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tase

검색결과 581건 처리시간 0.063초

반응성 스퍼터링법으로 제조된 anatase TiO$_2$박막의 미세조직에 관한 연구 (Microstructures of Anatase TiO$_2$ Thin Films by Reactive Sputtering)

  • 최용락;김선화;이건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9호
    • /
    • pp.751-758
    • /
    • 2001
  • Anatase $TiO_2$ thin films as a photocatalyst were prepared by the D.C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process. The $TiO_2$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Si(100) substrates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 oxygen partial pressure, working pressure, substrate temperature, D.C power, and deposition time. The morphology of the TiO$_2$ thin films showed an island structure. At early stages of film growth, amorphous phase formed. However, during the further growth, columnar crystalline $TiO_2$grains evolved. The crystallinity of the thin films depended on the oxygen partial pressure, the working pressure and the D.C. powers.

  • PDF

Recirculation 광촉매 화학 반응기를 이용한 액상 TCE 분해 (Pbotocatalysis decomposition of TCE in water phase with recirculation photoreactor)

  • 이태규;김동형;조덕기;조서현;오정무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한국에너지공학회 1993년도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3-41
    • /
    • 1993
  • 본 실험에서는 폐수, 지하수 등에 오염되는 유독성 유기물 처리를 위한 태양반응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recirculation형 광분해 반응시스템을 구성하여 유기물 분해를 실시하였다. 0,1 wt % Ti $O_2$ anatase촉매를 채택하고 30 ppm, 50 ppm, 80ppm의 TCE 초기농도에 대하여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Langmuir - Hinshelwood kinetics equation을 이용하여 reaction constant, $k_{TCE}$와 adsorption constant, $K_{TCE}$를 구하였으며, 이들 갑으로부터 apparent first order reaction constant, k'를 비교하였다. Ti $O_2$ anatase, ZnO 그리고 F $e_2$ $O_3$ 광촉매들의 TCE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동일 실험조건에서 Ti $O_2$ anatase가 가장 우수한 분해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성분 시스템(TCE+Phenol)의 경우 phenol의 양이 TCE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는데 phenol의 양이 증가할수록 TCE의 분해율이 저하됨을 보여주었다.보여주었다.

  • PDF

주형합성을 통한 메조포러스 TiO2 제조 및 실리카 메조포어 내부에서의 TiO2 상전이 거동 변화 (Preparation of Mesoporous Titanium Oxides by Template Synthesis and Phase Transition of TiO2 inside Mesoporous Silica)

  • 방경민;김영지;김승한;최예락;이인호;고창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261-2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열합성법과 주형합성법을 이용하여 메조포어를 지닌 $TiO_2$를 합성하였다. 수열합성법을 이용해서 anatase 구조의 메조포러스 $TiO_2$를 합성했다. Rutile 구조의 메조포러스 $TiO_2$를 제조하기 위해서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메조포러스 $TiO_2$$300^{\circ}C$부터 $700^{\circ}C$까지 소성시켰더니 $600^{\circ}C$부터 anatase에서 rutile 결정구조로 상전이가 일어났다. 하지만, 메조포어가 붕괴되었다. 메조포어을 지닌 $TiO_2$를 합성하기 위해서 메조포러스 실리카 KIT-6을 주형으로 사용하는 주형합성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메조포어 내부에 $TiO_2$를 형성시키고 소성온도를 800, $900^{\circ}C$로 높여서 anatase에서 rutile로의 상전이 거동을 조사하였다. 수열합성을 통해 제조된 자유로운 상태의 메조포러스 $TiO_2$의 경우 $600^{\circ}C$에서 anatase에서 rutile로의 상전이가 일어났지만 제한된 공간인 메조포러스 기공 내부에 형성된 $TiO_2$의 경우 $800^{\circ}C$까지 가열하더라도 rutile구조로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았고, $900^{\circ}C$로 소성시키자 일부의 anatase가 rutile로의 상전이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전이는 산소 빈자리의 형성에 의해서 일어나야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리카 기공 내부에 형성된 $TiO_2$는 실리카 기공 표면이 산소 빈자리 형성을 방해해서 상전이가 억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900^{\circ}C$의 높은 소성온도로 인해서 anatase와 rutile 구조가 섞여있으며 실리카 기공 내부에 형성된 $TiO_2$는 NaOH 수용액을 이용해서 주형인 KIT-6과 분리해서 메조포어를 지닌 $TiO_2$를 제조하였다.

