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estral servic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초

도시주부의 가치지향성.제례의식.제례수행 (Urban Housewives제 Value Orientation, Sense of Ancestrial Service and Behavior)

  • 이정우;김연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3권2호
    • /
    • pp.33-5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housewives’sense of ancestral service and behavior and to verify the how housewives’value orientation affects the sense of ancestral service and behavior. The data are collected from 393 housewives in urban. The statistics used for the analysis are Cronbach’$\alpha$, Frequency, Percentage, Mean, S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among the variables, degree of fate-control orientation is the most, on the contrary, material orientation is the lowest. Second, value orientation variables that affect sense and behavior of ancestral service are material orientation and gender equilibrium orientation. Third, the behavior of ancestral service is more traditional than sense of ancestral service. Fourth, cause-and-effect variable which affect behavior of ancestral service are education level, religion(Buddhism, Catholicism), employment status, number of children, health, daughter in -law’s ranking, sense of ancestral service, and value orientation, which affect the direct or direct and indirectly. Especially sense of ancestral service variable is the most important mediation one. We expect further studies on the sense of ancestral service and behavior with precise scale and sampling.

  • PDF

도시주부의 혼.제례에 대한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City Housewives' Sense and Behavior of Wedding and Ancestral Service)

  • 이정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24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level of the city housewives' sense and behavior of wedding and ancestral serv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2) the relationship of the sense of wedding and ancestral service and behavior, and 3) w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0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the housewives who live in Seoul and collected during the February 1989. And the measuring instruments are composed of 9 questions, 11 questions of the sense of wedding service, 12 questions of the sense of ancestral service, 11 questions of the behavior of wedding service, and 12 questions of the behavior of ancestral service. To obtain the sense and behavior of wedding and ancestral service scale, item analysis through Pearon's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F-test, Pearson's γ, Paired-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dnigs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tendency of the city housewives' sense of wedding service was modern. That of the city housewives' sense of ancestral service was the mid level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ie: age, educational level, the number of children, the duration of marriage, religion, the existence of job, the existence of married son and daughter), the city housewives' sense of wedding service i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ing to background variable(ie: age, educational level, the average home income a month, the number of children, the duration of marriage, religion, the existence of married son and daughter), the city housewives' sense of ancestral service is different significantly. 2. The general tendency of the city housewives' behavior of wedding service was modern. That of the city housewives' behavior of ancestral service was somewhat moder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ie: age, educational level, the number of children, the duration of marriage, the existence of married son and daughter, the form of family), the city housewives' behavior of wedding service i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ie" age, educational level, the number of children, the duration of marriage, religion, the existence of job, the existence of married son and daughter), the city housewives' behavior of ancestral service is different significantly. 3.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ity housewive' sense and behavior of wedding and ancestral service(P<.001). And the housewives' sense of wedding service was modernized than that of ancestral service, the housewives' behavior of ancestral service was modernized than that of wedding service. 4. The city housewives' sense of wedding service was the duration of marriage(β=-.226), influential factor. And influential factors on that of ancestral service were educational level(β=.250), the existence of married son and daughter(β=-.123), number of children(β=-.101).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ity housewives' behavior of wedding service were age(β=-.193), the form of family(β=.097). And that of ancestral service were educational level(β=165), the number of children(β=-.157).

  • PDF

제례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 및 수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and Actual Services of Ancestral Rite)

  • 김인옥;안혜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13-129
    • /
    • 2003
  • This study was examined about consciousness and actual service, functions of ancestral rite in modem society. In order to study, the questionnaires for 401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14 as 7 female,7 m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ale's consciousness and actual service was significant higher than female's about the traditional ancestral rite. The religion was affected significant variable in ancestral rite. When the family hold many performs and students are participate in ancestral rite many times, they are positive about traditional ancestral rite. On the functions of ancestral rite the students thought the ancestral rite influenced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to promote mutual family membership.

A study on the Metaverse based memorial service platform

  • Lee, Byong-K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93-100
    • /
    • 2022
  • 우리나라의 제사 문화는 코로나(COVID-19)로 왕래 및 접촉이 제한적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제사 문화는 직접 만나 고인을 추모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을 적용해 사이버 세상(가상현실)에서 고인을 추모하고 제사 의식할 수 있는 비대면 메타버스 추모관 플랫폼 서비스를 제안한다.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서비스는 고인의 일대기를 전시하는 회상관, 고인에 제사를 지내는 제사관, 고인의 유품과 유언장을 확인하는 고인 관을 구성했다. 또한, 가상현실장치(HMD:Head Mounted Display)는 어지러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Teleportation, 콘텐츠 해상도를 4K로 했다. 특히, 제사관은 상호작용(interaction) 기술을 적용해 가족 간에 제사하는 실감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했다. 연구된 추모관 메타버스 서비스는 누구나 대면 형태가 아닌 비대면 상태에서 가족 단위로 고인을 추모하는 메타버스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이다.

