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hovy sauc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가열 및 비가열 처리 액젓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Anchovy Sauce from Heat and Non-heat Treatments)

  • 강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58
    • /
    • 2013
  • 본 연구는 가열 및 비가열 처리 액젓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한 것으로 염도를 측정하였을 때 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보다 비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0.2% 높았고 pH는 0.09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무기질 분석에서 Ca과 Fe 함량은 비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높았고 P, Zn, Na 함량은 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높았다. 또한, 환원당은 비가열 처리 액젓첨가 김치에서 수치가 가장 높았고 히스타민 함량은 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총 균수와 2종류의 유산균을 실험하였을 때 총 균수는 비가열 처리 액젓을 첨가한 김치에서 많이 검출 되었지만 2종류의 유산균을 비교하였을 때는 가열 처리 액젓의 김치가 더 높았다. 본 결과는 가열 처리한 액젓을 첨가한 김치가 제조 시 대부분의 무기질 및 유산균 등에 좋은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하였으나 향후 다양하고 명확한 분석법을 확립하여 김치 첨가제로써 액젓에 대한 최적의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 후 식품산업 및 조리에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옹기의 재 사용이 어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use of Onggi Containers on the Quality of Anchovy Soy Sauce)

  • 정순경;최동만;정용면;신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3-229
    • /
    • 2010
  • 20 L 부피의 발효용기에서 어간장을 발효하면서 용기의 내부 온도 변화와 염도, pH, 산도, 총질소, 유리아미노산,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고 4개월 발효후의 어간장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발효용기로는 새 옹기와 재사용한 옹기,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였고 발효숙성은 외기조건에서 이루어졌다. 옹기가 가지는 통기성 및 보온성으로 인하여 발효 중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적절하게 조성하여 여러 가지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옹기는 새 것보다는 재사용한 옹기에서 제품의 발효에 좋은 영향을 미쳐서, 높은 총질소, 유리아미노산함량, 향, 맛 전체적인 수용도의 관능적 품질을 보여주었다.

Bacillus subtilis JM3 단백분해효소로 속성제조한 멸치액젓 저분자 peptide의 기능성 (Functionality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of Acceleratedly Manufactured Anchovy Sauce with Bacillus subtilis JM3 Protease)

  • 박종혁;김영명;김동수;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27-832
    • /
    • 2005
  • 본 연구는 B. subtilis JM3 단백분해효소 첨가 멸치액젓에서 분리한 peptide의 기능성(항산화, 항암 및 ACE 저해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실소 및 가수분해도는 단백분해효소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대조구, B. subtilis JM3 단백분해효소 2 및 4% 첨가구의 멸치액젓은 gel chromatography 상에서, 각각 5, 6 및 7개의 peak를 나타내었다. ACE 저해, DPPH 라디칼소거 및 항암활성은 대조구의 경우 peak 5에서 각각 34.82, 94.11 및 38.29%, 2% 효소 첨가구는 peak 6에서 각각 43.75, 90.01 및 15.61%로 4% 효소 첨가구는 peak 7에서 각각 26.34, 97.00 및 34.76%이었다. 가수분해시 생성된 peptide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앞으로 생리활성을 갖는 peptide의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및 그 억제 기작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주정을 이용한 멸치액젓의 탈염공정 및 품질특성 (Desalting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a Spirit)

