol, and specifically 48.6% of male students and 27.4% of female students reported drinking energy drinks with alcohol (p<0.001). Moreover, 51.5%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the effects of energy drinks, 31.9% reported experiencing adverse effects, and 41.1% were found to perceive the health risks.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of caffeine knowledge, the participants showed a high level of knowledge of the arousal effect (77.7%) and the concentration increasing effect (70.8%) of caffeine, whereas they exhibite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health problems due to caffeine (32.6%) and adequate caffeine intake levels (24.4%). The higher levels of consumption experience of energy drinks was associated with higher body mass indexes (BMI) (p<0.01), higher academic years (p<0.01), lower levels of interest in health (p<0.05), smoking (p<0.001), alcohol consumption (p<0.05), and higher levels of perceived stress (p<0.05). Conclusions: The risk groups related to consumption of energy drinks among colleg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male students rather than female students, students in the third or fourth year of study associated with increased stress levels, and students with negative health behaviors. Therefore, support for diverse healt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s requir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schools in order for college students to manage increased stress levels due to the schoolwork and preparation for employment and maintain positive health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