Slurry batch형 광화학 반응기를 이용한 폐수 내의 Trichlroethylene의 분해 (Solar Detoxific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Waste Water with Slurry Batchtype Photoreactor)

  • 이태규;김동형;조서현;오정무
    • 태양에너지
    • /
    • 제12권3호
    • /
    • pp.10-20
    • /
    • 1992
  • 본 실험에서는 산업폐수, 가정폐수, 지하수 등에 오염되는 유독성 유기물 처리를 위한 태양반응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batch형 광분해 반응시스템을 구성하여 수처리 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실 규모의 batch형 반응기를 구성하여 수질 개선용 광화학 반응 활용의 기술적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수 있었다. (1) $TiO_2$ anatase, $TiO_2$ rutile 그리고 $V_2O_5$를 대상으로 광촉매 선정을 위한 실험결과, 본 실험조건에서는 band gap energy가 약 3.2 eV인 $TiO_2$ anatase가 유해 유기물 TCE의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TiO_2$ anatase의 결정구조는 XRD 관찰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BET-$N_2$ 측정결과 단위무게당 표면적은 약 7.748 $m^2/g$ 이었다. (2) $TiO_2$ anatase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TCE분해율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투입량이 0.1 wt% 이상이 될 경우 분해율의 증진은 아주 미미하여서 0.1 wt%의 $TiO_2$ anatase 양을 slurry batch 형 시스템 실험에 최선으로 채택하였다. (3) $H_2O_2$의 양이 TCE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적정량은 약 0.06 volume%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정량의 $H_2O_2$는 OH radical의 형성을 촉진시키지만 과량의 존재시에는 오히려 OH radical과 반응하여 이를 소모하는 역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4) 광반응기의 head space를 변화시키면서 산소양의 TCE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TCE 분해반응식의 이론적 stoichiometry로나 실험적으로나 산소양이 아주 중요한 변수임을 알수 있었다.

  • PDF

산소 결핍된 TiO2-δ 박막의 철 도핑에 의한 전기적, 자기적 특성 변화 (Variation of Electronic and Magnetic: Properties in Oxygen-deficient TiO2-δ Thin Films by Fe Doping)

  • 박영란;김광주;박재윤;안근영;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5-50
    • /
    • 2006
  • 졸-겔(sol-gel)방법으로 제작된 산소 결핍된 anatase 및 rutile구조의 $TiO_{2-\delta}$ 박막에 대하여 철(Fe)도핑에 의하여 생겨나는 전기적, 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분석 하였다. 진동 시료 자화율(vibrating sample magnetometry; VSM)과 뫼스바우어 분광(conversion electron Mossbauer spectroscopy, CEMS) 측정을 통하여 Fe 도핑된 anatase 및 rutile $TiO_{2-\delta}$ 박막들에서 모두 상온에서 강자성(ferromagnetism)특성이 나타남이 관측되었다. VSM측정 결과 같은 양의 Fe도핑에 대하여 anatase 시료는 rutile 시료보다 더 큰 자기모멘트 값을 나타내었고 CEMS측정으로부터 팔면체 $Ti^{4+}$자리에 치환된 $Fe^{3+}$이온이 시료가 나타내는 강자성 특성에 주로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홀 효과(Hall effect)측정 결과 anatase $TiO_{2-\delta}:Fe$ 박막은 상온에서 p-type특성을 보였으나 관측된 강자성은 he]e carrier 농도와는 무관한 것으로 해석된다. $TiO_{2-\delta}:Fe$ 박막에서 관측된 강자성 특성은 산소결핍자리(oxygen vacancy)에 갇힌 전자를 매개로 하여 이웃한 두 $Fe^{3+}$ 이온들 간에 존재하게 되는 직접적인 강자성 결합(direct ferromagnetic coupling)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Preparation of Anatase Particles through Electro-Dialysis of TiCl4 Aqueous Solution

  • Chang, Myung Chul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25-331
    • /
    • 2016
  • Anatase particles of titanium dioxide were prepared from $TiCl_4$ aqueous solution by using an electro-dialysis [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queous solution of $TiCl_4$ precipitates, $TiCl_4$ liquid frozen in ice was transferred to a neck flask and then hydrolyzed using deionized [DI] $H_2O$. During the hydrolysis of the $TiCl_4$ solution at $0^{\circ}C$, a slurry solution of $TiOCl_2$ was obtained and the color changed from red to orange. The ED process was applied for the removal of chlorine content in the slurry solution. Two kinds of hydrolyzed slurry solution with lower [$Ti^{4+}$] and higher [$Ti^{4+}$] were sampled and the ED process was applied for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removal time of [$Cl^-$]. With de-chlorination, the solution status changed from sol to gel and the color quickly changed to blue. Finally, white crystalline powders were formed and the phase was confirmed by XRD to be anatase crystallites. The morphology of the hydrous titania particles in the solution was observed by FE-SEM. The hydrous titania particles were nano-crystalline, and easily coagulated with drying.