  • 장미순;박희연;남기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93-9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멸치액젓에 주정을 일정한 비율로 첨가하여 소금의 용해도를 낮춤으로서 소금을 석출시키는 탈염방법을 활용하여 저염 멸치액젓의 제조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주정을 활용하여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성분,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대장균 및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시판 멸치액젓에 대해 주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멸치액젓의 염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멸치액젓 100 mL에 대해 주정을 각각 100% 및 300%(v/v)를 첨가한 경우에 멸치액젓의 염도는 14.3% 및 10.3%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염도 23%인 식염수 용액의 실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탈염처리 한 멸치 액젓의 총질소 함량은 1.20%이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784.03 mg/100 g으로, 시판 멸치액젓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총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및 leucine이었고,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탈염처리 한 멸치액젓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공통적으로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valine, lysine 및 isoleucine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주정을 이용하여 소금을 원하는 농도만큼 특별한 장비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멸치액젓의 탈염공정을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정을 사용하여 멸치액젓을 탈염하는 방법은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맛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의 결과로 저염 멸치액젓 상품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인류 보건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화과를 이용한 속성발효 멸치액젓의 품질 (Quality of Accelerated Salt-fermented Anchovy Sauce Prepared with Fig)

  • 강성국;윤성원;김정목;김선재;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42-1146
    • /
    • 2001
  • 멸치액젓의 속성발효기술개발의 일환으로 무화과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멸치 액젓 제조기술을 개발하고자 미숙 무화과, 숙성 무화과 및 무화과 잎을 3% 첨가하여 $25^{\circ}C$에서 60일 동안 발효시킨 후 액젓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숙성 무화과가 산성 protease 1,327 units, 중성 protease 535 units, 알칼리 protease 2,833 units로 가장 높았다. 60일 동안 발효시킨 후 액젓의 색은 숙성 무화과를 이용하여 발효시켰을 때 a값이 0.48, b값 -0.43, L값 27.26으로 가장 우수한 적자색을 보였다. 무화과를 첨가한 멸치액젓의 발효과정 중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초기 10일 째 식품공전상의 규격기준인 600 mg%에 도달하였으며, 숙성과가 가장 빠른 증가율을 보였다. 발효 60일째 시험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1500 mg%에 달하였다. 총 유리 아미노산은 숙성 무화과가 4543.21 mg%로 대조구의 2255.29 mg%에 비하여 약 2배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중요 핵산 관련물질은 주로 hypoxanthin이었다. 액젓 제조시 미숙과와 무화과 잎을 사용하였을 때 chlorophyll 색소가 추출되어 제품이 녹색을 나타내는 문제와 약간의 풋냄새 등을 고려할 때 숙성과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Traditional Sauce Type and Storage Time on Quality Characteristics, Shelf-life and Flavor Compounds of Marinated Pork Cooked by Sous Vide Method

  • Kim, Yong An;Ba, Hoa Va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55-370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ed at evaluating effects of traditional sauce type and storage time on shelf-life and flavor compounds of marinated pork cooked by Sous-Vide method. Five different traditional sauces (Meju soy sauce, Brewed soy sauce, Fish-soy sauce, Ishiru fish sauce and Anchovy fish sauce) purchased from Asian countries were used. After marination with the sauces, polyvinylchloride film bags containing the marinated pork samples were cooked using Sous-Vide method for $55^{\circ}C$ for 5 h and $60^{\circ}C$ for 30 min, and were then stored for 8 wk at $10^{\circ}C$. Results showed that the pork samples marinated with the sauces retarded the growth of total plate counts (TPC) during storage. At $8^{th}$ wk storage, TPC cou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samples marinated with the sauces compared to control (p<0.05). Lipid oxid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2 (Meju soy sauce) and T6 (Anchovy fish sauce) compared to those of T3 (Brewed soy sauce) and T5 (Ishiru fish sauce) or control after 8 wk storage (p>0.05). Forty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from the control and marinated samples at $4^{th}$ wk of storage. The pork marinated with Anchovy fish sauc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importantly pleasant flavor compounds such as; pyrazine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than those marinated with other remaining sauces and control. It is concluded that the marination with Anchovy fish sauce partly improved the shelf-life and increased amounts of pleasant flavor compounds of Sous-Vide cooked pork products during storage in comparison to the other remaining sauces.