도시주부의 가정경영관과 가정의례와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 이길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1-164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any, ancestral service, funeral rite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661 homemakers who live in Seoul, Busan, Inchon 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with SPSS Computer programs. Such methods as frequence, percentile, analysis of varianc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major results the study can be summaried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about view of homemanagement, 10 factors (which Eigen Value was above 1.0) out of 28 guestions were extracted. 2) 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varies by age, level of education, religion. 3)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ony, ancestral servic, funeral rites) varies by age, level of education, religion. 4)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i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ony, ancestral service, funeral rites)(p<.001).

  • PDF

祭需에 관한 문헌고찰 (A Study on Foods for the Ancestral Rites)

  • 이길표;김인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3-143
    • /
    • 1999
  • Originally, ancestral rites is a ceremony to pay filial piety to ancestors continuously even though they died, and this is a startingpoint based on the thought of paying respect to ancestors and 'root consciousness' which Korean people have. In the earliest days, Korean people worshipped nature and the sacrificial rituals were performed mainly for the fods of the skies and the earth. After the end-Koryeo Era introduced [Juja-Garye]ancestrial rites of forefather in home generalized. By the way, the foods for ancestrial rites on the original literature centering the [Sa-Rye-Pyon-Ram]are as follows: raw meat(saeng: 牲), rice and broth(ban, gaeng: 飯羹), fruits(果), slice meats(po: 脯), salted dry fish(jaban(佐飯), rice punch(sikhye: 食醯), soup(tang: 湯), fish and meat, roasts beef (jeok: 炙), roast vegetable(sookchae: 熟菜), rice cake(pyon: 餠), noodles(麵), soy(醬), Kimchi(沈菜), drink(酒), green tea(cha: 茶) etc. Today, ancestral rites, basically with this conception, has a function to bind the family and relatives as one. But as double income family are increasing, most housewives have heavy burden mentally and financially to prepare the food for the ancestral. The foods for ancestral rites can be said a way to express the internal true heart, and a basic medium to practice the filial piety. Many documents let us know that a few days before the ancestral rites, we should prepare the food for it with careful and pious attitude. And, they stress that our sincere attitude in preparing food is important rather than its quantity. In this industrial society, we have lots of difficulty preparing and observing the same service as it in the traditional socity. But I think that housewives can be freed from the burden they have to some degree when they realize what the true meaning of ancestral rites is and that the food for it plays a role an external expression.

  • PDF

조선시대 유교식 감실(龕室)의 수용과 변용 (The Acceptance and Transition of Confucian Gamsil in Joseon period)

  • 박종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56-69
    • /
    • 2011
  • 감실은 고조부모부터 부모까지 사대 신주를 모시는 의례용구로 사당 안에 배치하였다. 구조와 형태는 고려시대에 수용된 주자의 "가례"의 도설에 따르면 네모반듯한 네 칸으로 구성되었다. 감실은 고조부터 아버지 대까지 사대 조상의 신주를 각 칸 마다 한 대씩을 남향으로 세워서 서쪽에서 동쪽의 순서로 안치하며 후손이 없는 조상의 신주도 함께 모셨다. 감실은 신주를 봉안하는 단순한 공간에서 벗어나서 그들의 영혼이 깃든 공간이자, 가족 내 위계질서가 살아있는 공간이다. 사당 건립과 관리는 후손의 사회적 신분과 가정 경제력 등으로 일정부분 제약을 받았다. 조선시대 조정은 관직자의 품계에 따라서 조상의 봉사 대수와 건축을 제한하였기 때문이다. 관직자는 녹을 받음으로써 일정부분 경제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집안이어서 사당을 건립할 수 있었다. 그렇지 않은 집안은 자신의 살림살이 집 한 곳에 감실을 배치하고 신주를 안치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과정에서 감실은 배치 장소, 크기, 구조와 형태 등이 변하는 특징을 보였다. 구조적으로 건물형상을 띤 감실은 가옥과 사당형으로 영혼불멸사상과 조상관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사당 밖에 배치된 감실은 탁자를 들여놓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에서 신주를 안치할 수 있는 크기로 변하였다. 이런 감실은 이동하기 편리하고 거주공간의 너비와 높이를 고려해서 제작하였다. 감실의 변용으로 사회변화와 제도, 가정 경제력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조선 초기에는 "가례"를 바탕으로 한 가묘 건립과 조상의 봉사 정책을 사대부가에서 결과가 나타났다. 서인들은 사회적, 제도적으로 제약을 받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정책에 부응할 수 없었다. 사당을 갖지 못하는 집안도 감실의 변용을 통해서 그들에게 4대를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가졌다. 결과적으로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명분과 현실을 절충하여서 사대봉사가 보편화되는 기반이 되었다. 감실의 변용은 혈연의 정통성 찾기와 가문의 위신 노출, 사대봉사의 확산계기 마련, 신성공간화, 가정경제력 증대 등으로 사회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춘천지역 주부들의 제례음식 준비에 관한 연구 (The Survey on the Practice of Ancestral Service Food in Chuncheon Area)

  • 김은실;함승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5-246
    • /
    • 2001
  • The survey on the practice of the memorial ceremonial food in Chuncheon area showed it varied according to social position of officiator, location(inland or seaside town) , and personal condition. The study included the foods prepared for the memorial services on the memorial day. New Year's Day and Chusok. 1. 40.4% of the subjects were in the thirties at their age, 46.6% were high school graduates, 57.3% were the first daughter-in-law, 40.4% had no religion, 30.9% were working at public administration and earned less than 1 to 1,5 million won monthly. 2. 71.7% of the subjects who replied that the ancestor worship service had to be kept were Buddhists. 55.4% of them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58.8% of them ran independent businesses. They learned how to practice the ancestor worship service from their mother before marriage or from their parents-in-law after marriage. 3. The older the officiators, the better they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format of the service, but the Christians and Catholics wanted to change the format to western style in the future. 4. 92.7% of them served cooked milled rice. They prepared the soup in the order of beef soup, radish soup and dried Alaskan pollack soup. 5. Among cooked vegetable dishes, bracken was used the most and balloonflower root, mung bean sprout and spinach followed. Among jeon(pan-fried foods). frozen Alaskan pollack was used the most and buckwheat, mung bean and meatball followed. 6. They served san-juk(beef kebab) mostly on the ceremony. Among the grilled foods, tofu was the favorite, and croaker followed. 7. Among the fried foods. squid was the favorite, and sweet-potato and shrimp followed. Among the dried foods. they used in the order of dried Alaskan pollack, dried beef and squid. 8. Among the rice cake and traditional confectionery, they used in the order of Yak-sik(sweet rice cake), Gang-jeong(fried glutinous rice cookie), Jeol-pyun and In-jeol-mee. Among a beverage, they served Sik-hye(fermented rice drink) mostly. 9. Among fruits, apples. jujube, chestnut and dried persimmon were served. Aong a liquor, Cheongju was served mostly. 10. Soy sauce, salt and salted fermented fish were served, too.

  • PDF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혼·상·제례 연구 (A Study on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ound in 『Hajaeilgi』)

  • 송재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435-466
    • /
    • 2018
  •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의 공인(貢人)이었던 지규식이 1891년 1월 1일부터 1911년 윤6월 29일까지 20년 7개월에 걸쳐 거의 매일 쓴 "하재일기(荷齋日記)"에는 국내외 정세와 풍속, 의례, 분원 관련 각종 제반사항, 일상생활사 등을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특히 지규식의 신분은 양반계층이 아닌바, 이 같은 신분으로 쓴 일기는 흔치 않다. 그런데 필자가 여기서 주목하는 것은 "하재일기"에 기록된 의례, 그 중에서도 관 혼 상 제례 관련 내용이다. 지규식은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당시 실제로 행했던 관 혼 상 제례 관련 내용을 "하재일기"에 기록으로 남겼는바, 이러한 일기는 매우 드물 뿐만 아니라 자료적으로도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된다. 특히 19세기 말~20세기 초의 관 혼 상 제례의 일면을 엿볼 수 있어 여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관례의 경우, 일반적으로 정월에 행했는데, 이 시기에는 시행시기의 다변화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일부 양반가도 예외는 아니었다. 혼례의 경우, 혼사를 논의할 때 개화되어 가는 과정 때문에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 파기하는 경우가 종전보다 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택일도 신부 집에서 정했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중인들이나 평민들의 경우, 신부 집에서 혼례를 치렀지만, 부득이 한 경우에는 신랑 집에서 혼례를 치루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규식 자녀들의 혼례는 전통적 절차를 비교적 충실하게 밟고 있었지만, 양가의 형편과 사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 예법을 무시한 채, 상중에 혼례를 치르거나 신부를 데려와 신랑 집에서 혼례를 거행한 것은, 근대화 과정에서 외래 종교 및 외래문화의 유입과 이식, 일제의 식민통치, 특히 유교적 사회질서 쇠퇴 등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이혼도 종전보다 흔했던 것 같다. 상례의 경우, 임종에서 발인하여 하관까지의 기간이 다양한바, 종전보다 다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대부도 보통 임종서 발인까지 3개월인데, 여기서는 7일인바 이를 안 지키는 양반가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하는 3일장과 초우 재우 삼우제의 흔적을 "하재일기"에서 찾을 수 있는바, 위의 자료들은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된다. 제례의 경우, 제사 시간이 일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지규식은 기제사를 지내기 전에 재계(齋戒)를 안 했으며, 심지어 제사 전날 술집에 가서 애인을 만나거나 또는 술을 마시기도 하였다. 당시 양반사대부가 하고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지규식은 기독교에 입교하고 나서도 기제사를 지냈으며, 천도교에 입교한 후에도 제사를 지냈다. 한편, 지규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식과 추석 때 직접 또는 동생이나 아들들을 보내 묘소에 가서 차례(묘제)를 지내게 했다. 그렇다고 지규식이 10월에 묘제를 지냈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지규식은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상으로 지내는 생일제사를 생신차례라고 하여 거의 매년 지냈다. 그런데 생신차례와 제사를 별개로 지낸 적도 있어 특이하다. 신분제도가 철폐되고 일제가 강점할 무렵의 경기도 광주지역 중인출신 집안의 기제사, 차례와 묘제, 생신차례를 지내는 모습은 양반가의 제례 관행보다는 약간 다르고 덜 엄격하지만, 양반이 아닌 집안의 제례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이상에서 보듯,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 혼 상 제례의 내용은 자료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부산지역과 전남 여수지역 주부들의 제례준비 및 제례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Ancestral Service Preparation and Sacrificial Consciousness of Housekeepers Living in Pusan and Yeosu Area)