멸치액젓 유래 저분자 물질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Biocompounds Purified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 최근표;서정길;김상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1-326
    • /
    • 2003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low molecular weight biocompounds purified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fermented at $15\pm3^{\circ}C$ for 5 years were investigated. The fermented anchovy sauce showed 5 peaks on gel chromatography pattern. Antioxidant activity of peak 2 was $82.7\%$ followed by $42.6\%$ of peak 1. Main antioxidant compounds of peak 1 were glutamic acid and lysine, but those of peak 2 were not confirmed by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청미래덩굴뿌리 추출물 첨가 장국용 조미간장 개발을 위한 관능평가 (Sensory Evaluation of Cheongmirae (Smilax china) Root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 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86-1091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soy sauce containing Cheongmirae (Smilax china) root. Aqueous extracts of Cheongmirae root and Cheongmirae-soy sauce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antioxidant effect by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Chengmirae-soy sauce was prepared by mixing Chengmiae extract (50%) and soy sauce (50%). Cheongmirae extract and Cheongmirae-soy sauce had strong DPPH scavenging effects, compared to that of general soy sauce. In sensory analysis, low intensities of smell,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observed in Cheongmirae root extract. Various seasoning items, such as anchovy, dried-pollack, katsuobushi, shiitake, radish, and kelp, were used to determine the suitable type of soy sauce containing Cheongmirae root extract. The anchovy-kelp-radish and anchovy-shiitake-kelp-radish among the seasoning items were well-matched with Cheongmirae root extract. From these results, soy sauce containing Cheongmirae root extract may be used as a soup seasoning for Korean style noodles.

천연 숙성 멸치액젓 Peptide의 생리활성 (Biofunctionality of Peptides Purified from Naturally Fermented Anchovy Sauce)

  • 박종혁;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20-1125
    • /
    • 2003
  • 숙성기간(1, 3 및 3년)이 다른 멸치액젓으로부터 추출한 peptide는 정제과정에서 숙성 1년의 멸치액젓은 3개, 숙성 3년의 멸치액젓은 4개, 숙성 5년의 멸치액젓은 5개의 peak를 각각 나타내었다. 숙성기간이 길수록 멸치액젓의 Peptide는 저분자화 되었으며, gel chromatography상의 후반부에 나타났다. 숙성기간이 다른 멸치액젓으로부터 추출한 peptide들의 생리활성 (항산화, 항암, ACE 저해활성)은 숙성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항산화 및 항암활성은 $IC_{50}$/이 각각 34 및 44 $\mu\textrm{g}$/mL인 3년 숙성 peak 3이 제일 높았으나, ACE 저해활성 은 $IC_{50}$/이 32 $\mu\textrm{g}$/mL인 1년 숙성 peak 3이 제일 높았다. 천연 숙성 멸치액젓의 저분자 peptide는 뛰어난 생리활성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으나 구조분석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동남아산 피시소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made with South-East Asian Fish Sauce)

  • 김금정;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62-874
    • /
    • 2014
  • Salt-fermented fish and fish sauce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to make Kimchi. They provide good taste and plenty of nutrition to Kimchi during ferment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purchase Korean salt-fermented fish or fish sauce out of Korea. Therefore, to generalize Kimchi for other countries, this research carefully compared the quality differences between Kimchi made with South East Asian fish sauce, which is fairly similar to traditional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 (Aekjeot) in terms of taste and ingredients, and that made with traditional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 To determine quality differences among traditional Korean Kimchies made with different sauces, Korean-made salt-fermented shrimp, salt-fermented shrimp extract, salt-fermented anchovy and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 were used. Of the four Kimchis, the one made with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 was chosen as a control sample and compared with those made with three different South-East Asian fish sauces.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acceptance of fish sauces, characteristics of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differences, characteristics of fish odor and crunchiness showed visible differences. For umami taste, all fish sauces received higher points than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 (control sample),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ensory evaluation and research results show that Kimchi can become a highly likable food overseas and Kimchi can substitute easily bought South-East Asian fish sauces for Korean salt-fermented fish sauces (Jeotk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