  • 정복미;정해옥;김은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5-154
    • /
    • 2004
  • 본 연구는 부산과 여수 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제사시간, 제기 등 제례준비에 관한 일반적 사항 및 제례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으로 연령은 40∼49세가 35.56%, 불교가 57.79%로 가장 높았고, 고졸이 52.54%, 가족구성원은 부부와 자녀가 63.45%로 가장 높았다. 며느리 순위는 맏며느리가 53.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의 유무에서 직업이 없다가 53.33%, 직업의 종류로는 주부가 58.44%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부산 지역이 59.82% 여수 지역이 40.18%로 나타났다. 2. 두 지역 모두 제사 지내는 시간은 23:00∼01:00시에 지낸다가 47.16%로 가장 높았고 직장에 다니는 주부들은 약간 이른 시간에 제사를 지내는 경향이었으나, 직장에 다리지 않는 주부들은 아주 늦은 시간에 제사를 지내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직장의 유무에 따라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기제사의 범위는 3대가 34.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사는 장남이 지낸다가78.28%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높음에 따라 장남이 제사를 지내는 비율이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이 제사를 지내는 비율이 높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 4. 제례의식에 대한 결과에서 제사의 필요성에 대하여 꼭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이 57.32%로 가장 높았고, 연령별로 50세 이상이 꼭 지내야 한다라고 답한 비율이 70.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제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 불교가 타종교에 비해 제사를 꼭 지내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종교별 차이가 있었다(p<0.0001). 또한 제사는 가족의 화목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가 50.43%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우리의 전통이니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는 응답률이 높은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의 화목도모에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 연령에 따라 유의성이 있었다(p<0.05). 가톨릭과 기타 종교에서 가족의 화목도모에 대한 응답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 불교와 기독교는 계승 발전에 대한 응답률이 더 높게 나타나 종교에 따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1). 미래의 제사에 대한 생각은 대상자들의 37.04%가 내려오는 법도에 따르겠다고 하여 가장 높았고, 불교에서 43.17%가 내려오는 법도에 따르겠다, 기독교의 경우 26.47%는 예배드린다, 기독교의 경우 현재 어른이 생존하신 중이라도 차차 추도식 형태로 바꾸겠다고 답하였으며, 가톨릭, 불교, 기타에서는 나름대로 정성껏 모신다의 비율이 기독교에 비해 높게 나타나 종교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001). 또한 맏며느리에 비해 둘째 며느리는 내려오는 법도에 따르거나 어른이 하시는 대로 하겠다고 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은데 비해 맏며느리는 나름대로 정성껏 모시겠다고 한 점으로 며느리의 순위에 따라 미래의 제사에 대한 생각에 유의성이 있었다(p<0.05).지역적으로 보면 부산 지역이 여수 지역에 비해 법도에 따르거나 나름대로 정성껏 모시겠다는 비율이 더 높은 반면, 여수 지역은 부산 지역에 비해 차차 추도식 형태로 바꾸거나 예배 드리겠다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 지역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